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위장관·췌장

지사제, Loperamide, Atropine, Octreotide, 항암제 유도 설사

기미개미 2021. 12. 3.

흡수 장애/단장 증후군(short bowel syndrome)/항암제에 의한 설사 치료

대부분의 경우 기저 질환 치료와 적절한 식이 요법을 통하여 설사가 호전된다. 하지만 이러한 관리에도 불구하고 불충분한 경우, 지사제를 통해 장내 통과 시간(transit time) 연장 & 장운동(intestinal motility) 감소을 통해 영앙소 흡수 증진을 기대해볼 수 있다.

항암제 투여 후에도 잘 조절되지 않는 설사를 경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opioid의 부작용인 변비를 이용하여 설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반응하지 않는 설사의 경우 octreotide까지 고려할 수 있다.

 

 

 

흡수 불량(흡수장애); malabsorption

물과 전해질을 포함한 영양소의 흡수 장애를 의미

소장 상피의 막 수송 시스템의 선천적 또는 상피 흡수 표면의 후천적 결함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영양소가 소장에서 흡수될 수 있게 적절한 형태로 분해되지 않는다면 소화장애(maldigestion)가 발생할 수 있다.

 

Global malabsorption : 장관 점막 또는 흡수 표면 감소와 관련된다. 다양한 영양소가 흡수되지 않는다.

Selective malabsorption : 단일 영양소 혹은 제한적인 영양소의 흡수 감소된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obalamin(비타민 B12) 흡수가 감소되어 나타나는 악성 빈혈이 있다.

 

 

항암제에 의한 설사

지사제, Loperamide, Atropine, Octreotide, 항암제 유도 설사 - 항암제에 의한 설사

대부분의 화학 요법은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를 대상으로 하며 위장관 내의 세포에 영향을 미쳐 다양한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fluoropyrimidines (particularly fluorouracil [5-FU]; and capecitabine;카페시타민) & irinotecan;이리노테칸 등의 항암제가 포함된 경우 자주 발생한다.

 

 

설사가 흔한 부작용인 항암제

  • tyrosine kinase inhibitors (TKIs); afatinib(지오트립 정), ceritinib(자이카디아 캡슐), erlotinib(타쎄바 정), lapatinib(타이커브 정), sorafenib(넥사바 정), and sunitinib(스텐 정) : 발진 다음에 설사가 흔한 부작용임, 환자 중 약 절반이 발생하며, 기존 세포독성제보다 심한 설사의 발생률은 낮음. 특히 ceritinib, neratinib, and afatinib에서 흔함
  • 표적항암제; aflibercept(잘트랩 주): FOLFIRI (irinotecan plus leucovorin and short-term infusional FU)에 첨가 시 중증 설사를 10% 증가시켰음. FOLFOX (oxaliplatin plus leucovorin and short-term infusional FU)에 첨가 시 중증 설사를 8% 증가시켰음.
  • 면역항암제; ipilimumab(여보이 주), nivolumab(옵디보 주), pembrolizumab(키트루다 주): 약제로 치료받은 환자 중 최대 9%에서 immune-mediated colitis 발생함

 

항암제 별 설사 기전 및 특징

fluorouracil (FU) 장 점막 손상 → 분비성 설사
lactase 효소 억제하여 유당불내증 유발 가능 → 삼투성 설사
irinotecan 장 점막 손상 → 분비성 설사
early onset diarrhea(초기 발현 설사) vs late onset diarrhea(후기 발현 설사)
초기 발현 설사: 약물 주입 후 몇 시간 이내 발생, 콜린 매개 설사 → 장운동 증가에 따른 설사
후기 발현 설사: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임, 운동성 장애 & 분비능 장애 (direct toxic effect on the intestinal mucosa)

tyrosine kinase inhibitors
(TKIs)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시그널 조절 장애로 인한 염소(Cl) 분비 증가
장 운동 장애
장내 미생물군 변화
aflibercept lymphocytic colitis (microscopic colitis); 림프구성 대장염<그림 1>
- 상피내 림프구(intraepithelial lymphocyte) 증가 및 상피하 점막 고유판에 만성 염증성 세포의 침윤
- 생화학 검사, 내시경 검사 등에서 특이소견을 보이지 않지만 조직 검사를 이용하여 진단할 수 있음
ipilimumab
nivolumab
pembrolizumab
면역 연관 설사
피부 부작용 발생 한 뒤 발생하며 대략 치료 시작 6주 후부터 발생<그림 2>

 

<그림 1>

지사제, Loperamide, Atropine, Octreotide, 항암제 유도 설사 - 항암제에 의한 설사 - 항암제 별 설사 기전 및 특징
DOI: https://doi.org/10.3904/kjm.2015.89.6.663

 

 

<그림 2>

지사제, Loperamide, Atropine, Octreotide, 항암제 유도 설사 - 항암제에 의한 설사 - 항암제 별 설사 기전 및 특징

 

 

1. Loperamide

 

지사제, Loperamide, Atropine, Octreotide, 항암제 유도 설사 - 1. Loperamide
로파인 캡슐 2 MG

성분명 Loperamide
함량 2 MG
기전 synthetic opioid that binds to mu opiate receptors in the intestinal wall and inhibits peristalsis by inhibiting the release of acetylcholine through activation of the mu opioid receptors.
장 평활근에 직접 작용하여 운동을 억제하고 통과 시간을 연장시킴
대변양 감소 & 점도 증가(increases viscosity) & 체액과 전해질 손실 최소화 → antisecretory activity
항문 괄약근의 톤을 증가(increases tone on the anal sphincter)
분포 Distribution: Poor penetration into brain
혈액-뇌장벽을 쉽게 넘지 않기 때문에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거의 없음
대사 Hepatic, 초회 통과(first pass metabolism) 시 대사되는 양이 많음
→ 이 때문에 전신 생체 이용률은 0.3%에 불과함

간부전 환자 시 초회 통과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CNS 독성에 주의
주의 Torsades de pointes and sudden death[US Boxed Warning]
2세 미만 금지 & 고용량 사용 환자에서 특히 주의
CNS 독성 : 어지러움, 졸림
국내 허가사항: 효능 효과 급성 설사/만성 설사
추가 허가사항 short bowel 환자와 같이 흡수 장애가 예상 +/- 설사 동반된 환자에서 장관 운동을 천천히 하여 흡수를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고려해볼 수 있음
용법용량 급성 설사:
초회 4 mg → 설사 있을 때마다 2 mg
1일 상용량 6-8 mg/day, max 16 mg/day(8캡슐)

만성 설사:
초회 4 mg → 설사 있을 때마다 2 mg 복용하면서 상용량 결정, #1-2로 분복
1일 상용량 2-6 mg/day, max 16 mg/day(8캡슐)

소아(2-9세)
초회 2 mg, max 6 mg/day
금기 24개월 미만
혈변 및 고열이 있는 세균성 설사 & 위막성 대장염 환자
신중투여 간장애 환자

 

2. Atropine

지사제, Loperamide, Atropine, Octreotide, 항암제 유도 설사 - 2. Atropine

 

성분명 Atropine
함량 0.5 MG/ML
기전 부교감 신경 차단제
Blocks the action of acetylcholine
Atropine reverses the muscarinic effects of cholinergic poisoning due to agents with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activity by acting as a competitive antagonist of acetylcholine at muscarinic receptors.
분포 Widely throughout the body; crosses blood-brain barrier
국내허가사항: 효능 효과 위장관의 경련성 동통
담관ㆍ요관의 산통
경련성 변비
위ㆍ십이지장궤양에서의 분비 및 운동 항진
방실전도장애
미주신경성 서맥
마취전투약
유기인 살충제ㆍ부교감신경흥분제 중독
off label 심정지 등
Endotracheal: 10 mL 미만의 NS 혹은 멸균주사용수에 희석하여 흉부 압박을 잠시 중지하고 튜브 아래로 분사함. 투여 즉시 흉부 압박을 지속
용법용량 0.5 mg/1회 SC, IM, IV
** Administer undiluted by rapid IV injection; slow injection may result in paradoxical bradycardia

유기인 살충제 중독
- 경증: 0.5-1 mg SC
- 중등증: 1-2 mg SC or IM 필요 시 20-30 분 간격으로 반복
- 중증: 2-4 mg IV 필요 시 반복
금기 녹내장 환자 (약 기전으로 동공 확대, 조절 장애, 시야몽롱 등이 나타날 수 있음)
전립선비대에 의한 배뇨장애 환자
마비성 장폐색 환자
신생아, 미숙아(벤질 알코올 함유)
부작용 혈액-뇌장벽 통과로 인해 정신신경계 부작용(두통, 어지러움)
배뇨장애
심계항진

 

3. Octreotide

지사제, Loperamide, Atropine, Octreotide, 항암제 유도 설사 - 3. Octreotide

 

고용량 loperamide 사용 시 CNS toxicity, cardiac toxicity로 이점이 크지 않을 것이라 예상되기 때문에 24-48 시간 loperamide 사용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설사를 하는 환자에게 octreotide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초기 용량: 100 to 150 mcg SC q8h → 증량 고려 시 500 mcg SC q8h (up to 2000 mcg three times daily), as needed for refractory cases.

설사 치료 효과와 용량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octreotide 용량 증가함에 따라 치료 성공 확률이 높아질 것이다.

단장 증후군 환자에서 octreotide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tachyphylaxis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국내 급여 기준 상 급여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적정 복용량에도 불구하고 4-6주 이내 대변 배출량이 크게 감소되지 않는 경우(=약효가 감소한 경우) 중단을 고려해야 한다. 장기 사용으로 인해 장내 단백 합성(splanchnic protein synthesis)이 감소하고 약가가 비싸며 피하 주사로 인한 통증을 야기한다. 뿐만 아니라 담석(gallstone)이 발생할 수 있다.

 

국내 급여 기준

Octreotide 주사제(품명 : 산도스타틴주 등) 고시_제2019-38호 2019-02-27
1.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투여 시 요양급여 함을 원칙으로 하며, 허가사항 범위(효능ㆍ효과)를 초과하여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한 경우에도 요양급여를 인정함.
- 아 래 -
가. 항암제 투여 후 분비성 설사에 고용량의 지사제 투여에도 불구하고 설사가 지속되는 중증 불응성인 경우 5일 이내 인정
나. 소아의 고인슐린혈증의 저혈당증(Persistent Hyperinsulinemic Hypoglycemia of Infancy ; PHHI)으로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
- 다 음 -
(1) 2~3주 동안 diazoxide 투여 후에도 고인슐린혈증의 저혈당증이 조절되지 않는 췌장절제 예정인 환자로서 투여소견서 첨부 시 수술 시행 전까지 인정
· 투여 용량 및 방법 : 5-25㎍/kg/day을 6~8시간마다 피하주사하거나 지속적 정맥주입
(2) 췌장절제술 시행 후 고인슐린혈증의 저혈당증이 교정되지 않아 diazoxide 투여한 후에도 조절되지 않는 경우
다. 유미흉(Chylothorax), 유미복수(Chylous ascites)에 1일 0.3mg씩 7~14일간 투여한 경우(소아의 경우 적의 증감가능)

2. 허가사항 범위를 초과하여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하는 경우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아 래 -
가. 위ㆍ장관계 수술 후 문합부위 누출에 치료목적으로 투여한 경우
나. 췌장관련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투여한 경우

 

 

4. 그 밖의 지사제(항암제에 의한 설사 치료제)

Budesonide

지사제, Loperamide, Atropine, Octreotide, 항암제 유도 설사 - 4. 그 밖의 지사제(항암제에 의한 설사 치료제)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과 콜라겐성 대장염(collagenous colitis)에 효과가 입증되었다.

한 보고서에서 irinotecan 또는 5-FU에 의한 설사에 budesonide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In a phase I study involving 14 patients with loperamide-refractory grade 3 or 4 diarrhea, severity was reduced by at least two grades in 86 percent of the irinotecan-treated patients and 57 percent of those receiving FU.)

또한 aflibercept에 의한 림프구성 대장염에 효과적일 수 있다.

국내에 있는 budesonide 경구약제는 허가 취하되었다.

 

reference:

1) uptodate

2) 류한승, and 최석채. "현미경적 대장염." 대한내과학회지 89.6 (2015): 663-671.

3) KIMS

4) 약학정보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