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모 치료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dutasteride vs finasteride, 아보다트, 프로스카, 프로페시아 어떤 게 더 좋아요?
🙍♂️ : 탈모에 아보다트가 좋아요 프로스카가 좋아요?
👩⚕️ : 음.. 결론 탈모 치료에 있어서는 아보다트>프로페시아이지만 아보다트>프로스카는 아닙니다!
아보다트 vs 프로스카(5 mg) vs 프로페시아(1mg)


아보다트, 프로스카, 프로페시아의 공통된 기전은 남성 호르몬에 작용하는 5-alpha-reductase(5-알파-환원제)를 억제하여 전립선의 크기를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우리 몸에 5-alpha-reductase가 세 가지 종류가 있다. 현재 국내에서 유통중인 reductase inhibitor의 경우 type 1과 type2를 억제하므로 이 두가지를 중점적으로 설명!
아형 | 위치 | dutasteride | finasteride |
5-alpha-reductase type I | 주로 모낭과 피지선을 포함한 피부에 존재 | 억제 | - |
5-alpha-reductase type II | 전립선을 포함한 남성 생식기에서 주로 발견되지만 모낭의 내부 뿌리 덮개(the inner root sheath of hair follicles)에서도 발견 | 억제 | 억제 |
이때 이론적으로 dutasteride가 finasteride에 비해 type I은 3배, type II 는 100배나 더 억제능력이 뛰어나므로 탈모에도 치료가 더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한다. 물론 potency 측면에서 dutasteride가 강하기 때문에 전립선 비대증 치료 용량으로 dutasteide는 0.5 mg vs finasteride는 5 mg를 허가받았지만 DHT(dihydrotestosterone)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키는 능력은 dutasteride 0.5mg가 90% vs finasteride 5mg/day가 70%라는 문헌이 존재함!

위의 문헌 뿐만 아니라 몇몇 문헌에서 dutasteride와 finasteride를 비교했을 때 dutasteride가 더 우월하다는 문헌이 많음
하지만 이는 dutasteride 0.5 mg vs finasteride 1 mg를 비교한 것이기 때문에 finasteride 5 mg(피나스트 정)을 복용하는 환자가 아보다트(dutasteride 0.5 mg)와 탈모 치료 효능을 비교하는 질문에 대한 답은 정확하게 드리기는 힘듦..


탈모 치료에 대해 각 약제의 다른 용량에 대한 각각의 효과에 대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함..!
물론 당연히 용량이 5배니 더 좋은거 아니야?! 라고 생각할 수 있겠으나 늘 약 용량과 약 효과는 비례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포화가 될 수도 있고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성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섣불리 판단하게 힘든 문제임
혹시 이 포스팅 이후라든지 제가 찾지 못한 문헌이 있다면 댓글로 부탁드립니다(꾸벅꾸벅)
5알파 환원효소 억제제 급여기준

즉, 아보다트에 남성 탈모 치료제라고 적혀있어도 탈모를 위한 사용은 급여가 되지 않..음..!
아보다트는 같은 용량으로 탈모 & 전립선비대증 크기 감소의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지만 프로스카(5mg)는 허가사항에는 탈모가 없고 프로페시아(1mg)는 탈모에만 허가를 받았고 비급여 약물이라 아주 비싸다.
reference:
1) Shanshanwal, Sujit JS, and Rachita S. Dhurat. "Superiority of dutasteride over finasteride in hair regrowth and reversal of miniaturization in men with androgenetic alopecia: A randomized controlled open-label, evaluator-blinded study." Indian journal of dermatology, venereology and leprology 83 (2017): 47.
2) Zhou, Zhongbao, et al. "The efficacy and safety of dutasteride compared with finasteride in treating men with androgenetic alopec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2019): 399-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