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39 Dexmedetomidine, 프리세덱스 주, 용법 용량: 1.5 mcg/kg/hr 국내허가사항에서는 프레세덱스 주(dexmedetomidine)의 용법 용량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그 밖의 사용상의 주의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집중치료 관리하의 진정에서 사용 시 유지용량은 0.7μg/kg/hr을 초과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해외 임상 연구 중 장기 사용 시 투여 농도가 0.7μg/kg/hr을 넘을 경우 호흡기계, 정신신경계 및 심혈관계 부작용이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 하지만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해당 최대 용량보다 더 고용량 사용에 대해 고려해봐야 한다. 오늘은 0.7 mcg/kg/hr 이상의 용량에 대한 safety와 efficacy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MENDS trial; Jama 298.22 (2007): 2644-2653. Context Loraz..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5. 16.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치료: NMBA, sedative agent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non-cardiogenic inflammatory lung oedema with severe hypoxemia 사망률 35-40% ARDS 치료 기계환기(MV; mechanical ventilation) → acute phase of lung inflammation에서 protective ventilation; tidal volume 6 mL/kg 초기 MV 시 환자의 sedation은 필수적임. 이는 controlled ventilation동안 ventilator의 적응을 용이하게 하고 tidal volume을 감소시키며 plateau pressure을 28-30 cmH₂O 아래로 제한될 수 있게 도와줌(The aim of t..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3. 27. NSAIDs계 소염진통제, COX-2 선택적 억제제, 진통제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s) 진통, 항염증, 발열 완화의 효과 골관절염, 두통 등 다양한 질환에서 통증과 염증 완화를 위해 사용됨 특징적인 부작용으로는 위장관 출혈, 심혈관계 부작용, 신독성 등이 있음 NSAIDs 메커니즘 효소 COX-1 효소 COX-2 효소 위치 대부분의 조직에 분포 뇌, 신장, 뼈, 여성의 생식 기관 등에 제한되어 분포 작용 이 효소의 작용으로 normal cellular processes 조절 (위점막보호, 혈관 항상성, 혈소판 지혈작용, 신장기능 유지 ) 이 효소의 작용으로 염증 상태의 증가 (사이토카인의 활성화 → 통증/염증 발생) NSAIDs계 약제 별 특징 성분명 상품명/함량 특징 Propionic..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2. 28. Vecuronium, long term administration, 베카론 주, 사용 기간 ICU 환자에서의 베카론 사용 적응증 Intensive care unit paralysis (eg, use for up to 48 hours in patients with early ARDS with PaO2/FiO2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2. 9. NMBA(Neuromuscular blocking agent) tapering? Titration of NMBA - 환자 개인의 neuromuscular blockade 정도에 따라 개별화 용량이 필요 - NMBA 사용 목적을 만족하는 최소유효용량이 투여될 수 있도록 함 ex. ventilator synchrony, immobility, ICP 감소, hypothermia 시 shivering 감소 - muscle의 마비 순서 * muscle 회복은 반대 small/rapidly moving muscle(eyes, jaw, larynx) ⇒ limbs/truk ⇒ diaphragm - 🤩 without taper reference : 1) Continuous Infusion Neuromuscular Blocking Agents (NMBAs) - Adult - Inpatient Cli..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2. 8. 브리디온 주, sugammadex, renal dosing, 신장애 용량 rocuronium과 vecuronium의 신경근차단 역전을 위한 약제로 sugammadex, 브리디온 주가 있다. 아래 포스팅에서처럼 두 약제모두 renal elimination 되므로 신부전시 clearance의 증가가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이 약제의 역전제인 sugammadex 역시 renal dosing이 필요한 약제이다. gimi-drug.tistory.com/162 gimi-drug.tistory.com/140 sugammadex_신기능에 따른 용량 조절 Effective(정상) Mild renal impairment Moderate renal impairment Severe renal impairment ~2 hr 4 hr 6 hr 19 hr Background - sugammadex는 주..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2. 4. context-sensitive half-time What's the context-sensitive half-time? 약물의 지속 주입이 중단된 후 약물의 혈장 농도가 50%로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 ‘context’는 지속 주입된 시간을 의미 지속적인 대사, 분배, 제거 등의 누적 효과를 반영함 주로 지용성 약물이 지방 조직 등으로 분배/축적되어 context0sensitive한 경우가 많음 주로 지용성 약물이 지방 조직 등으로 분배/축적 되어 context-sensitive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propofol의 경우 약물 투여이 투여되면서 혈장 농도(plasma concentration)은 증가되고 그 중 빠르게 간으로부터 대사가 된다. 뿐만 아니라 높은 혈장 농도로 인한 농도 구배를 기반으로 혈관이 풍부한 기관, 지방 조직 등으로 분배된..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2. 3. propranolol, 중환자에서 진정효과, 섬망/동요 관리 Introduction 최근 α-2 adrenergic agonist(ex. dexmedetomidine)의 delirium/agitation 조절의 효과가 증명되었다. propranolol의 경우 non-selective β adrenergic antagonist로 BBB 투과력이 뛰어나 dexmedetomidine처럼 delirium/agitation 예방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지만 아직 해당 목적의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Materials and methods 2010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 동안 Medical Surgical ICU에서 propranolol을 복용한 환자를 후향적 분석 propranolol 복용 하루 전과 복용 후 6일간의 sedation level/dail..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1. 17. dexmedetomidine, 프레세덱스 주 PRECEDEX의 FDA label Final concentration : 4mcg/mL For Adult Intensive Care Unit Sedation LD 1 mcg/kg (over 10 min) MD 0.2-0.7 mcg/kg/hr For Adult Procedural Sedation LD 1 mcg/kg (over 10 min) MD 0.6 mcg/kg/hr → titrated to achieve desired clinical effect with doses ranging from 0.2 to 1 mcg/kg/hour lexicomp의 dosing Usual dosage range: 0.2 to 1.5 mcg/kg/hour; titrate by 0.2 mcg/kg/hour every 30 m..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1. 10. 비만환자, management of pain, agitation, and delirium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extreme obesity Management of pain, agitation, and delirium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extreme obesity - 2020년 AM J HEALTH-SYST PHARM에서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성인 ICU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주사 총 100개 중 14개만이 비만 환자에 관련한 제품 라벨에 정보를 가지고 있다. - 그 중 6개 약물만이 권장되는 용법용량이 적합하다고 간주되는 정보를 가지고 있었다.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77.7 (2020): 529-534. - 중증 비만환자의 권장 용량 설정을 위한 적합한 RCT를 이용할 수 없다. = Recommendations for medication dos..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0. 11. 24. atracurium vs cisatracurium 차이 성분명 Atracurium Cisatracurium 이성질체 - atracurium의 cis-cis 이성질체 특징 cisatracurium에 비해 빠른 onset과 짧은 duration of action을 가짐 atracurium에 비해 더 potent postjunctional nicotinic receptor에 더 선택적 자율신경에 덜 영향 부작용 히스타민 유리 부작용 CNS 부작용(고농도의 laudanosine)의 가능성이 있음° atracurium에 비해 히스타민 유리 부작용 덜 하고 laudanosine이 적게 생성 대사체 Laudanosine 각 약제의 투여 종료 후 평균 혈중 laudanosine 농도³ Group C : cisatracurium 0.1 mg/kg → 3 mcg/kg/min ..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0. 11. 11. 신경근 차단제, depolarizing NMBA, non-depolarizing NMBA 비탈분극성 신경근차단제와 탈분극성 신경근차단제의 메커니즘 탈분극성 신경근차단제 : Acetylcholine(ACh)과 같이 신경근 부위의 ACh 리셉터에 결합함으로써 활동 전위를 생성하고 근수축을 일으킨다. 하지만 ACh와는 다르게 acetylcholinesterase에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탈분극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Phase Ⅰ] 이는 근연축(fasciculations)과 마비로 이어진다. 이러한 근연축 작용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안압, 복강내압 등의 상승을 일으킬 수 있다. 약물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게 되면 재분극 상태로 되돌아가지만 탈감작 상태가 되어 다시 탈분극 되기 힘든 상태가 되어 근 이완 상태가 유지된다. [Phase Ⅱ] 비탈분극성 신경근차단제 : ACh 리셉터와 경쟁적 길항제로 작..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0. 11. 10.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