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L의 역설: 몸에 좋은 HDL 콜레스테롤, 너무 높으면 오히려 독이 된다?
High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HDL-C):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 혈액 내에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다양한 지단백 종류 중 하나
- 말초조직에서 소비되고 남은 콜레스테롤을 제거하기 때문에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 불림
- HDL-C은 이런 cholesterol efflux 이외에도 항염증, 항산화작용이 있음
- 비록 HDL-C를 높이면 죽상동맥경화반이 감소하며 LDL-C(low density lipoprotein;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이 70 mg/dL 이하인 경우에도 낮은 HDL-C는 심뇌혈관질환의 발생과 사망률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낮은 HDL-C가 직접적인 위험인자인가에 대해서는 아직도 근거가 부족함
- 낮은 HDL-C는 죽상동맥경화 진행 및 심뇌혈관질환 발생에 있어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작용한다기보다는 예측하기 위한 biomarker로 또는 선택적인 이차 치료목표로 고려될 수 있음
- 낮은 HDL-C는 많은 표준화된 CVD risk calculator에 인자로 포함되어있음
- 2020 일차 의료용 이상지질혈증 임상진료지침 상 HDL-C 농도가 낮은 경우(남성 40 mg/dL, 여성 50 mg/dL 미만), HDL-C는 40 mg/dL 이상이면서 가급적 높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체중감량, 운동, 금연 등의 생활습관교정 요법을 시행하도록 권고함
HDL-C의 역설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 알려진 HDL-C는 최근 연구를 통해 너무 높은 농도로 유지될 때 관상동맥 환자에서 오히려 사망률을 높인다는 연구가 나왔음
<Association Between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and Adverse Cardiovascular Outcomes in High-risk Populations>
Method
- This prospective, multicenter, cohort study, conducted from 2006 to present in the UK and from 2003 to present in Atlanta, Georgia, recruited patients with CAD from the UK Biobank (UKB) and the Emory Cardiovascular Biobank (EmCAB), respectively. Patients without confirmed CAD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from May 10, 2020, to April 28, 2021.
Conclusion
- HDL-C 농도가 80 mg/dL 이상인 환자군에서 그렇지 않은 환자군(40-60 mg/dL)에 비해 모든 원인 사망의 위험(all cause mortality)의 위험이 96% 더 높고 심혈관 사망 위험(cardiovascular mortality)이 71% 더 높았다.
- Results of this cohort study suggest that very high HDL-C levels are paradoxically associated with higher mortality risk in individuals with CAD. This association was independent of the common polymorphisms associated with high HDL-C levels.
reference:
1) Liu, Chang, et al. "Association Between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and Adverse Cardiovascular Outcomes in High-risk Populations." JAMA cardiology (2022).
2) 2020 일차 의료용 이상지질혈증 임상진료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