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coverage
1) 그람음성균
H. influenzae and N. gonorrhoeae,
the Enterobacteriaceae,
P. aeruginosa,
including those that produce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s(ESBL(+)균주) 등등을 포함
2) 혐기균
B. fragilis 포함
3) 그람 양성균
Enterococcus faecalis, Listeria 포함
4) not generally active against
S. maltophilia/Burkholderia cepacia/Enterococcus faecium/oxacillin-resistant staphylococci/JK diphtheroids
<특히 P.aeruginosa>
특히 슈도모나스의 경우 초기에는 carbapenem에 취약하지만 monotherapy로 치료했을 때 내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따라서 double antiPseudomonas agent라는 말이 나오는 것!)
특이하게 다른 beta lactam 항생제가 세균 막을 투과할 때 사용하는 porin channel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channel을 사용한다. Carbapenem-resistent P.aeruginosa의 경우 이 외벽의 채널의 변화로 약물의 투과도가 변하게 된다. 이러한 내성 기전이 발현된 pathogen은 다른 beta-lactam 계열의 항생제에는 교차 내성을 보이지 않는다.
1) Imipenem
- cilastatin의 역할: normal human enzyme renal dehydropeptidase I에 의해 분해가 되기 때문에 이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cilastatin이 필요
- ADR: CNS toxicity - seizure 위험 ↑
(따라서 뇌수막염치료에 사용하지 않음!)(2021.03.28 수정)
2) Meropenem
- imipenem과 spectrum of activity가 비슷
- ADR: imipenem에 비해 CNS toxicity는 상대적으로 낮음. (뇌수막염 치료에 사용)
- DDI: 특히 valproate의 농도를 감소시키므로 seizure 위험도가 높아질 수 있음 (Levetiracetam으로 변경 고려)
3) Ertapenem
- 상대적으로 좁은 spectrum of acitivity를 가짐
Active: 대부분의 Enterobacteriaceae ex) Klebsiela, anaerobes
Less active: P. aeruginosa, Acinetobacter, Gram positive bacteria 특히 enterococci & penicillin-resistant pneumococci
- 긴 반감기로 QD 용법 가능!!
- 뇌수막염에는 insufficient data
- Klebsiella pneumoniae에서의 Ertapenem의 사용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high potencies of meropenem and ertapenem, these carbapenems demonstrated comparable efficacies against the majority of the ESBL-producing E. coli and K. pneumoniae isolates tested.
Meropenem appears to yield greater efficacy against isolates with ertapenem MICs of ≥2 μg/ml.
This is most likely due to the two- to eight fold greater in vitro potency and higher fT>MIC of meropenem for these isolates.
Further analysis using patients will be necessary to determine if differences in outcomes exist between these carbapenems for ESBL isolates with MICs of ≥2 μg/ml.
4) Doripenem
- meropenem과 비슷한 specturm of activity
- meropenem보다 P.aeruginosa에 더 효과적(in tivro)
- VAP(ventilator-associated bacterial pneumonia)에서 imipenem과 비교시 오히려 28일 all cause mortality가 더 높았다.(한계 ; 다른 adjunctive agent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_ 2014 FDA revision approval 발표
reference :
(1) Uptodate
'🤹♂️ 카테고리별 약물 > 감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listin guideline, International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Polymyxins, renal dosing, 콜리스틴 가이드라인 (1) (0) | 2020.10.29 |
---|---|
Carbapenem계 항생제 renal dosing, 희석 수액 (0) | 2020.08.04 |
metronidazole, 트리젤 주, 차광 해야할까? (0) | 2020.07.16 |
반코마이신 가이드라인 2020, Vancomycin 2020 revised guideline (6) | 2020.06.30 |
반코마이신의 지속 정맥 주입, Vancomycin continuous infusion (0) | 2020.06.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