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omeprazole9 간 장애 환자에서의 PPI: pantoprazole, esmoperazole 간부전 환자에서 선호되는 PPI에 대한 내용의 포스팅을 올린적이 있다. https://gimi-drug.tistory.com/255 간부전 환자 : pantoprazole, esomeprazole, 간장애 용량 조절 간부전 시 PPI 용량 조절 PPI는 신부전 시 용량 조절이 필요없는 약제 중 하나이다. 하지만 간부전 시 용량 조절이 고려되는 약제이기도 하다. 각 약제의 PK/PD data와 국내/외국 허가사항을 알아보도 gimi-drug.tistory.com 추가적인 내용을 위해 비슷한 내용을 덧붙여서 포스팅하고자 한다. 간경변 환자(cirrhosis)와 정상 대조군에서 약동학적 변화(pharmacokinetic alteration)가 관찰됨! Cmax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AUC나 반감기는 두 그룹 .. 🤹♂️ 카테고리별 약물/간담도 2021. 8. 19. 에소메졸디알서방캡슐, esomeprazole 약물상호작용, PPI 경구제 급여 기준(2021.01.01) 상품명 에소메졸 디알 서방 캡슐 Esomezole DR SR CAP 성분명 ① 장용코팅 정제부 esomeprazole 20 mg ② 서방성 장용코팅 정제부 esomeprazole 20 mg ① 장용코팅 정제부 esomeprazole 10 mg ② 서방성 장용코팅 정제부 esomeprazole 10 mg 함량 40 MG 20 MG 허가일 2020년 10월 06일 2020년 10월 06일 효능/효과 1. 위식도 역류질환(GERD) - 미란성 역류식도염의 치료 - 식도염 환자의 재발방지를 위한 장기간 유지요법 용법/용량 👉성인 GERD - 미란성 역류 식도염의 치료: 40 mg qd 4주 동안 → 증상 지속 시 4주 연장 - 식도염 재발 방지를 위한 장기간 유지 요법: 20 mg qd 👉12세 이상의 청소년 .. 🤹♂️ 카테고리별 약물/위장관·췌장 2021. 3. 27. Pantoprazole, esomeprazole continuous infusion, 지속 점적 주사, 안정성 판토라인 주, 넥시움 주, 지속점적주사 시 고려사항(안정성, stability) pantoprazole, esomeprazole와 같은 주사제 PPI는 소화성 궤양으로 인한 위장관 출혈 중 활동성 출혈 또는 재출혈 고위험군인 경우 지속점적 투여할 수 있다. 24시간 희석된 상태로 상온(room temperature)에 방치되기 때문에 해당 약제들의 안정성(stability)이 중요한 요인이 된다. 간단한 예로 약물의 희석 후 안정성에 따라서 24시간 동안 투여되는 약제를 한꺼번에 희석하여 투여할 것인지 안정성 시간을 고려하여 분할하여 투여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허가사항 성분명 허가사항(FDA) Pantoprazole (revised: 2020.11.) The reconstituted solutio.. 🤹♂️ 카테고리별 약물/위장관·췌장 2021. 3. 11. 간부전 환자 : pantoprazole, esomeprazole, 간장애 용량 조절 간부전 시 PPI 용량 조절 PPI는 신부전 시 용량 조절이 필요없는 약제 중 하나이다. 하지만 간부전 시 용량 조절이 고려되는 약제이기도 하다. 각 약제의 PK/PD data와 국내/외국 허가사항을 알아보도록 하자! 성분명 Pantoprazole Esomeprazole 상품명 판토록 주 40 MG 오엠피 에스 주 40 MG Vd 11-23.6 L 16 L Protein binding 98 % (주로 알부민) 97 % Metabolism CYP2C19, CYP3A4 CYP2C19, CYP3A4 대사 이후 inactive metabolite * time-dependent inhibitor of CYP2C19, resulting in autoinhibition and nonlinear pharmacokine.. 🤹♂️ 카테고리별 약물/간담도 2021. 2. 23. 소아 PPI 적응증별 용량, 투여 방법 지난 포스팅에서 소아에게서 사용 가능한 PPI를 살펴보았다. - Dexlansoprazole : 12세 이상부터 사용 가능 - Pantoprazole : 경구제제의 경우 5세 이상 사용 가능하더라도 장용 정제이므로 가루약 불가능 주사제제의 경우 승인되지 않음 - Rabeprazole : 스프링클 제형이 승인되었지만 한국에는 없는 제형임 따라서 소아에게 사용 가능한 PPI는 esomeprazole과 lansoprazole로 좁혀진다. 그중 IV 제형은 esomeprazole 뿐이다. 1. Esomeprazole PO Erosive Esophagitis 1개월-1세 3 to 5 kg 2.5 mg qd (over 6wk) >5 to 7.5 kg 5 mg qd (over 6wk) >7.5 kg 10 mg qd .. 🤹♂️ 카테고리별 약물/위장관·췌장 2020. 9. 8. PPI PK parameter 비교, esomeprazole, lansoprazole, dexlansoprazole, ilaprazole, pantoprazole, rabeprazole Esome prazole Mg Lanso prazole Dexlanso prazole Ilaprazole S-Panto prazole Panto prazole Rabe prazole 경구 NEXIUM TAB 20 MG OMP-S TAB 40 MG LANSTON LFDT TAB 15 MG LANSTON LFDT TAB 30 MG DEXILANT DR CAP 30 MG DEXILANT DR CAP 60 M NOLTEC TAB 10 MG LETOPRA TAB 10 MG PANTOLOC TAB 20 MG PANTOLINE TAB 40 MG PARIET TAB 10 MG PARIET TAB 20 MG 주사 OMP-S VIAL 40 MG (Esome prazole Na) - - - - PANTOLOC VIAL 40.. 🤹♂️ 카테고리별 약물/위장관·췌장 2020. 9. 4. PPI mechanism, 에소메프라졸, 판토프라졸의 약동학적 특징 PPI의 역사 PPI는 omeprazole을 시작으로 pantoprazole, lansoprazole, rabeprazole 순으로 출시되었다. PPI chemical structure 공통의 작용기로 benzimidazole과 pyridine을 가지며 서로 조금씩 다른 PK/PD 성질을 가진다. PPI mechanism proton pump(H+/K+ ATPase)는 위 내강(lumen)의 벽세포(parietal cell)에 존재하며, 특히 소관이라 불리는 canaliculus에 존재한다. 이는 H+를 위 내강 쪽으로 내보내고 K+를 세포 안으로 들여보낸다. 이를 통해 소관은 pH < 1.0을 유지하게 되며, 이 공간의 pH가 낮을수록 이온형의 증가로 PPI(약염기)의 축적을 야기한다. (omepraz.. 🤹♂️ 카테고리별 약물/위장관·췌장 2020. 8. 22. PPI 주사제 보험 심사 기준, 고시 제 2018-58호 고시_제2018-58호 고시일 : 2018.03.28 1. Omeprazole, Pantoprazole 가.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아 래 - 1) 소화성 궤양으로 인한 위장관 출혈 ○ 경구투여가 불가능한 경우에 1일 80mg씩 3일 이내 인정 2) 십이지장궤양, 위궤양, 역류성 식도염,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 경구투여가 불가능하고 H2 수용체 길항 주사제(H2 receptor antagonist) 투여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에 1일 40mg씩 3일 이내 인정 나. 허가사항 범위를 초과하여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한 경우에도 요양급여를 인정함. - 아 래 - 1) 조혈모세포이식시 시행되는 고용량.. 🤹♂️ 카테고리별 약물/위장관·췌장 2020. 8. 19. Stress ulcer prophylaxis, 스트레스 궤양 연관 위장관 출혈 예방, Famotidine, esomeprazole, pantoprazole 스트레스 궤양 연관 위장관 출혈은 중환자실 환자에서 잘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성인 중환자실 환자의 약 2.5%가 상부 위/장관 출혈이 발생하며, 급성 질환, 기저 만성 질환, 약물(항응고제, 항혈소판제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기계환기 등에 의해 위장관 출혈 위험성이 증가한다. 이러한 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2017 Surviving sepsis campaign 가이드라인에서도 스트레스 궤양 예방 약제로 PPI 또는 H2RA의 사용을 추천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약제들의 사용으로 인해 C. difficile 감염, 폐렴 위험성이 증가될 수 있다는 우려하고 있다. 따라서 약제를 선택할 때, 환자의 상태, C. difficile 감염이나 폐렴의 유병률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 F.. 🤹♂️ 카테고리별 약물/위장관·췌장 2020. 8.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