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위장관·췌장

Lacutlose-Diabetes, 듀락칸이지시럽 당뇨환자 복용해도 괜찮나요?

기미개미 2025. 1. 29. 14:06

🙄듀락칸이지시럽 너무 달아요. 당뇨 환자인데 먹어도 되나요?

👩‍⚕️적절한 용량 안에서는 혈당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흔히 변비약으로 많이 알려져있는 듀락칸이지시럽의 경우, 달달한 맛 때문에 당뇨 환자들이 혹시 이 약을 먹고 혈당이 오르지는 않는지 걱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actulose와 혈당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잠깐👌 듀락칸시럽은 전문 의약품이며 간성혼수에 적응증을 받음. 하지만 두 약의 성분/함량은 같음!

 

즉 15mL 1팩당 lactulose 약 10g이 함유되어 있음

 

듀락칸이지시럽의 주의사항

 

 

 

Lactulose(락툴로오스)

  • 갈락토오스와 과당으로 구성된 합성 이당류

lactulose

 

  • 락툴로오스는 소장에서 분해될 수 없기 때문에 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대장에 도달하여 결장의 박테리아에 의해 단당류로 대사됨
  • 락툴로오스의 변비 완화 기전은, 삼투압에 의해 물을 빨아당겨 변을 부드럽게 해주는 작용을 통해서임
  • 뿐만 아니라 장내 암모니아 생성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므로 간성뇌증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
  • 락툴로오스는 용량 의존적으로 효과를 나타내는데 낮은 용량(2g/day 이상)에서는 프리바이오틱 효과 뿐 아니라 칼슘과 마그네슘과 같은 여러 미네랄의 흡수를 향상시킴
  • 중간 용량(10-30g/day; 듀락칸이지시럽 15mL 1팩씩 1일 3회 분량)은 변비 치료, 고용량(60-100g/day)에서는 간성뇌증 해독 효과를 나타냄

 

 

*이름이 비슷한 유당(lactose;락토스)는 갈락토오스와 포도당이 연결된 이당류

유당

 

 

 

 

 

NHS; common questions about lactulose

NHS; common questions about lactulose

 

👩‍⚕️ 너무 고용량&장기간 복용이 아니라면 혈당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

 

 

 

Archives of Gastroenterology Research 3.1 (2022): 1-8.

 

👩‍⚕️ 변비 시 락툴로오스 권장 용량인 20g/day(2포/일) 혹은 30g/day(3포/일)의 용량에서는 당뇨 환자에서도 혈당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사실을 확인되었음 (한계: single dose study)

 

Frontiers in Endocrinology  13 (2022): 956203.

 

 

 

 

Frontiers in Endocrinology 13 (2022): 956203.

 

👩‍⚕️  위의 락툴로오스의 저용량 효과에 대해 설명했던것과는 반대로 장기적으로 사용했을 시 비타민과 미네랄 흡수 장애라는 잠재적인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

👩‍⚕️  즉, 변비를 위해 락툴로오스를 장기간 사용 시 의사 또는 약사와의 면밀한 상담이 필요

* 장기 복용으로 인한 잠재적인 부작용은 말그대로 잠재적인 것일 뿐, 반드시 혹은 잦은 빈도로 발생한다고 단정지을 수 없으며 보통 이런 흡수에 장애가 생기는 원인 중의 하나로 환자의 장 손상을 생각해볼 수 있음!

 

 

 

reference:

1) NHS

2) 위키피디

3) Faerber, Valentin, et al. "Oral Lactulose–A Safe and Effective Strategy for the Management of Constipation in Individuals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Diabetes." Archives of Gastroenterology Research 3.1 (2022): 1-8.

4) Chu, Natural, et al. "The potential role of lactulose pharmacotherapy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abetes." Frontiers in Endocrinology 13 (2022): 956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