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간담도
고빌리루빈혈증, 빌리루빈, bilirubin, conjugated, direct bilirubin
기미개미
2021. 11. 30. 17:20
담즙 정체가 심함 ⇨ 혈중 빌리루빈 수치 상승
고빌루빈혈증 ⇨ 반드시 담즙 정체는 아님!
담즙 정체 시 상승되는 빌리루빈은 원인에 상관없이 대부분 포합형 빌리루빈(direct bilirubin; 간세포 내로 들어가 포합 과정을 거쳐 수용성 성질을 가짐)
비포합형 빌리루빈 unconjugated bilirubin
- 알부민과 가역적으로 결합하여 간으로 운반
- 혈중에 증가되더라도 알부민과 결합하여 사구체를 통과하지 못하고 소변에서 검출되지 않음
- 간에서 알부민과 분리되어 conjugation 과정을 거침 ⇨ 포합형 빌리루빈
포합형 빌리루빈 direct bilirubin/conjugated bilirubin
- 알부민과 가역성 결합됨, 비포합형 빌리루빈보다는 훨씬 약하게 결합됨
- 수용성 & 알부민과의 약한 결합으로 사구체에서 쉽게 여과됨(소변에서 검출 가능)
- 위의 기전으로 심한 담즙정체가 있더라도 용혈이나 신부전 등의 다른 원인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total bilirubin 수치는 대부분 25-30 mg/dL를 넘지 않음
- 장기간 담도 폐쇄나 담즙 저류의 경우와 같이 포합형 빌리루빈이 체내 장기간 존재하는 경우 알부민과 비가역성 공유 결합 가능 ⇨ 신장으로 배설 불가 & 알부민과 비슷한 반감기(15-20 day) ⇨ 담즙 폐쇄 / 담즙 정체가 회복되더라도 수주 동안 고빌리루빈혈증이 지속될 수 있음
ALP가 정상 범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 간 이외의 장기로부터 기원한 것인지 감별해야하는데 보통 GGT와 동시에 측정하여 감별한다.
GGT∖ALP | ALP 상승 | ALP 정상 |
GGT 상승 | ||
GGT 정상 | r/o 뼈 기원 |
간독성 약제
1) 내인성 간독성 약물(intrinsic hepatotoxin) : 간독성 예측이 쉽고, 투여 용량에 따라 간독성이 증가하며 잠복 기간이 비교적 짧고 일정한 특징을 가짐
2) 특이반응 약물(idiosyncratic hepatotoxin) : 간독성 예측이 어렵고, 재현성이 없으며 용량과 상관관계가 없음
* 면역학적과 대사성 두 가지로 이분법적으로 나뉘지 않고 모든 특징이 다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
2)-1 면역학적(immunoallergic, hypersensitivity)
2)-3 대사성(metabolic)
약물에 의한 담즙정체
: 위의 기전 중에는 면역학적> 대사성> 내인성 순으로 흔하다.
: 담즙 배설 과정에 따라 세분해서 구분할 수 있음
- canalicular (순수 담즙 정체형) : 피임약
- hepatocanalicular (담즙정체성 간염): chlorpromazine, amoxicillin/clavulanate, erythromycin
- ductular (미세 담관을 주로 침범하는 담즙 정체형): benoxaprofen
- cholangio-destructive(interlobular 담관을 주로 침범하고 염증반응을 동반하는 담즙정체형): paraquat, chlorpormazine
- septal cholangio-destructive cholestasis(sclerosing cholangitis와 유사한 담즙정체형): 간동맥을 통한 floxuridine infusion
- 담즙 정체성 간질환 환자에서 담도 확장이 없을 경우 약물에 의한 경우를 반드시 고려해야 함
- 피부 발진 발열 및 호산구 증가 등의 과민 반응이 나타나는 경우도 약물에 의한 간 손상을 더욱 더 시사하는 소견이지만 이러한 소견이 없다고해서 약물을 배제할 수는 없다.(오히려 이렇지 않은 경우가 더 흔함)
- 약물 유발성 간손상 시 일부의 경우 간 조직 소견이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음. 특히 zonal necrosis, microvesicular steatosis, bile duct injury, vascular lesion 및 호산구 침윤 등의 소견이 나타날 경우 약물에 의한 원인일 가능성이 높음
reference:
1) 윤정환. "간질환 진료에서 만나는 임상적 난제들 1: 담즙정체성 간질환."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대한간학회지) 10.3s (2004): 3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