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기타40 통풍 요산저하제의 약물부작용, 자이로릭(allopurinol) vs 페브릭(febuxostat) , 스티븐스-존슨증후군 vs 심혈관계 위험증가 알로푸리놀 과민반응(스티븐스-존슨증후군)에 대한 우려로 인해 국내에서 페북소스타트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했다.그러던 중 2019년도에 페북소스타트의 심혈관계 위험 관련 논쟁이 발생했다. 상품명자이로릭정페브릭정성분명allopurinol 100 mgfubuxostat성상참고피부 부작용스티븐스-존슨증후군심혈관계 위험 증가(알로푸리놀에 비해) 자이로릭정(allopurinol)의 피부 과민 반응 알로푸리놀 투여 전 해당 유전자에 대한 검사를 시행할 수 있음* 이전에는 만성신질환 환자에서 알로푸리놀 사용 시에만 급여 인정했는데 급여 확대 페브릭정(febuxostat)의 심혈관계 위험 증가CARES연구에서 심혈관계 사망이 페북소스타트가 알로푸리놀에 비해 유의하게 높음 하지만 이 연구의 한계(제한점)페북소스..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5. 1. 1. 통풍 국내 진료지침 : 통풍발작치료(콜킨vs낙센vs스테로이드), 요산저하제(자이로릭vs페브릭) 통풍의 치료, 가이드라인 중심으로 국내미국유럽2022.10대한류마티스학회 The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ACR) European League Against Rheumatism (EULAR) 👩⚕️결론: 가장 큰 업데이트는 과거에는 급성발작이 있을 때 요산저하제+항염증제를 동시에 사용하지 않고 통증이 완화된 이후 요산저하제를 사용했는데 요즘은 동시에 시작하는 것! 통풍이란?여러 원인으로 혈중에 요산의 농도가 높아져 관절이나 연조직에 요산 결정이 침착되는 질환결정을 포식하는 과립세포로 염증반응이 일어나 심한 통증이 유발됨*관절 부위의 부종, 발적, 발열 동반 혈중 요산 수치를 조절하는 생활습관이나 약물 치료 등을 통해 급성 통풍 발작(gout flare)를 ..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5. 1. 1. 약사의 조제 업무 영역에 대해서 약국에서 일하면서 약사와 비약사(직원)의 업무 분장에 대해 고민하던 중 어디까지가 조제의 영역인가 http://m.dailypharm.com/News/279895 [데일리팜] 자동조제기에 약 채운 직원…1·2심 무죄 이유는?[데일리팜=정흥준 기자] 약국 직원이 자동조제기(ATC)의 STS 조제판에 약을 채웠다는 이유로 검찰 기소됐지만, 1·2심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이를 검찰이 상고하지 않으면서 비약사 조제 등m.dailypharm.com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4. 11. 6. 약국에서 구매 가능한 수면제(정확하게 수면유도제), 쿨드림 vs 아론 vs 레돌민 수면제 vs 수면유도제 수면유도제는 항히스타민제와 같이 졸음을 유발하는 약물로 의사 처방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한 일반의약품이다. 그에 반해 수면제는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으로 보통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향정신성 의약품을 말하여 졸피뎀, 벤조디아제핀계 등이 있다. 수면제는 대부분 의존성과 중독을 일으키는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 엄격하게 취급 및 관리되고 있다. 대부분의 수면유도제는 항히스타민제인데, 항히스타민제의 매우 흔한 부작용인 졸음(진정 작용)을 역이용해 잠이 오게 하는 약물로 개발한 것이다. 성분명 Diphenhydramine 디펜히드라민 Doxylamine 독실아민 길초근/호프 상품명 쿨드림 정 아론 정 레돌민 정 식별 작용기전 뇌혈관장벽(BBB)를 통과해 대..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3. 8. 24. 항콜린약물(Anticholinergic agent) (feat. 노인위험약물(beers criteria), 중환자 ventilator 삽입 시, 키미테 잘라서) 항콜린 약물은 요실금, 파킨슨 병, 호흡기 질환,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하지만 부작용 측면에서도 항콜린 작용(졸림, 장운동 저하;소화불량, 변비, 배뇨장애, 시야 흐림, 안구건조, 안압상승, 침 감소;입마름, 기관지 이완, 땀 분비 억제, 등)은 중요하다. 항콜린 약물의 다양한 임상 사용 (feat. summary) 항콜린 약물은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시냅스라는 곳의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활동을 차단/억제하는 약물이다. 억제함으로써 부교감신경계의 작용을 억제하는데 부교감 신경계의 통제하에 있는 위장관, 폐, 요로관계 등 다양한 영역의 평활근에 영향을 끼친다. 1) Ipratropium & Tiotropium : 기관지 확장/호흡곤란 완화, COPD ..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3. 6. 30. 약물의 투여 경로(administration route) : SC vs IV, insulin, eopetin alfa, bortezomib, rituximab, trastuzumab 정맥 주사(IV), 피하 주사(SC), 근육 내 주사(IM)는 약물 투여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세 가지 주사 경로이다. 😁 IV injection 주사를 이용한 약물 투여는 바늘을 이용해 정맥에 약물을 주입하는 것으로, (경구 약제에 비해) 빠른 흡수가 요구되거나, 경구로 섭취할 수 없거나(혹은 경구 투여 시 흡수가 불량할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 투여할 약물이 피부(SC)나 근육(IM)에 주입하기 어려울 정도로 자극적일 때 사용된다. 😁 SC injection 피하 조직에 볼러스(bolus)로 투여된다. * ANAPA와 같은 기기로 bolus보다는 다소 천천히 투여되기도 한다. https://gimi-drug.tistory.com/544 유방암 환자에서 trastazumab 정맥주사 vs 피하주사 차..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3. 3. 19. 데노신 주사, 우루사 정 검사용으로 왜 사용하는 것일까? : Adenosine, Ursodeoxycholic, scintigraphy 외래 환자가 검사용으로 아데노신 주사와 우루사 정을 받아가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어떤 검사에 사용되며 어떤 기전으로 사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Adenosine 이 때 adenosine의 경우 관상동맥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Ursodeoxycholic acid 결론: 관류 스캔에 이용되는 방사성 의약품제(radiopharmaceutical agent)가 있는데 UDCA(Ursodeoxycholic acid)가 이 약물의 배설에 영향을 주어 영상 판독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사용하는 것이다. 사족: 아이러니하게도 scintigraphy 장기 위치에 따라 UDCA에 기대하는 효과는 다른 측면으로 보인다. 간담도의 경우 빨리 간/담도 쪽으로 배설되..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3. 3. 6. septic shock, sepsis : 고용량 비타민, high dose Vitamin B12(cobalamin), hydroxocobalamin Vitamin B12(cobalamin) 인간은 비타민 B12를 합성할 수 없으며 전적으로 식이 공급원에 의존한다. 비타민 B12의 하루 권장량은 남성 및 비임산부의 경우 2.4 μg, 임산부의 경우 2.6 μg이다. 비채식주의 서구 식단에서 비타민 B12의 주요 공급원은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와 관련이 있다. 대부분의 채식주의자들은 하루에 0.25~0.5 μg의 cobalamin만 섭취하며 cobalamin 결핍의 위험이 있다. 일단 비타민 B12의 체내 저장량(주로 간)이 포화된 이후, 비타민 B12 섭취가 더 이상 없다면 비타민 B12 결핍이 되기까지 6개월에서 12개월이 걸릴 것이다. 비타민 B12 결핍은 연령이 증가되면서 더 많이 관측되는데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평균 연령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3. 3. 1. 약국에서 받은 시럽제 얼마간 보관할 수 있나요? : 약 보관 기간, 시럽제 개봉 후 안정성 , 비닐 포장 약 보관 약국에서 받은 시럽제 뿐만 아니라 비닐 포장된 약, PTP채로 된 약 각각의 보관 기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구 약들의 포장을 보면 주로 통약과 PTP로 되어 있습니다. 시럽제의 경우에는 팩제나 덕용 통 안에 들어 있게 됩니다. 시럽제는 보통 조제용으로는 500 mL 짜리가 있기 때문에 실제 환자분에게 나갈 때는 밑의 그림처럼 더 작은 시럽병에 소분되어 처방 용량만큼 나갑니다. 이 때 궁금증은 이런 약들의 유효기간은 뜯지 않았을 때, 개봉하지 않았을 때는 제약회사에서 안내한 날짜까지 보관할 수 있지만 개봉한 후의 안정성, 보관기간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용가능기간 (Shelf life, Beyond Use Date) : 완제의약품을 개봉하여 용기 포장을 갖추고 허가(신고)된 조건에 따라 보관되었을..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3. 1. 31. 요추천자 시 항혈전제/항응고제 사용, Lumbar puncture, periprocedual antithrombic agent 요추천자(lumbar puncture; LP)는 뇌를 감싸고 있는 경막과 뇌 사이의 공간인 거미막밑 공간에 있는 뇌척수액을 뽑거나 그곳에 약을 투여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검사법이자 처치이다. 또한 신경 질환의 진단 및 관리를 위해 중요하고 자주 수행되는 침습적 시술이다. LP를 받는 환자의 항혈전제의 시행 전후 관리에 대한 주제는 거의 없다. 따라서 현재 가이드라인은 신경 마취에 대한 마취체, 항혈소판제 및 항응고제의 수술 전후 관리에 대한 지침 등에 의해 추론되었다. 이 논문은 이 주제에 대한 기존 문헌을 요약하고 사용 가능한 최상의 증거의 통합을 기반으로 LP에 대한 시행 전후 절차 항혈전 관리를 안내하는 권장 사항을 제공한다. Bridge therapy로 heparin계열을 사용해볼 수 있고 다른 약..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2. 11. 11. 자몽주스 섭취는 유방암을 악화시키나? : 자몽주스, CYP3A4 inhibitor, estrogen ABSTRACT 호르몬을 경구 섭취하면서 자몽을 섭취하게 되면 혈청 에스트로겐 수치를 증가시키지만 내인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된 데이터는 없다. 우리는 건강한 폐경 후 지원자를 대상으로 자몽 과일(whole grapefruit), 주스 2개, 자몽 탄산음료 1개를 테스트하기 위해 식사 개입 실험을 수행했다. 59명의 참가자들이 모집되었다. 연구는 3주 간의 기간 동안, 2주간의 자몽 섭취, 그리고 1주간의 워시아웃(wash out)으로 구성되었다. 공복 혈액 샘플 8개가 수집되었다. 1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급성 단계 연구에서 자몽 섭취 후 1, 2, 4, 8, 10시간 후에 추가로 5개의 검체를 수집했습니다. estrone (E1), estradiol (E2), estrone-3-sulf..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2. 9. 28. 국소 스테로이드 (topical steroid) 사용법, 바르는 스테로이드 연고/크림 올바른 사용법 Corticosteroid 작용기전 https://gimi-drug.tistory.com/39 glucocorticoid, NSAIDs, anti-inflammatory effect,cortisol 생리기전 Glucocorticoid, NSAIDs의 항염증 기전 염증반응은 흔히 상처받은 세포에서 healing을 위해 발생하는 자연적인 일이다. 각 염증가 발생하는 단계마다 NSAIDs와 steroid의 작용점이 다르다. Regardless of the natu.. gimi-drug.tistory.com 전신 스테로이드제(systemic steroid) 국소 스테로이드제(topical steroid) 국소 스테로이드제의 약리 기전 요약 혈관 수축 항염증 면역억제 증식 억제 국소 스테로이드제는 크게 4가지 기..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2. 8. 13.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