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신경28 편두통 예방을 위한 식습관 : 아연(Zinc), 마그네슘, 비타민 B12, 비타민 D 😊 편두통 예방을 위한 영양제, 식이 중 특히 아연에 대해 알아보자! 11,000명 이상의 미국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cross-sectional study 결과에 따르면, 식이 아연 섭취량이 많은 사람들은 그들의 식단에서 아연을 거의 섭취하지 않는 사람들보다 편두통의 위험이 거의 1/3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연구팀에서 정말 편두통 발생에 아연 섭취량이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해 미국의 U.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자료를 분석하였다. 😆 Background Neuroinflammatory and oxidative stress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migraine. Little is k.. 🤹♂️ 카테고리별 약물/신경 2023. 1. 23. 타시그나, Nilotinib , off label, 파킨슨 병, Parkinson Disease Is the use of nilotinib hydrochloride, a drug approved for use in leukemia, safe and effective in patients with Parkinson disease? Nilotinib: 항암제 국내 허가사항 새로 진단된 만성기의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만성골수성백혈병(Ph+CML) 성인 환자의 치료.이 약의 유효성은 주요 분자학적, 세포유전학적 반응률을 근거로 하고 있다. 이매티닙을 포함하는 선행 요법에 저항성 또는 불내성을 보이는 만성기 또는 가속기의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만성골수성백혈병(Ph+CML) 성인 환자의 치료. 이 약의 유효성은 세포유전학적, 혈액학적 반응률을 근거로 하고 있다. 새로 진단된 만 2세 이상의 만성기의 필라델.. 🤹♂️ 카테고리별 약물/신경 2021. 10. 13. Haloperidol의 올바른 투여 (2탄): IV 투여는 금기인가? 미국 FDA에서 승인받지는 못했지만 off label로써 정맥 주입 haloperidol(IV haloperidol; IVH)은 delirium & agitation 관리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수년간 IVH의 부작용, 특히 QT연장, TdP(Torsades Depointes), extrapyramidal symptoms(추체외로증상), catatonia(긴장증) 등의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관련포스팅: https://gimi-drug.tistory.com/49 PRISMA 지침에 따라 PubMed에서 IVH 부작용과 관련된 출판 문헌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를 실시했다. 확인된 196개의 원고 중 77개가 포함 기준을 충족했으며 여기에는 34개의 임상시험과 34개의 사례 보고서 또는 시리즈가 포함된다.. 🤹♂️ 카테고리별 약물/신경 2021. 8. 17. Gabapentin(가바펜틴, 뉴론틴)의 신기능에 따른 용량 조절, CRRT 시 용량 Gabapentin의 신기능에 따른 용량 조절 Gabapentin은 신경병증성 통증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항뇌전증 약제이다. 주로 신장으로 배설되며 신장 기능이 감소된 환자의 경우 gabapentin의 청소율이 감소된다. 1. Gabapentin 국내 허가사항 적응증 간질(Epilepsy) 신경병증성 통증 (Neuropathic pain) 대상 1) 만 3세-만 12세 2) 만 13세 이상 성인(18세 이상) 용법용량 *만 13세 이상 regimen 1st : 300 mg qd or 100 mg tid 2nd : 300 mg bid or 200 mg tid 3rd ~ : 300 mg tid 혹은 바로 300 mg tid로 투여 가능함 max: 2,400 mg/day 2,400 mg/day 초과용량과 관련.. 🤹♂️ 카테고리별 약물/신경 2021. 8. 5.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SAH) 관리(1) : 재출혈(Rebleeding), 지혈제, Antifibrinolytic Treatment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SAH) 자발 또는 외상에 의하여 나타남, 가장 흔한 원인은 뇌동맥류(약 80%)임 지주막하출혈은 전체 뇌졸증의 약 5%를 차지함 빠른 수술 혹은 혈관 내 중재시술과 함께 1960년대 35%였던 사망률이 2000년대 20%로 감소됨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ICP) 증가 또는 뇌관류압(cerebral perfusion pressure; CPP)의 감소는 나쁜 예후를 보임 조기 뇌동맥류 결찰 혹은 coiling한 후 주의해야할 합병증: 재출혈, 뇌혈관연축(cerebral vasospasm), 수두증(hydrocephalus), 저나트륨혈증, 지연 허혈성 신경학적 결손(delayed ischemic neurological de.. 🤹♂️ 카테고리별 약물/신경 2021. 7. 1. Phantom Limb Pain 관리: 환상지통(환상통), 절단(amputation) 환상지통? Phantom pain? 이미 절단해서 상실한 팔다리가 아직 있는 것처럼 느끼고 그곳에 통증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절단지의 신경 말단부에 순환장애나 유착반흔이 있으면 생기기 쉽다. 견디기 어려운 작열통(灼熱痛)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정신적 요소도 악화인자의 하나이고 정신적으로 평온한 상태에서는 통증도 적은 경우가 많다. 치료법으로서는 안정제, 진통진정제 등의 약물요법 외에 재절단술, 난치의 경우는 교감신경절단술이나 척수후근 절제술이 이루어지는 수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환상지통 [phantom limb pain, 幻想肢痛]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절단 통증(Stump pain) 절단된 팔다리의 잔존 부분의 통증 환상 통증(Phantom pain) 절단으로.. 🤹♂️ 카테고리별 약물/신경 2021. 5. 23. 만성 알코올 중독자의 ICU management: agitation, baclofen ICU에서 만성 알코올 중독자 기저력을 가진 환자들을 종종 볼 수 있다. ICU 병실에서 알코올 의존 환자는 금단 증후군과 흥분(agitation)의 위험도가 높아지며 이로 인해 self-extubation, selfablation of medical devices, falls, or heavy sedation causing delayed awakening 등을 야기한다. 이 모든 요소들은 ICU에서 사망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 기준 the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NIAAA) For a male: consumption of >14 glasses/week in the year prior to hospitalization For a m.. 🤹♂️ 카테고리별 약물/신경 2021. 5. 12. 항정신병약제(antipsychotic) 간 효능/부작용 차이 요약 Schizophrenia(조현병)에 사용되는 약제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randomised controlled trial을 통해 항정신병 약제들의 임상 시험 정보를 정량화하여 비교/순위를 매기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network meta-analysis of placebo-controlled and head-to-head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32개의 약제 포함: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in adults with acute symptoms of schizophrenia or related disorders. 제외: studies in patients with treatment resistance, first epi.. 🤹♂️ 카테고리별 약물/신경 2021. 4. 3. 중증 뇌 손상 환자 가이드라인(traumatic brain injury)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Fourth Edition 가이드라인 문헌 중 약제와 관련된 부분을 발췌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1. Hyperosmolar therapy ✔ Mannitol is effective for control of raised ICP at doses of 0.25 to 1g/kg body weight. Arterial hypotension (systolic blood pressure 🤹♂️ 카테고리별 약물/신경 2021. 3. 30. 마도파 HBS 캡슐 vs 마도파 정 차이점, levodopa 제형 차이 LEVODOPA: 마도파 HBS 캡슐 vs 마도파 정 마도파 정 125 MG 마도파 HBS 캡슐 125 MG 함량 levodopa 100 MG benserazide 25 MG levodopa 100 MG benserazide 25 MG 효능/효과 파킨슨증후군(약물로 인한 파킨슨병 제외) 용법/용량 가능한 저용량으로 치료를 개시하여 천천히 증량 음식 상호작용 😮 단백식이 시 레보도파의 경쟁효과 有 ⇛ 레보도파의 특성 상, 분자량이 큰 중성 아미노산이기 때문에 소장 및 BBB 통과에 식이 단백질과 경쟁할 수 있음 😮 신속한 작용을 위해 가능하다면 식전 30분 또는 식후 1시간 복용 권장 😮 하지만 위장관계 이상반응이 발생할 때는 저단백 식이와 함께 복용하거나 천천히 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조절 가능 😮 음식물.. 🤹♂️ 카테고리별 약물/신경 2021. 2. 24.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행동 장애 약물 권고 사항(French recommendation) 2016 Irritability, aggressiveness, agitation, impulsivity, depression, apathy 목적 외상성 뇌손상(TBI) 후 신경행동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약물 사용에 대한 지침서나 권장사항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neuroleptics, antidepressants, beta-blockers, mood stabilizers and other medications for irritability, aggressiveness, agitation, impulsivity, depression, apathy에 대한 문헌과 가이드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를 제안한다. 결론 772건의 참고문헌 중 89건이 분석 ⇒ 1,306 명의 TBI 환자 포함 해당 질환의 약물 치료를 표준.. 🤹♂️ 카테고리별 약물/신경 2021. 2. 20.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의 행동장애 약물 치료; 초조(agitation), 공격적 행동(aggression) 외상성 뇌손상 환자 특징 행동장애(흔함) 급성기 : 외상 후 기억상실증(post-traumatic amnesia) → 초조/공격적 행동 급성기 병태생리 : 뇌 손상 → 신경전달물질체계의 변화/조절곤란(dysregulation) → Dopamine, Norepinephrine (각성/주의력), Choline(기억력) + 신경전달 시스템의 하나의 전달 물질의 단독 문제보다는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증상이 나타남 회복기 : 주의력, 기억력, 정보처리 능력 및 지각 등의 인지기능의 문제 발생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약물치료 원칙 적은 용량에서 천천히 증량 : 더 적은 양을 더 오랜 시간에 걸쳐 용량 조절 치료 목표, 효과, 기간에 대한 명확한 계획 임상 증상을 표준화된 척도로 평가 약물 상호작용 주의 한가지 약의 효.. 🤹♂️ 카테고리별 약물/신경 2021. 2. 18.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