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39 Multimodal analgesia 전략(non-opioid analgesia): gabapentin 안전한 약물인가 Multimodal analgesia은 수술 후 회복 단계에서 각광받고 있는 방법으로 국소, 경막외(epidural), NSAIDs계 진통제, acetaminophen, gabapentin 등 non-opioid 진통제의 사용으로 opioid 진통제의 사용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Randomized clinical trials (RCTs)에서 multimodal analgesia을 통해 통증 조절은 개선하고 opioid 진통제의 사용과 그로 인한 부작용은 감소시킴을 입증했다. The American Pain Society에서 gabapentin은 multimodal analgesia를 위한 약제로 추천하고 있다. 2021 KSCCM에서의 가이드라인에서도 gabepentin을 추천하고 있다. gaba..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2. 11. 9. 마약성 진통제(opioid) 복용 방법: 급성기 통증, 펜토라 박칼정 & 앱스트랄 설하정 경구용 마약성 진통제 중 fentanyl(펜타닐) 성분 중 급성기 통증(돌발성 통증)에 사용하는 약물의 복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Fentanyl (2022.08.13 기준) 상품명 효능효과 복용방법 펜토라 박칼정 100 MCG 지속성 통증에 대한 아편양제제 약물 치료를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내약성을 가진 암 환자에 대한 돌발성 통증 초기 용량 설정이 완료된 후 1회 1 Ⓣ를 14-25분에 걸쳐 복용(30분 후에도 약이 남아있다면 물 한컵과 함께 삼킬 수 있음; 그 이전에 삼키거나 씹어 먹게되면 혈중 농도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음) - 뺨과 잇몸사이 또는 설하 적용 - 복용 후 30분이 지나도록 통증 지속 시 1 Ⓣ(or 동일 용량) 추가 - 동시에 4정을 초과해서 사용해서는 안 됨 - ..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2. 8. 14. 소아 환자의 진정/진통: pediatric analgo-sedation 1. Pain 1) mild/moderate pain - 1st-line: Acetaminophen, NSAIDs 2) moderate/severe pain - 1st-line: IV opioid if renal dysfunction: consider fentanyl - 2nd-line: improved pain control and opioid sparing Acetaminophen, NSAIDs, Alpha-2 agonist 관련 Recommendation We recommendthe addition of an adjunct NSAID (IV or oral) toimprove early postoperative analgesiain critically ill pediatric patients. Str..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2. 5. 10. 2021 성인중환자실에서 통증, 진정, 섬망, 부동화 및 수면장애 예방의 임상 진료지침 1. 진통제의 선택 적절한 체위 유지, 골절 부위 고정, 기타 물리적 자극의 제거 등을 통해 환자의 안락함을 유지할 수 있는 비약물요법이 선행되어야 함 이로써 불필요한 진통제 사용을 줄이고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음 진통제의 선택은 각 약제의 특성 및 부작용을 고려하여야 함 (1) 마약성 진통제(Opioid) 비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의 가장 중요한 치료법 중추 및 말초의 opioid 수용체에 작용하여 진통 효과를 나타냄. 그 중 중 μ와 κ수용체가 진통작용에 가장 중요하며 다른 수용체들은 부작용의 발생과 관련이 있음 마약성 진통제의 정주가 필요하다면 fentanyl, hydromorphone, 그리고 remifentanil 등이 추천됨 (Grade of recommendation C) 호흡 억제 : 용량 의..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10. 11. 듀로제식 패치에서 fentanyl은 얼마만큼의 방출될까? 경피 패치제는 지속 점주에 필적할 만한 안정적인 약물 농도를 유지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주는 약물 전달 제형이다. Transdermal drug delivery enables the continuous systemic application of strong opioids through the intact skin, producing constant serum concentrations comparable with those achieved by continuous infusion. 1. Fentanyl 패치제의 Pharmacokinetic(25 mcg/hr) *해당 study는 Durogesic SMAT (reference) vs Fentalgon® (test)의 생체동등성 비교 시험이지만 포스팅의 주제..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9. 9. Dexmedetomidine vs Propofol: 약제별 특성 비교(comparison) 심장 수술 후 dexmedetomidine이 propofol에 비해 더 좋은 진정제라는 의견은 명확하지 않다. 오늘 소개할 메타 분석에서는 심장 수수 훌 성인 환자에서의 각 약제별 특징을 비교하고자 한다. 8개의 연구에서 총 96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되었다. dexmedetomidine군에서 - 더 낮은 섬망 위험도 (risk ratio, 0.40;95% confidence interval [CI], 0.24-0.64; P = .0002) - 더 짧은 기계환기 기간 (hours; mean difference, - 0.95; 95% CI, - 1.26 to - 0.64; P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9. 1. 듀로제식 디트랜스(Durogesic D-trans patch): 잘라서 사용 가능? 절단 가능? 과거(약 2008년) 듀로제식(not 디트랜스) 패치가 리콜 대상이 되면서 국내에 있는 듀로제식 디트랜스 패치 역시 해당 제품이 아닌가에 대한 우려가 있었지만 다행히 각 제품의 패치 특징이 달랐다.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6655 한국에 시판중 ‘듀로제식 디트랜스’ 안전 - 팜뉴스 한국얀센은 미국에서 진행 중인 듀로제식(DUROGESIC)과 펜타닐(Fentanyl) 제네릭 패취제의 리콜은 한국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한국얀센은 이번에 리콜을 진행하는 제품은 미 www.pharmnews.com Matrix patch Reservoir patch 기존의 젤 타입 패치와는 달리 약품의 유출 위험이 낮음 젤 상태의..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8. 31. Opioid 특이 부작용: bile duct dilation, 담도 경련, 담낭 기능 부전, 급성 췌장염 [1] Is Opioid Addiction a Sufficient Predicting Factor for Common Bile Duct Dilatation? A Sonographic Study In the absence of hepatobiliary symptoms, opioid consumption has been shown to cause dilat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CBD).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with sonography CBD diameters in opioid addicts as compared with non-addicts. 대조군의 평균 CBD 직경은 4.13 ± 1.14 mm이었으며 마약..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7. 24. Benzodiazepine withdrawal syndrome: 벤조다이아제핀 금단 현상 약물 치료 Benzodiazepines (BZDs) 의학적으로 유용하지만 잠재적으로 위험 BZD 남용, 내성, 의존성 및 장/단기 부작용의 증가은 BZD의 중단을 의학적으로 관리하는 어려운 측면에 대한 전세계적인 문제임 특히 갑작스러운 중단으로 BZD withdrawal syndrome이 발생할 수 있음 BZD는 GABA-A receptor의 agonist로 작용함 GABA는 신경세포의 흥분성을 감소시키는 억제신경전달물질임 BZD의 사용은 신체적인 의존성과 내성을 유발할 수 있음 특히 1-6개월 간의 장기 사용으로 인한 갑작스러운 약제의 중단은 생명을 위협하는 발작, 섬망 및 사망을 유발할 수 있음 BZD 중단을 위한 관리로 여러 약제들이 제안되고 있음 anticonvulsants, antidepressants, ..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7. 11. 금단 현상: 외상 환자에서의 opioid/benzodiazepine withdrawal syndrom 중환자실에 내원하는 동안 기계 환기를 적용받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opioid and/or 진정제(ex. benzodiazepine, propofol, dexmedetomidine)에 노출된다. 최근 지침을 통해 light sedation 등을 지향하며 진정제 노출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지만 실제 임상에서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나 opioid나 BZD의 고선량/장기간 노출은 약물 내성(drug tolerance; 동일한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약물 복용량의 증가가 요구됨)과 약물 신체적 의존성(drug physical dependence; 급작스럽거나 성급한 약물 중단에 의해 불쾌한 신체적 증상 유발)을 야기할 수 있다. 일부 OWS 평가 도구는 소아 환자에게 제한적이며 해당 연구도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7. 8. IV PCA 안정성(stability): 언제까지 보관할 수 있을까? Patient-controlled analgesia(이하 PCA)란? 자가조절진통제로 진통제가 투여되는 시간을 환자가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다. 환자는 휴대용 전자 약 주입 장치에 연결된 버튼을 눌러 미리 정해진 진통제를 정맥 또는 경막 외로 투여 받을 수 있다. ref : [네이버 지식백과] 자가조절진통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암용어사전) PCA는 수술 후 통증 및 여러 다른 유형의 급성 통증뿐만 아니라 암성 만성 통증을 제어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PCA는 수술 후 통증을 줄일 뿐만 아니라 조기 재활에 도움이 되고 입원 기간을 단축하는 등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PCA는 여러 가지 약물을 하나의 보관 기기에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며, 그 후 약 혼합물의 일정한 ..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6. 16. 수술실 약제: 근이완제, 진정제, 진통제 전신마취란? 무의식 상태에서 통증 없이 심한 수술 자극에 대한 근육 및 반사 반응이 억제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무의식, 기억상실, 반사둔화, 무통, 근육마비 등 다양한 요소가 적절히 조절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1) 근이완제, (2) 진정제, (3) 진통제 등 여러 약제가 동시에 사용된다. 전신마취를 위해 투여하는 약제는 투여 경로에 따라 2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1) 흡입마취제(volatile induction and maintenance anesthesia, VIMA) 2) 완전 정맥 마취(total intravenous anesthesia, TIVA) 사용하는 약제의 경우 다른 약제에 비해 약사가 접하기 생소하지만 잘못된 용량 용법으로 환자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6. 5.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