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ucocorticoid9 Glucocorticoid, steroid, WBC 증가, leukocytosis, 백혈구 증가증 Glucocorticoids (GCs) may cause leukocytosis through several mechanism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 single-GCs dose on total white blood cell (WBC) count, absolute neutrophil count (ANC), and absolute lymphocyte count (ALC) in hospitalized adults without bacterial infections. 이번 연구는 glucocorticoid 단회로 백혈구(WBC), 절대호중구수(ANC), 절대림프구수(ALC)가 감염 없는 입원 환자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 🤹♂️ 카테고리별 약물/내분비 2021. 12. 26. ICU 환자, glucocorticoid 사용: sepsis, ARDS, major trauma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ritical Illness-Related Corticosteroid Insufficiency (CIRCI) in Critically Ill Patients (Part I):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SCCM) and European Society of Intensive Care Medicine (ESICM) 2017 2008년 발표된 성인과 소아의 critical illness-related corticosteroid insufficiency (CIRCI)의 진단과 관리에 대한 consensus의 2017년 업데이트 버전을 소개하고자 한다. What's CIRCI? 중증 환자의 세..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1. 4. 27.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치료제: Dexamethasone(덱사메타손) RECOVERY trial Methods Although the randomization of patients to receive dexamethasone, hydroxychloroquine, lopinavir–ritonavir, azithromycin, convalescent plasma, or tocilizumab has now been stopped, the trial continues randomization to other treatments, including REGN-COV2 (a combination of two monoclonal antibodies directed against the SARS-CoV-2 spike protein), aspirin, colchicine, or usual .. 🤹♂️ 카테고리별 약물/감염 2021. 4. 25. steroid induced hyperglycemia, 스테로이드 유발 고혈당, steroid-induced diabetes mellitus (SIDM)(2) 치료-1. insulin BST>200 mg/dL인 경우, 인슐린 요법이 1차 선택으로 간주된다. Prandial scheme 단식 혈당이 존재에 기초함 혈당은 식사 후 최대 농도에 도달하고 이후 점진적 감소를 보임(식후 인슐린 분비) 환자 식이 특성/혈당 양상 등을 고려하여 인슐린 종류 선택할 수 있음 ; 참고 식후 인슐린으로도 조절되지 않고 아침 공복 혈당 > 200 mg/dL & 2회 이상 관측 시 ⇒ 자기 전 NPH 투여 고려 (0.1 U/kg로 시작) Steroid dose&BMI scheme * steroid dose에 따라 initial insulin이 달라질 수 있음 1일 1회 steoid 투여 시 0.4 U/kg of NPH 1일 다회 steroid 투여 시 0.4 U/kg of insu.. 🤹♂️ 카테고리별 약물/내분비 2021. 1. 20. steroid induced hyperglycemia, 스테로이드 유발 고혈당, steroid-induced diabetes mellitus (SIDM)(1) 스테로이드는 급성 질환과 만성 질환 모두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약물이다. 초생리적인 용량(sypraphysiological dose)에서 pro-inflammatory cytokine, T cell 기능 등을 억제하여 항염증 작용 & 면역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유효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낸다. Immediate effect fluid retention, blurred vision mood change, insomnia weight gain modulation of the immune response Gradual effect endocrine metabolism과 연관됨 hyperglycemia, central obesity, adrenal suppression, osteopeni.. 🤹♂️ 카테고리별 약물/내분비 2021. 1. 20. 패혈증 환자, 스테로이드 요법, hydrocortisone hydrocortisone intermittent vs. continuous infusion, tapering 성분명 hydrocortisone sodium succinate 상품명 코티소루 주 함량 100 MG 패혈증 시 hydrocortisone의 투여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부족한 실정임. 일반적으로 hydrocortison의 intermittent infusion, 즉 50 mg q6h regimen이 주로 사용됨. 이번 시간엔 continuous infusion vs. intermittent infusion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Comparison Between Continuous and Intermittent Administration of Hydrocortisone During Septic Shock: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int.. 🤹♂️ 카테고리별 약물/감염 2021. 1. 10. glucocorticoid dose, half life, 수술 후 붓기 완화 steroid regimen 1. Glucocorticoid dose, half life vs biologic half life? 나열된 dose(mg)은 daily physiologic baselines이다. ** 아래 Table 2에서 소개된 dose의 3-10배 용량 정도에서 항염증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 일반적으로 각 glucocorticoid의 약물 자체의 반감기는 짧은 편이다.(1-5시간) 하지만 duration time은 약물이 제거된 후에도 오래 지속된다. 생물학적 반감기(biologic half life)는 target tissue에 대한 effect가 지속되는 것을 반영하고 있으며 대략적으로 항염증 효과과 관련이 있다. 2. post OP swelling시 steroid regimen, dexamethaso.. 🤹♂️ 카테고리별 약물/내분비 2020. 7. 13. glucocorticoid, 장기 치료 환자 고려사항, 수술 전 steroid 증량 요법 장기 glucocorticoid 치료 환자 고려 사항 long term vs short term? short term = 1 wk 이하 기간으로 이 기간 정도의 steroid therapy는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long term = chronic steroid therapy = 15 mg/d of prednisone or its equivalent for > 3 weeks. 특히 12개월 이상의 steroid 치료를 받은 환자의 ~50% 정도 osteoporosis 유발과 관련이 있다. Osteonecrosis (also termed avascular necrosis) is also a well recognized complication. This condition consists of a rapid .. 🤹♂️ 카테고리별 약물/내분비 2020. 7. 13. glucocorticoid, NSAIDs, anti-inflammatory effect,cortisol 생리기전 Glucocorticoid, NSAIDs의 항염증 기전 염증반응은 흔히 상처받은 세포에서 healing을 위해 발생하는 자연적인 일이다. 각 염증가 발생하는 단계마다 NSAIDs와 steroid의 작용점이 다르다. Regardless of the nature of injury, the sequence of events is remarkably similar. A brief review of this process is essential to better distinguish the actions of steroidal versu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NSAIDs는 vasular phase를 막아서 염증 반응을 가라앉히고 glucocortic.. 🤹♂️ 카테고리별 약물/내분비 2020. 7.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