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내분비

glimepiride vs gliclazide, risk of adverse cardiovascular and hypoglycemic event

기미개미 2020. 7. 5.

glimepiride vs gliclazide 부작용 빈도 차이

glimepiride vs gliclazide, risk of adverse cardiovascular and hypoglycemic event - glimepiride vs gliclazide 부작용 빈도 차이
 

오늘은 glimepride vs gliclazide의 ADR 측면에서 비교하며 공부해보자.

 * SU계 약물은 다른 경구 혈당강하제 중 저혈당의 빈도가 높고 심혈관계 부작용 위험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는 unclear 하므로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schemic stroke, cardiovascular death, all-cause mortality, severe hypoglycemia 측면에서 두 약제를 비교해보도록 하자!

 

glimeprirde gliclazide
non-specific 췌장 specific
long acting short acting

 

1998-2013년에 걸쳐 SU계 약제를 monotherapy로 시작하는 DM type 2 환자를 대상으로 cohort study 하였다.

비교군은 pancrease non-specific, long acting SU(glyburide/glimepiride) vs pancrease-specific, short acting SU(gliclazide/glypizide/tolbutamide)

 

총 17,604명의 환자가 SU 시작하였으며 mean [SD] follow-up 1.2 [1.5]년이었다. 

pancrease non-specific, long acting SU, N= 1,863명

pancrease-specific, short acting SU, N= 15,741 명

부작용 HR (95% CI)
acute myocardial infarction 0.86 (0.55-1.34)
ischemic stroke 0.92 (0.59-1.45)
cardiovascular death 1.01 (0.72-1.40)
all-cause mortality 0.81 (0.66-1.003)
severe hypoglycemia 2.83 (1.64-4.88)

즉, cardiovascular adverse risk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하지만 저혈당 유발에서는 non-specific, long acting SU가 risk가 더 높았다.

◆ 길게 작용하는 것이 저혈당 risk도 크다고 할 수 있다.


 pancrease non-specific, long acting SU가 심혈관계 부작용이 더 높다는 뒷받침 근거는 몇몇 observational study에서 다른 약제와 비교하여 특히 glyburide(한국 X)가 risk가 더 높다는 결과로 부터 나왔다.

하지만 이 결과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limitation이 존재하는데, time lag bias, selection bias 등 결과에 영향을 미칠만한 다양한 bias가 존재했다. 

 

 

reference : 

(1) Diabetes Care, 2017, 40.11: 1506-15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