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소아

소아의 급성 폐쇄성 후두염(크룹, Croup)의 흡입 요법, epinephrine, 보스민, budesonide, 풀미코트

기미개미 2021. 9. 27.

1. Epinephrine 국내 급여 기준

2019-06-07 Epinephrine 제제(품명: 제일에피네프린주사액 등) 고시 제2019-93호(약제)
■ 고시 신설 전체내용
1.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투여 시 요양급여 함을 원칙으로 함.

2. 허가사항 범위를 초과하여 “소아의 급성 폐쇄성 후두염(크룹, Croup)의 흡입 요법”에 투여한 경우에도 요양급여를 인정함.


■ 고시 신설 고시번호(시행일자)
고시 제2019-93호(2019.6.7.)

■ 고시 신설 사유
소아의 급성 폐쇄성 후두염(크룹, Croup) 환자 대상 epinephrine제제의 흡입 요법이 교과서, 임상진료지침, 임상연구 논문 등에서 임상적 유용성이 확인되는 바 동 약제의 허가사항을 초과하여 급여를 인정함.

 

2. 급성 폐쇄성 후두염(croup)

  • 1~3세의 유아에서 흔히 나타나는 질환으로, 바이러스나 세균이 후두 점막에 침투하면서 염증을 일으켜 발생
  • 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원인임
  • 후두점막의 부종이 심해져 기도가 좁아짐 
  • 가래를 동반하지 않은 기침,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남
  •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기도 폐쇄가 심하게 진행되는 경우) 고농도의 스테로이드 IM(근육주사) 혹은 스테로이드 분무 요법 혹은 에피네프린 분무 요법으로 기도 확보

 

3. Epinephrine 분무 요법 (L-epinephrine)

소아의 급성 폐쇄성 후두염(크룹, Croup)의 흡입 요법, epinephrine, 보스민, budesonide, 풀미코트 - 3. Epinephrine 분무 요법 (L-epinephrine)

  • 중등도-중증 croup 치료에 사용됨
  • 혈관 수축 작용으로 기도 점막 부종 완화를 기대할 수 있음
  • 에피네프린 단독 사용으로도 효과가 있지만 경구 스테로이드를 추가 시 성문하 부종( subglottic edema)을 줄이는데 임상적으로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가 있음
  • 에피네프린 흡입 요법은 10-30분 내 호흡기 증상을 일시적으로 호전시킴(작용 시간은 2시간 이내로 흡입 후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해도 2시간 뒤 재발 가능성이 있음)
  • 보스민(1:1000) 액 3-5 mL를 흡입(주로 3 mL); 0.5 mL/kg/dose(max 5 mL)
  • 용량이 증가될수록(반드시 권장 용량을 지키도록 한다!) 맥박수 & 혈압 증가와 같은 심혈관계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

<추가>

보스민 용액의 분무요법 방법

1) 보스민 액(0.1 g/100 mL= 1 mg/mL) 국내 허가사항

기관지 천식 1회 투여량 0.3 mg 이내 (=0.3 mL)
5-10배 희석
국소 출혈 5-10배 희석하여 직접 도포 혹은 분무

 

2) Lexicomp에서의 Croup 환자의 용법 용량

Racemic epinephrine (2.25% solution) L-epinephrine(0.1 % solution; 1 mg/mL)
0.05 to 0.1 mL/kg (maximum dose: 0.5 mL)
NS 2-3 mL 희석하여 사용
0.5 mL/kg (maximum dose: 5 mL)
NS 2-3 mL에 희석
*handheld rubber bulb nebulizer 사용 시 희석하지 않아도 됨

 

3) Safety of nebulization with adrenaline(RCT 모음)

소아의 급성 폐쇄성 후두염(크룹, Croup)의 흡입 요법, epinephrine, 보스민, budesonide, 풀미코트 - 3. Epinephrine 분무 요법 (L-epinephrine) - undefined - 3) Safety of nebulization with adrenaline(RCT 모음)

 

3 mL 정도 epinephrine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NS 희석없이 사용하였고 0.5 mL(racemic) epinephrine 용액 사용 시 NS를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이 중 제일 최근 2003년 문헌을 살펴보았다.

 

문헌 용법 네뷸라이져(방법) 참고
Wainwright et al,
Australia (2003)
4 mL epinephrine(1:1000) administered by means of standard hospital jet nebulizers
예)
MicroMist (Hudson RCI) 
Misty-Neb AirLife (Baxter) 
Medic-Aid (Niche Medical UK)
세 가지 다른 종류의 네뷸라이져를 사용(multi-center 연구였기 때문)
각 네뷸라이져는 모두 유사한 최소 잔류량을 가지고 있음
에피네프린에 대한 반응이나 심박수의 변화는 병원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네뷸라이져 기계 차이로 인한 효과차이가 있다고 보기 어려움
Hariprakash et al.
Great Britain (2003)
2 mL epinephrine(1:1000)
+ NS 3 mL
Sidestream Medic Aid System 22, Bognor Regis, UK -

 

4) 결론: 보스민 용액 사용 시 생리식염수로 희석 필요할까?

처방된 보스민 용액의 용량에 따라서 희석 유무가 달라질 수 있겠다. 각 네뷸라이져마다 약통에 채워야 하는 적당한 (유효) 약액량이 존재한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네뷸라이져 작동 후 잔여량이 남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0.5 mL이 처방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0.5 mL 약액만을 넣고 네뷸라이져를 작동시키고 잔여량이 0.1 mL 라면 실제 처방의 약 20%가 적절히 분무되지 못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약의 잔여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적절히 희석하여 잔여량(0.1 mL)에 함유된 약용량을 최소화 하는 것이 권장된다.

 

따라서 각 기관 혹은 가정마다 보유하는 네뷸라이져의 잔여량, 네뷸라이져 용량 등을 고려하여 약액의 용량이 너무 작을 때는 생리식염수로 적절히 희석을 해주는 것을 권장한다.

 

 

 

4. Budesonide 분무 요법

소아의 급성 폐쇄성 후두염(크룹, Croup)의 흡입 요법, epinephrine, 보스민, budesonide, 풀미코트 - 4. Budesonide 분무 요법

  • 흡입용 스테로이드는 기도와 폐로 약제가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전신 부작용의 잠재적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짐
  • 경구용 덱사메타손 투여 후 부데소니드 흡입 요법 추가는 비용 대비 효과가 작아 추천되지 않음
  • 용량 : 500 mcg(0.5 mg)-2 mg/dose에 걸쳐 다양한 용량의 임상시험이 존재함
  • 국내 허가사항 상 급성 후두 기관 기관지염에서는 2 mg 1일 1회를 권장함

 

 

5. 전신 스테로이드(systemic glucocorticosteroid)

성분명 혈중 반감기 기준
코티솔(cortisol)
코티손(cortisone)
가장 짧음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프레드니손(prednisone)
중간 작용형; 장기 치료에 많이 사용됨
생물학적 반감기는 중간 작용형이지만 혈중 반감기는 2-3시간으로 단기간 작용하며 격일 또는 간헐적 투여가 가능함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글루코코티코이드 작용(relative hydrocortisone activity)
하이드로코 티손(hydrocortisone)의 25~30배로 강력
작용 시간이 36-72시간으로 주로 급성기 중증 질환에 사용됨

 

<Dexamethasone>

  • 크룹의 급성 상기도 폐쇄 증상은 대개 72시간 이내 호전되며 덱사메타손 1회 투여로 항염증 작용이 2-4일 지속되므로 1회 투여로도 충분함
투여 경로 IM, IV, PO
스테로이드의 경구와 주사(근육 주사)는 효과가 비슷하다고 알려져 있음
용량 최적의 선량은 명확하지 않음
임상적으로 0.15-0.6 mg/kg/dose 사용
최대 복용량 10-20 mg, 대부분 16 mg을 기준으로 잡음
저용량(0.15 mg/kg)에서도 중등도-중증 크룹에서 충분한 치료 효과가 보고됨
그러나 일부 중증 크룹에서 부작용도 적고 가격 대비 효과를 고려하여 고용량 덱사메타손(0.6 mg/kg, max 10 mg[1], 16 mg[2])이 권장되기도 함
비교 다른 스테로이드에 비해 크룹 치료에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능을 가지고 있음
prednisolone vs dexamathasone : 덱사메타손이 증상 재발 위험이 더 낮음

 

<Prednisolone>

  • 경증의 크룹 환자에서 경구 prednisolone을 고려할 수 있음
  • 용량: 1mg/kg/dose 단회 경구(PO)

 

 

reference:

1) 김미진. (2015). 소아응급실에서 스테로이드 사용. 대한소아응급의학회지, 2(1), 16-21.

2) up to date

3) Choi, B. H., Song, K. B., Shim, J. Y., & Hong, S. J. (1999).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Comparing L-epinephrine and Budesonide Aerosols in the Treatment of Moderate to Severe Croup. Journal of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42(1), 40-46.

4) 약학정보원

5) biz.hira

6) Zhang, L., & Sanguebsche, L. S. (2005). The safety of nebulization with 3 to 5 ml of adrenaline (1: 1000) in children: an evidence based review. Jornal de pediatria, 81, 193-197.

7) lexicomp

8) Wainwright C, Altamirano L, Cheney M, Cheney J, Barber S, Price D, et al. A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blind, controlled trial of nebulized epinephrine in infants with acute bronchiolitis. N Engl J Med. 2003;349:27-35.

9) Hariprakash, S., Alexander, J., Carroll, W., Ramesh, P., Randell, T., Turnbull, F., & Lenney, W. (2003).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nebulized adrenaline in acute bronchiolitis. Pediatric allergy and immunology, 14(2), 134-13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