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기타40 철분제 2가철과 3가철의 차이는 어떤 것이 있나요? 볼그레 액 vs 훼로바-유 서방정 상품명 볼그레 액 200 MG/10 ML 훼로바-유 서방정 256 MG 성상 성분명 Iron Acetyl Transferrin Hydroglyceride Ferrous Sulfate 철 함량 as Fe3+ 40 MG(3가 철) as Fe2+ 80 MG(2가 철) 효능효과 철 결핍성 빈혈 철 결핍성 빈혈 용법용량 1 팩 qd-bid(1일 1회~2회) 1 T qd-bid(1일 1회~2회) 약가(2022.07. 기준) 632원 (볼그레 캡슐 347원) 93원 이상반응 복부/위경련, 구역, 구토, 설사, 흑변 1. 철분(Iron) 산소 운반과 세포 성장에 필수적이다. 일반적인 성인은 평균 3.5 g 철분을 함유(남성 4 g, 여성 3 g)하고 체내 철의 대부분은 헤모글로빈(ha..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2. 7. 20. 어떤 필터를 이용해야 할까? : Lipid 포함 약제의 filter 사용 vs propofol filter 사용 필터(Filter) 주사 제형의 약물을 환자에게 주입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액세트(infusion set)가 필요하다. 수액 세트란 환자의 정맥에 바늘 또는 카테터를 삽입하여 용기에 있는 주사 약액을 주입시키는 기구이다. 필터(filter)는 공극크기에 따라서 약액 안에 섞여있는 유리파편, 고무조각뿐만 아니라 미생물(세균), 바이러스를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수액세트에 포함되어있는 in line filter의 형태부터 분리형 니들필터, 일체형 니들필터, needleless connector 형태 등의 다양한 필터 형태가 존재한다. 무조건 작은 공극 필터를 이용한다("무균" 약액을 위하여)고 능사는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무균 필터와 같이 직경이 작은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주성분의 양이 현저히 감소되어 ..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2. 7. 7. 면역억제제 부작용: tacrolimus, cyclosporin, mycophenolate mofetil 면역억제제는 골수 및 고형장기 이식 후 급/만성 거부반응의 예방뿐만 아니라 자가면역 질환 조절을 위하 사용된다. 면역억제제는 다양한 부작용이 있다. 대체로 모든 면역억제제에서 나타나지만 특히 calcineurin inhibitor에서 주로 나타나는 신장 및 간 기능의 악화가 있다. 특히 calcineurin inhibitor에서 나타는 성인병과 관련된 고혈당, 고혈압, 고지혈증이 있으며 호르몬 관련 부작용인 다모증, 여드름, 소양감, 생리불순 등이 있다. antimetabolite계열인 mycophenolate mofetil(MMF) or mycophenolate에 주로 나타나는 부작용은 점막 궤양 및 설사, 혈구 감소증이 있다. 대부분의 면역억제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면역 저하에 따른 감염이 대표적..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2. 6. 5. Amantadine의 특징, 외상성 뇌손상 환자, traumatic brain injury Amantadine은 원래 Influenze A의 항바이러스 약물로 연구되었다가 현재에는 dopamine agonist로서 파킨슨 증후군에만 허가증을 가지고 있다. Amantadine 기전 정확한 기전은 정의되지 않고있지만 dopaminergic effect를 가짐 뇌손상에서 급성 신경전달물질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그중 하나가 dopamine metabolie의 농도의 감소가 있음 Central neuron으로부터 dopamine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dopamine의 재흡수를 억제함 Anticholinergic effect가 있어 medication induced movement disorder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기도 함. 특히 neuroleptic induced acute dystonia, postur..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2. 5. 21. 아스피린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계 소염진통제) 과민 반응, Hypersensitivity 아스피린계 NSAIDs는 전체 이상반응의 약 25% 정도를 차지한다는 보고가 있을 정도로 약물 이상반응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약제로 알려져 있다. 아스피린과 NSAIDs에 의한 약물 이상반응의 발생 기전 및 임상 양상에 따라 A형과 B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A형 : 고유한 약리학적 기능이나 약물-약물 상호작용에 의해서 나타나는 용량 의존적 반응: 소화불량, 위궤양, 출혈 B형 : 약물 이상반응 발생을 예측하기 어렵고 투여 용량에 관계없이 발생하며 약리학적 작용과 관련이 없고 개인에 따라 면역학적 또는 융전적 소인에 따라 나타나는 것: 약물 복용 후 천식의 악화, 두드러기, 혈관 부종 등 B형 과민 반응의 분류(Drug hypersensitivity, type B reaction) B형 이상반응은 (1)..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2. 2. 17. A-line 유지용(개방성, patency): NS vs heparin 집중 치료가 필요한 ICU 환자들의 대부분은 동맥 카테터(arterial catheter)를 이용하여 동맥혈압을 측정하거나 채혈을 하는 데 이용한다. 이러한 카테터의 개방성(patency)을 유지하여야 정확한 측정값을 확보할 수 있고 카테터가 막혀서 교체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Uncertainty exists amongst clinicians as to best practice surrounding the contents of the arterial catheter flush solution (heparin or saline). The use of heparin is more expensive and is accompanied by significant risks such as haemorrhage..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2. 2. 15. 식약처: 필터 수액세트 안전성 정보 관련 권고사항: 프라이밍 방법 필터 수액세트 사용 전 수액세트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방법(프라이밍)은 아래 필터 수액세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여야 합니다. 잘못된 방법으로 프라이밍을 할 경우 공기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제품의 공기가 환자에게 일부 주입될 위험이 있습니다. 1) 식약처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2. 1. 26. DIC(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진단, 약물 치료(diagnosis, treatment) 파종혈관내응고(DIC;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파종 혈관 내 응고는 감염, 수술, 외상 등의 원인으로 인해 혈관 내 지혈 담당 성분이 과다하게 활성화되는 것 → 과도한 혈전 생성 → 응고 관련 성분 소모 → 출혈이 발생하였을 때 응고 기능이 상실되어 있어 출혈이 발생 DIC 의심군 카테터 부위의 ozzing이나 출혈 징후, 설명되지 않는 혈전증이 있는 경우 의심될 수 있음 DIC는 패혈증(sepsis)이나 종양 환자에서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 Laboratory testing Complete blood count (CBC) Review of the peripheral blood smear Prothrombin time (PT) and activat..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2. 1. 5. 재생불량성 빈혈, cyclosporine 복용 시 주의사항 재생불량성 빈혈(aplastic anemia) 골수 저형성 & 범혈구감소증(pancytopenia) 선천성(유전적 결함) or 후천적 원인(약물, 화학물질, 감염, 방사선 또는 다른 질환과 동반) 대부분의 경우, 질병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특발성(idiopathic) 관련 약물: chloramphenicol, sulfonamide 등 항생제 gold, penicillamine 등 류마티스약물 phenylbutazone, indomethacin, diclofenac, naproxen, piroxicam 등 소염제 phenytoin, carbamazepine 등 항경련제 carbimazole, thiouracil 등 항 갑상선제 chlorpromide(당뇨약) chloroquine(항말라리아약) 병태생리학..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1. 12. 8. hiccup, 딸꾹질, chlorpromazine, metoclopramide, gabapentin, baclofen 48시간 미만의 짧은 딸꾹질은 흔하지만, 일반 사람들에서 딸꾹질 전반적인 발생률과 장기간의 딸꾹질 유병률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암이 진행된 환자들 사이에서 1~9%가 지속적이거나 통제되지 않는 딸꾹질 경험했다는 점을 체계적인 검토 결과 밝혀졌다. 연구에 따르면 남성과 키가 큰 사람들에게서 딸꾹질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치성 딸꾹질 환자 220명의 환자 case seriese의 약 80%는 노년 남성이었다. 딸꾹질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여러 원인 중 약물 유발 딸꾹질에 대해 알아보자. perhaps through an effect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or the vagus or phrenic nerves 이..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1. 11. 27. Drug fever, 약열 특징 Drug fever(약열) 1. Evaluate for other causes of fever 약열 진단은 일반적으로 제외 진단이다. 감염, 암, 자가면역 또는 뇌졸중, 내분비 장애 및 알코올 금단과 같은 다른 모든 원인의 열을 제외하였을 때 진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환자군(immunocompetent versus immunocompromised, critically ill versus outpatient, specific exposures or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에 따라 열이 나는 원인을 평가하는 방법도 다양하다. 2. Assess for likelihood of drug fever 입원 환자의 경우 약열은 재원기간 연장과 병원비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1. 11. 9. Gabapentin for Sleep in Critically Ill Patients, Pilot study 중환자실에서 수면 장애는 흔히 발생한다. 현재까지 수면질을 위해 권장되고 있는 약물치료는 없으며 수면질 개선을 위해 고려되는 많은 약물은 이점보다 부작용의 위험이 더 크다고 평가되었다. 2018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Sleep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 Ventilator Mode: (1)We suggest using assist-control ventilation at night (vs pressure support ventilation) for improving sleep in critically ill adults. (2) We make no recommendation regard.. 🤹♂️ 카테고리별 약물/기타 2021. 11. 8.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