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항암·보조요법22 항암제, 허가초과 항암요법,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신경내분비암(Neuroendocrine carcinoma), FOLFIRI regimen Case.1 5-FU 1200 mg over 44 hrs? 일반적으로 위장관계 암에서 사용되는 FOLFIRI regimen은 다음과 같다. ¶ A lower initial starting dose of irinotecan may be considered for patients with poor performance status, prior pelvic or abdominal radiotherapy, or increased bilirubin levels. Whether a reduced starting dose is needed in patients who are homozygous for the UGT 1A1*28 allele (Gilbert syndrome) and whether testing for .. 🤹♂️ 카테고리별 약물/항암·보조요법 2023. 5. 13. 류코스팀 투여 후 흉통, G-SCF 부작용, filgrastim SC vs IV, 항암 후 호중구감소증 치료 Filgrastim, 그라신 주 프리필드 시린지 - 효능 효과 1-1. 고형암에 대해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의 호중구감소증 1-2. 혈액종양에 대해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의 호중구감소증 2. 골수이형성증후군에 따른 호중구감소증 3. 재생불량성빈혈에 따른 호중구감소증 4. 선천성ㆍ특발성 호중구감소증 5.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증 치료에 지장을 초래하는 호중구감소증 6. 조혈모세포의 말초혈중으로의 동원 1) 동종 및 자가 말초조혈모세포 채취 시의 필그라스팀 단독투여에 의한 동원 2) 자가 말초조혈모세포 채취 시의 항암화학요법제 투여종료 후 필그라스팀 투여에 의한 동원 7. 조혈모세포이식시의 호중구수 증가 촉진 - 용법용량(2023.03.20) 고형암 보통 성인ㆍ소아 모두, 항암화학요.. 🤹♂️ 카테고리별 약물/항암·보조요법 2023. 3. 20.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키트루다 주사, 200 mg vs. 2 mg/kg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키트루다 주사 A. 일반적으로 키트루다는 200 mg 3주 간격으로 투여되는 약제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임상에서 간혹가다 2 mg/kg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왜 그런 것일까 알아보았따! Q. 과거에는 단클론 항체 약제의 용량 결정에는 체중이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기 때문에 체중 기반 용량으로 2 mg/kg 3주 간격으로 투여되었지만 고정 용량(200 mg 3주 간격)이 체중 기반 용량과 비교했을 때 약물의 체내 노출 정도는 큰 다름이 없었으며 폐기되는 약물의 양도 적어진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는 대부분 고정 용량을 사용 중임! 효능/효과 흑색종 1.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인 흑색종 환자의 치료 2. 완전 절제술을 받은 IIB기, IIC기 또는 III.. 🤹♂️ 카테고리별 약물/항암·보조요법 2023. 2. 22. 항암제 투여 순서 : paclitaxel, cisplatin, chemotherapy, sequencing 항암 화학요법은 주로 두 가지 이상의 항암제의 병용 요법인 경우가 많다. 이는 항암제 각각 다른 작용 메커니즘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 그러나 병용되는 항암제끼리 서로 약물 상호작용의 가능성이 있다. 문제는 특정 레지멘에 대한 많은 1상과 2상 연구들이 이러한 약제들이 투여된 순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cytochrome P450 경로를 통해 여러 항암제(ex, doxorubicin, docetaxel, paclitaxel 등)가 광범위하게 대사되며, 여러 항암제(예: taxane계, platinium계)는 높은 수준의 단백질 결합을 가지고 있다. 또한, 많은 항암제들이 세포 독성을 증가시키거나 두 번째 투여되는 항암제의 메커니즘을 방해할 수 있는 세포 주기 .. 🤹♂️ 카테고리별 약물/항암·보조요법 2023. 1. 12. 항암제 과민반응, 탈감작요법 : desensitixation, drug hypersensitivity 1. 약물 과민반응(drug hypersensitivity) 1) 제1형 과민반응 감작된(sensitization) 비만 세포(mast cell)와 호염기구(basophil)에서 분비되는 매개체들(여러 가지 염증매개체; 히스타민, 트립타제)에 의한 반응 → 제한된 국소 피부 반응 : 홍조, 가려움증, 두드러기, 혈관부종 등 → 그 밖의 기타 여러 가지 장기와 관련된 증상 : 재채기, 비강 및 부비동 울혈, 기침, 호흡곤란, 천명, 복통, 구역/구토, 설사 등 → 중증의 전신 증상 : 저혈압, 심혈관 허탈(cardiovascular collapse) 등의 전형적인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유발, 합병증으로 파종혈관내 응고(DIC)도 발생할 수 있음 항암제의 경우 여러 주기에 걸친 반복 투여를 하.. 🤹♂️ 카테고리별 약물/항암·보조요법 2023. 1. 2. Chemotherapy-induced diarrhea, 항암제 부작용: 설사, loperamide, octreotide 화학요법에 의한 설사(Chemotherapy-induced diarrhea;CID)는 암 치료의 일반적인 부작용이며 상당한 이환율과 사망률(morbidity and mortality)을 유발할 수 있다. 설사는 종종 화학 요법의 용량 감소, 지연 또는 중단이 필요할 정도로 심각합니다. Irinotecan & bolus 5-fluorouracil의 임상시험에서 diarrhea-associated mortality는 3.5%까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CID의 빈도와 그것이 환자에 미치는 영향은 임상 실무에서 종종 과소 평가된다. 설사는 화학 요법의 일반적인 부작용으로, 특히나 5-FU(bolus fluoracil)와 irinotecan를 포함하는 regimen에서 그러하다. 모든 등급의 설사 발병률은 8.. 🤹♂️ 카테고리별 약물/항암·보조요법 2022. 12. 26. 백금 기반 항암제, 항암제 부작용, cisplatin, carboplatin, oxaliplatin 백금 기반 항암제인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보플라틴(carboplatin),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은 효과적이지만 심각한 용량 제한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된다. 시스플라틴에 대한 용량 제한 부작용은 신독성이고, 카보플라틴에 대한 것은 골수 억제이며, 옥살리플라틴에 대한 것은 신경독성이다. 백금 기반 항암제의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아나필락시스, 세포감소증(백혈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빈혈 포함), 간독성, 이독성, 심장독성, 메스꺼움과 구토, 설사, 점막염(mucositis), 구내염, 통증, 탈모, 악액질(cachexia; 지속적인 체중 감소와 식욕부진, 지방 조직 및 근육의 쇠퇴, 영양학적 대사 불균형 등을 초래하는 증후군), 쇠약(asthenia)이 포함된다. 부작용으로 .. 🤹♂️ 카테고리별 약물/항암·보조요법 2022. 12. 10. Bevacizumab, wound healing : 상처 지연, 외과적 수술 전 주의 항암제 Bevacizumab: anti-VEGF agent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 VEGF)에 결합하여 중화하는 재조합형 인긴화 단일클론 항체(recombinant, humanized monoclonal antibody)이다. 미세 혈관 성장의 억제는 모든 조직(암 전이 조직 포함)의 성장을 지연시킬 수 있다. 현재 전이성 유방암, 대장암, 비소세포 폐암의 치료에서 병용요법의 first-line agent로 승인받았다. 뿐만 아니라 여러 임상시험에서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위암, 신장세포암, 전립선암, 췌장암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고 있다. 국내 허가사항 상 전이성 직결장암, 전이성 유방암, 비소세포폐암, 진행성 또는 전이성 신세포함, 교모세포.. 🤹♂️ 카테고리별 약물/항암·보조요법 2022. 12. 8. 유방암 환자에서 trastazumab 정맥주사 vs 피하주사 차이: 허셉틴 주, ANAPA 주입기기 Trastazumab HER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2)는 유방 상피세포에 발현되어 있는 발암 단백질로 세포의 분화 및 사멸에 관련된 신호를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유방암 환자에서 약 15-20% 과발현 되며 과발현 된 HER2의 경우 HER2 음성 유방암보다 공격적인 질병 진행을 보여 예후가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Trastazumab은 이러한 HER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종양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단일클론항체이다. 정맥주사 제형이 1998년 FDA 승일은 받고 2005년 국내 식약처 허가를 받았다. 이후 피하주사 제형이 새로 출시되어 2013년 EMA(유럽) 승인되어 2014년에 국내 허가를 받았다. 상품명 허셉틴 주 150 MG 허셉틴 피하주사 .. 🤹♂️ 카테고리별 약물/항암·보조요법 2022. 9. 12. 항암제 생리식염수(NS) 재구성 약물 파우더 제형의 주사 항암제의 경우, 희석 혹은 투여 전 재구성이 필요하다. NS에 재구성 하는 항암제에 대해 알아보자! 성분명 상품명 효능 효과 재구성(NS) 희석 Bleomycin BLEOCIN VIAL 15 MG 브레오신 주 15 mg 피부암, 폐암, 자궁경부암, 악성림프종 등 5 ML NS Bortezomib VELCADE VIAL 3.5 MG 밸케이드 주 3.5 mg 1. 다발골수종 2. 외투세포림프중 SC 1.4 ML* (common) IV 3.5 ML NS Cyclophosphamide ENDOXAN VIAL 500 MG 엔독산 주 500 mg 1. 악성림프종 2. 다발성골수종 3. 백혈병 4. 신경모세포종 5. 난소암 6. 망막아종 7. 유방암 25 ML NS 5DW Gemcitabine G.. 🤹♂️ 카테고리별 약물/항암·보조요법 2022. 8. 7. 자카비 정; ruxolitinib(록소리티닙) 자카비 정, ruxolitinib(록소리티닙) 1. 약물 기전 Janus kinase (JAK) 1/JAK2 inhibitor 골수섬유증의 근본적인 원인인 JAK1과 JAK2의 활성화된 신호기능을 억제하는 표적항암제 기존 골수섬유화증과 진성 적혈구 증가증에만 적응증을 받은 ruxolitinib(자카비 정)은 2021년 미국 FDA로부터 만성 이식편대숙주병((graft-versus-host disease, GVHD)으로 적응증을 확대 승인받았고 현재 국내에서도 해당 적응증을 승인받았다. 2. 효능효과 및 용법용량 효능효과 용법용량 * 음식물의 섭취 여부와 관계없이 복용 1. 골수섬유화증 PLT 수에 따라 10-20 mg bid(max 25 mg bid) 2. 진성 적혈구 증가증 ; 히드록시우레아에 내성 또.. 🤹♂️ 카테고리별 약물/항암·보조요법 2022. 6. 6. 만성골수성백혈병(CML;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치료제: TKI(tyrosine kinase inhibitors) 만성골수성백혈병(CML;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치료제의 역사 19세기 arsenic compound가 주원료인 Fowler’ s solution을 CML 치료로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그 이후에는 비장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이 유일한 치료 방법이었지만 중앙 생존이 30개월에 불과하였다. 1950년에 busulfan의 사용으로 중앙 생존 기간이 3.5-4년으로 증가하였지만 백혈병 세포보다 정상 조혈모세포를 더 파괴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1960년대에는 이를 보완한 hydroxyurea가 사용되었다. 1960년에 CML 환자들에서 짧아진 22번 염색체; 필라델피아 염색체(Philadelphia chromosome)의 특징으로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980년에는 인터페론을 .. 🤹♂️ 카테고리별 약물/항암·보조요법 2022. 6. 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