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학통계·논문6 논문의 질 평가하기 : SCI급 논문, impact factor(IF) 모든 것엔 질이 있습니다. SCI (Science citation index); 과학기술논문 색인지수 미국 클래리베이트 애널리스틱(clarivate analytics)이 과학기술 분야 학술잡지에 게재된 논문을 바탕으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매년 학술적 기여도가 높은 학술지를 엄선하고, 동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의 색인 및 인용정보를 데이터베이스 화한다. 즉 SCI의 등록 여부는 세계적으로 그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학술지 평가 기준이 된다. cf) SSCI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사회과학논문 인용색인 SCI 저널 확인 방법 https://mjl.clarivate.com/home Web of Science Master Journal List Try our new Mast.. 🍓 의학통계·논문 2022. 9. 2. 의학 통계 : p값 p(probability, 확률) 값은 "두 군 간의 차이가 없다"라는 귀무가설(null hypothesis)의 가능성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쉽게 말해 해당 결과가 우연히 일어나서 극단적인 차이값을 만들 확률을 의미한다. ex) p = 0.5, 우연히 발생되는 차이의 확률이 0.5 → 50:50 p = 0.05, 우연히 발생되는 차이의 확률이 0.5 → 1:20 특히나 p = 0.05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으로 보는 임계치이다. p 값이 작을수록 우연히 그 결과가 나타날 확률이 적고 유의성은 높아진다. p= 0.05 0.01 0.001 해석 유의 매우 유의 매우 극도로 유의 reference : (1) 알기 쉬운 의학 통계, 3판 🍓 의학통계·논문 2020. 10. 7. 의학 통계 : 신뢰구간 , 메타분석 fixed-effects or random-effects model 신뢰구간(CI; confidence interval) : 단순히 표본의 평균이 아닌, 실제 모집단 참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알고 싶을 때 일반적으로 사용됨. *참값(true value) : 모집단 전체에 대한 자료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알 수 있는 평균값 예를 들어 고혈압치료제오 인한 혈압 강하 효과에 대한 논문이 있다고 해보자. 실제 논문에 참여한 집단에서 평균 혈압의 변화를 계산할 수는 있지만, 만약 또 다른 집단을 모집하여 그 평균 혈압 변화를 구한다면 정확히 같은 값을 가질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혈압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가 있기 때문이다. 신뢰 구간은 참값(논문에 참여한 집단의 수를 무한대로 가져갈 때의 평균혈압의 변화)이 있을 것 같은 범위를 제시한다. A연구 .. 🍓 의학통계·논문 2020. 9. 6. 의학 통계 : 표준편차 표준편차(SD; standard deviation) : 정규분포인 자료가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얼마나 흩어져 분포되어 있는지) 나타내는 값 평균값의 위 & 아래가 1인 표준편차(±1SD)인 범위는 그림에서처럼 자료의 68.2%를 포함한다. ±1SD ±1σ 68.2% ±2SD ±2σ 95.4% ±3SD ±3σ 99.7% 만약, 두 집단 간의 평균이 같고 표준편차가 다르다며, 더 작은 표준편차를 가진 집단이 더 좁게 퍼져 있을 것이다. 해석상 주의 사항 표준편차는 오직 자료가 정규분포일 때만 사용된다. 정규분포를 따르는지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은 평균에서 2SD만큼 떨어진 값들이 변수로서 가능한 범위 내에 속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예) 재원기간 평균 10 days, 표쥰편차 8 days -2SD.. 🍓 의학통계·논문 2020. 9. 6. 의학 통계 : 대푯값 ; 평균(mean), 중위수(median), 최빈값(mode) 오늘은 의학통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평균★★★, 중위수★★★, 최빈값☆을 배워보도록 하겠다! 평균(mean) 자료의 모든 측정값을 합산하여 이 값을 전체 자료의 수로 나누어 준 값 중위수(median) 자료를 크기 순으로 나열했을 때 한가운데에 위치하는 자료값 자료가 홀수 개- 정중앙 값 자료가 짝수 개- 중앙에 위치한 값이 두 개가 되므로 이 경우에는 두 값의 평균 최빈값(mode) 자료 중 빈도수가 가장 높은 자료값 각 값들을 해석할 때 주의 사항 1) 평균 mean 하나의 값 혹은 여러 값이 다른 값에 비해 너무 작거나 커서 자료가 치우쳐 있을 경우 자료 값 평균 10, 11, 12, 13, 14, 14 12.33 10, 10, 10, 11, 11, 22 12.33 이런 경우에는 평균보다.. 🍓 의학통계·논문 2020. 9. 6. 의학 통계 : 백분율 백분율 (percent) : 전체의 수량을 100으로 하여, 생각하는 수량이 그 중 몇이 되는가를 가리키는 수(퍼센트) ref : 네이버 두산백과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개념이다.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의학 통계를 해석할 때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백분율과 비슷한 개념으로 '비율(ratio)'가 있다. 이는 특정 범주에 속하는 값을 총 수로 나눈 값이다. 예를 들어 A약으로 치료 중인 환자 200 명 중 부작용을 경험한 환자가 20명이라면 A약의 부작용 비율은 20/200=0.1 이다. 2) 자료의 실제 크기를 숨기기 위해 백분율을 사용할 수 있다. 표본의 크기가 1000명 vs 10명일 때 10%의 크기는 다르다. (각각 100명 vs 1명) 과연 10명의 10% 값을 믿을 만한 값.. 🍓 의학통계·논문 2020. 9.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