🤹♂️ 카테고리별 약물/신장
ESA 성분 차이, epoetin alpha vs. epoetin beta, Erythropoietin(EPO), 만성 신부전 환자의 빈혈 치료
기미개미
2020. 10. 9. 19:00
신부전 환자의 빈혈 치료제
Erythropoietin treatment
ESA(erythropoiesis stimulationg agent) 성분 차이, epoetin alpha vs. epoetin beta
ESA(erythropoiesis stimulationg agent) 성분
methoxy polyethylene glycol-epoetin beta |
Darbepoetin α | rh-Erythropoietin (Epoetin-α) |
MIRCERA PFS INJECTION 미쎄라 프리필드 주 |
NESP PFS INJECTION 네스프 프리필드 시린지 주 |
EPOKINE PFS |
만성 신질환 환자의 증후성 빈혈치료 | 1. 만성신부전 환자의 빈혈 2. 고형암의 화학요법에 의한 빈혈 |
1. 만성신부전 환자에게 나타나는 빈혈 2. 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에게 나타나는 빈혈 3. 자가혈액 저장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환자 |
IV : 119 hr SC : 124 hr |
IV : 21 hr SC : 46 hr (12-89 hr) |
IV : 4-13 hr SC : 13-37 hr |
혈액 투석 환자의 빈혈 치료시 | ||
SC & IV | SC & IV | SC & IV |
2주마다 → 1개월마다 | 1주마다 → 2주마다 → 1개월마다 | 주 3회 → 주 2-3회 → 주1회(SC) |
*SC보다 IV가 추천됨
성분별 특징
Epoetin α는 주 2-3회 해야한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과 같은 생물학적 개선을 통해 지속시간을 향상시켰다.
Darbepoetin : glycosylation pattern 변경
methoxy polyethylene glycol-epoetin : polyethylene-glycol moiety 추가
주의 사항
- 효과적인 적혈구 생성을 위하여 철분 보급
- 혈압 모니터링 (고혈압 발생 → 고혈압성 뇌병증 / 발작)
- 칼륨 농도 모니터링 (고칼륨혈증 발생)
- 용량 조절하기 앞서 환자의 반응성을 결정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필요 (10일, 혹은 2주-6주)
- 효과 감소시키는 인자 : 엽산/비타민 B12 결핍, 감염, 알루미늄 중독
- 투석 이후 투여 (이 약의 투여로 인한 적혈구 증가 & 혈장량 감소로 투석 효과 감소 가능성)
- 투여 전 흔드는 것 금지 (장시간 강하게 흔들면 단백 변성 유발될 수 있음 → 생물학적 활성 감소)
- shunt 폐색 및 혈액투석장치 내의 잔혈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므로 shunt 또는 혈액투석장치 내의 혈류량을 주의
- 드물게 순수적혈구형성부전(적아구감소증) 보고
reference:
1) 약학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