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 시신경병증으로 인한 특징적인 시신경의 형태학적 변화 및 그에 따르 시야 결손의 기능적 변화를 보이는 질환의 총칭
- 녹내장은 진단 후 평생에 걸친 개별적인 치료 및 관리가 필요
- 질환의 발병에 관련한 여러 위험요인들 중 안압은 가장 확실하게 밝혀진 위험 요인!
- 우리나라에서는 정상안압녹내장이 개방각 녹내장 중 80%를 차지하고, 그에 따라 안압 하강을 기본 기전으로하는 녹내장 약물의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 있지만, 정상안압녹내장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치료(안압하강)군은 12% 진행 vs 안압 하강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35% 진행함에 따라 정상안압녹내장이라도 안압 관리가 반드시 필요함
녹내장 목표 안압
- 13~15 (*안압은 대기압과 눈 속의 압력 차이)
- 안압이 1 mmHg 올라갈 때마다 녹내장 위험이 약 10%씩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음
녹내장 약물 치료
방수 생성 억제 | 방수 배출 증가 |
베타차단제(β-adrenergic antagonist) 알파작동제(α2 adrenergic agonist) 탄산탈수소효소억제제(carbonic anhydrase inhibitor) |
주배출로의 방수 배출 증가: 콜린작동제(cholinomimetics) 부배출로의 방수 배출 증가 :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analogue), 알파작동제 |
1.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상품명 | 성분명 | 성상 | 보관 | 투여방법 | 병용 투여 시 |
잘라탄 점안액 | Latanoprost 라타노프로스트 |
![]() |
실온보관 | 1일 1회 | 5분 이상 간격 |
루미간 점안액 | Bimatoprost 비마토프로스트 |
![]() |
실온보관 | 1일 1회 | 5분 이상 간격 |
타플로탄 점안액 | Tafluprost 타플루프로스트 |
![]() |
실온보관 | 1일 1회 | 5분 이상 간격 |
이즈바 점안액 | Travoprost 트라보프로스트 |
![]() |
실온보관 | 1일 1회 | 5분 이상 간격 |
- 녹내장 단일 약제 중 가장 강력한 안압 하강 효과를 가짐
- 점안 후 2~4시간 후 작용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8~12시간 최대 효과를 나타냄
- 1일 1회, 1방울만 사용해도 된다는 장점이 있음 (더 사용하면 오히려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지킴!)
- 부작용 : 이물감, 충혈, 홍채색소침착, 눈 주위 색소침착, 눈썹 변화 등
2. 베타차단제
상품명 | 성분명 | 성상 | 보관 | 투여방법 | 병용 투여 시 |
리스몬티지점안액0.25% 리스몬티지점안액0.5% |
Timolol 티몰롤 |
![]() ![]() |
냉장보관 | 1일 1회 | 10분 이상 간격 |
- 점안용 베타차단제는 다양하게 있지만 timolol(티몰롤)이 가장 많이 사용됨
- 20-25% 정도의 안압 하강 효과를 가짐
- 부작용 : 충혈, 안구건조, 알러지성 눈꺼풀결막염
- 전신 흡수 가능성 때문에 심장 질환, 폐질환이 동반된 환자(특히 천식, 만성폐쇄성 질환)이 있는 경우 사용이 권고되지 않음
- 단일 성분 제제보다 다른 녹내장 성분과의 복합제가 많음
3. 탄산탈수효소억제제
성분명 | 상품명 | 용법용량 | 병용 투여 시 |
Dorzolamide 도졸라마이드 |
코솝 점안액(timolol+dorzolamide) | 1일 2회 | 10분 이상 |
Brinzolamide 브린졸라마이드 |
아좁트 점안액(brinzolamide 단일) | 1일 2회 (1일 3회까지 가능) |
5분 이상 |
엘라좁 점안액(tinolol+brinzolamide) | 1일 2회 | 5분 이상 | |
심브린자 점안액(brinzolamide+brimonidine) | 1일 2회 | 5분 이상 | |
Acetazolamide 아세타졸라마이드 |
아세타졸 정![]() |
- | - |
경구제의 경우(아세타졸 정)
- 30-40%의 안압 효과를 가짐
- 30분 정도부터 약효가 발생하여 최대 효과는 2시간 후 나타남
- 전해질 이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장기 복용하지 않고 2-3일 정도 복용 하며, 보통 potassium 제제(케이콘틴 정)과 함께 처방나는 경우가 많다.
4. 알파작동제
성분명 | 상품명 | 용법용량 | 병용 투여 시 |
Brimonidine(브리모니딘) | 알파간피 점안액(brimonidine) | 1일 3회 | 5~15분 이상 |
콤비간 점안액(timolol+brimonidine) | 1일 2회 | 10분 이상 | |
심브린자점안액(brinzolamide+brimonidine) | 1일 2회 | 5분 이상 |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성분은 브리모니딘으로 18~25%의 안압 하강 효과를 나타냄
-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므로 소아 환자에서 금기
- 부작용 : 눈꺼풀 후퇴, 알러지성 눈꺼풀 결막염, 접촉성 피부염, 전신적으로는 코/구강 건조, 혈압 강하, 서맥, 피로 등
5. 혼합제제
앞서 약물 카테고리를 설명하면서 다양한 혼합제제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와 timolol 복합제 역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복합제제는 용기 개수가 줄어서 휴대와 보관이 간편하고 치료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보통 안약을 2개 잉상 사용하면 병용 투여 간격을 지켜야하는데 이는 쉽지 않음)
녹내장 안약 사용 방법
- 아래눈꺼풀을 당겨서 결막낭을 노출시켜 안약병의 꼭지가 눈에 닿지 않도록 하면서 1방울(!!)을 넣는다.
- 안약의 전신적인 흡수를 막기 위해서는 눈을 감고 약 1~2분 간 눈 앞부분(비루관)을 부드럽게 눌러준다.
- 눈 밖에 흘러나온 안약은 닦아준다.

주의1> 안약을 많이 넣으면 더 효과가 좋겠지 하고 여러방울을 투여하는 경우, 우리 눈의 결막낭이 포용할 수 있는 부피는 한 방울 정도로 ,여러 방울을 동시에 넣는다고하여도 결막낭 밖으로 흘러내릴 뿐 넣는 대로 흡수되지 않음!
또한 정해진 용법대로 사용하지 않고 더 많이 사용한다면 오히려 효과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고 부작용이 증대될 수 있음
주의2> 비루관 누르기는 안약의 전신적인 흡수를 막기 위해 꼭 필요한 단계이므로 의사선생님과의 상담 후 약물 사용 주의군이 해당 약물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지키는 것이 좋다!
주의3> 눈 밖에 흘러나온 안약을 닦지 않았을 때, 피부로 흡수되어 다른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고 특히나 brimonidine이 함유된 약제를 닦지 않았을 때는 흘러내린 부분의 피부가 하얘짐
이것에 대해 더 찾아보니 브리모니딘은 안면 혈관 수축시키는 작용으로 안면홍조 치료제로 승인된 바가 있음..!
미르바소겔은 0.33% 브리모니딘인 반면 녹내장 약으로의 브리모니딘은 0.2%로 충분히 가능성이 있음
주의4> 주의는 아니지만... 개인별로 약물의 부작용이 느끼는 바가 다르므로 안약 사용에 부작용이 복약 순응도에 영향을 끼칠 정도라면 담당의와 상담 후 약물 변경도 고려해보는 것이 좋겠다!
개인적인 경험에 의해서는 timolol 단독 제형은 눈이 매우 따가웠다..!
새로운 녹내장 신약
Rho-kinase inhibitor, 산화질소 공여제 등 다양한 신약들이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프로스타글란딘 FP 수용체가 아닌 다른 프로스타글란딘 수용체인 E-type prostanoide(EP) 수용체를 타겟으로 한 약제가 개발되었다.
Omidenepag(에이베리스 점안액)

- 냉장 보관, 개봉 후 실온 보관(차광&1개월)
- 프로스타글린단 유사체처럼 방수 배출을 증가해 안압을 감소시키는 약물이다.
-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인 라타노프로스트와 비교하였을 때 열등하지 않음이 보고되었다.
- 안압 감소는 투여 2시간 후부터 나타났으며 3일 째 정상 상태에 도달했음

- 해당 임상시험도 latanoprost와 비교하였고, 약물 허가사항 상 상호작용에 tafluprost와 병용 시 눈부심, 홍채염 등의 안염증 유발 위험이 높아져 병용 투여하지 않으므로 프로스타글란딘을 사용할 수 없거나 부작용이 있는 환자 등에서 고려될 것으로 생각됨🤷♀️
상품명 | 에이베리스 점안액 | 잘로스트 점안액(latanoprost) | 타플로탄 점안액(tafluporst) |
약가(23.09기준) | 13,628원 | 12,338원 | 19,631원 |
- 프로스타글란딘 수용체의 특징적 이상반응인 눈 색소 침착, 속눈썹 연장, 안검고랑 깊어짐과 같은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음
- 베타차단제의 특징적 이상반응인 천식, 서맥, 심부전 등과 같은 순환기 전신 이상반응이 관찰되지 않음
- 허가사항 상 timolol과 병용 시 부작용 위험도 높아지긴 하지만 상가적 안압 하강 효과가 관찰되었음
- 부작용: 충혈(22.8%; 허가사항 상) vs 프로스타글란딘 충혈부작용 빈도(타플로탄 점안액 31.3%, 잘로스트 점안액 5~15%)
reference:
1) 약학정보원
2) 에이베리스 의약품 품목허가 보고서
3) 최진아. "녹내장의 최신 치료 안약."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62.9 (2019): 497-504.
'🤹♂️ 카테고리별 약물 > 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구건조증 치료약: cyclosporin 외용액, 레스타시스, 아이포린, 아이커비스, 싸이포린엔점안액 (0) | 2024.05.08 |
---|---|
인공눈물 종류, 히알루론산, CMC, 렌즈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인공눈물 (1) | 2023.11.26 |
안구건조증 치료, 레바아이점안액, 항생제(doxycycline, minocycline, azithromycin),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0) | 2023.08.16 |
다회용 점안제/안약 얼마나 쓸 수 있나? : 안약 보관 기간, 개봉 후 안정성 (0) | 2023.01.25 |
안구건조증, 인공눈물 차이 : 저장성 인공눈물 vs 등장성 인공눈물 (0) | 2022.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