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관절염 영양제 글루코사민 vs 콘드로이틴 오해와 진실
골관절염
골관절염은 가장 흔한 관절염으로 노인에서 만성 장애의 주요한 원인이다.
이 때 비스테로이드 항염제(NSAIDs계)가 골관절염 치료로 자주 사용되나 위장관과 심혈관계 부작용이 있고 사실 상 (통증/염증) 증상 완화 이외에 연골 보호 효과는 없다.
이에 글루코사민과 가은 연골 성분을 투여함으로써 골관절염에서의 연골 손실에 영향을 주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다양한 용량으로 치료되며, 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용량을 기반으로 한 GAIT 연구(Glucosamine/chondroitin arthritis intervention trail)에서 사용된 용량은 다음과 같다.
- Glucosamine hydrochloride(염산염) 또는 sulfate(황산염) : 500 mg 1일 3회 👉 1500 mg/day
- Chondroitine sulfate : 400 mg 1일 3회 👉 1200 mg/day
- Glucosamine + chondroitin sulfate : 글루코사민 1500 mg + 황산 콘드로이틴 1200 mg
인터넷에서 관절 영양제로 콘드로이친/콘드로이틴/글루코사민을 손쉽게 접할 수 있었다.
글루코사민 vs 콘드로이틴
글루코사민
- 연골 세포 주위와 안에서 발견되는 자연 물질, 연골과 그 밖의 결합조직에 분포하는 아미노당(amino sufar)
- 주요 공급원은 조개껍질이며 황산 글루코사민과 염산 글루코사민 두 가지 종류로 존재
- 위장관에 쉽게 흡수되어 빠르게 간과 초회통과효과를 경유하여 대사과정을 거쳐 대소변으로 배출
- 황산염 글루코사민의 경우, 연골 조직에 황이 결합하는 것을 촉진하거나 glycosaminoglycan 합성에 필요한 황산염을 공급함
- 동등량; 글루코사민 염산염 1,500 mg = 글루코사민 황산염 2608 mg
콘드로이틴(Chondroitin sulfate)
- 항염작용
- 히알루론산 형성에 영향을 미침
- 직접적으로 항-퇴화반응
- 연골 유지를 돕는 탄수화물 복합제 : glycosaminoglycan의 하나
- 소, 돼지, 조류의 껍질로 만들어짐
- 최소 3개월간은 복용하도록 되어 있음
즉, 글루코사민은 콘드로이틴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하나라고 생각하면 됨!
글루코사민 ⊂ 콘드로이틴
글루코사민/콘드로이틴 효과있을까?
2009년 골관절염 환자에서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틴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론을 발췌하였다.
중요하게 짚어봐야할 점은 글루코사민/콘드로이틴 제조사에 의해 연구비를 지원받지 않은 연구에서는 글로코사민은 통증 감소와 기능 향상에 일관되게 효과가 없었다는 점이다.!
🙄 약효가 있다고 나온 문헌을 검토할 때는 bias/invest 등을 고려해보아야함!!
당뇨병과 글루코사민
🙄 당뇨환자에서 글루코사민을 복용 시 혈당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아야함! 특히, 피검사..시 해석에 주의를 요핤 ㅜ 있음
reference:
1)백승훈, and 김신윤. "골관절염의 약물요법."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6.12 (2013): 1123-1131.
2) 대한당뇨병학회
3) 골관절염 환자에서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틴의 효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