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conazole, renal dosage
Fluconazole
특징 | 설명 |
메커니즘 | 진균의 세포막(ergosterol) 합성을 억제 |
배설 | 대부분 신배설 |
생체이용률 | >90% |
단백결합 | 11% |
분포용량(Vd) | 0.8 L/kg (total body water와 근사함) |
반감기 | 30 hr (ESRD; 100 hr) |
steady state 도달 시간 | 부하용량 없이 4-5일 부하용량 (400-800 mg) 있을 때 ~2일 |
부작용 | nausea, headache, skin rash, abdominal pain, vomiting, diarrhea 등으로 well tolerated함 potentially hepatotoxic |
Dialysable | 59% (3-4시간 투석 섹션 이후 혈중 fluconazole 농도가 50% 감소됨) |
target PK parameter | AUC/MIC |
recommended efficient concentrations |
7–8 mg/L for Candida’s infections 15–20 mg/L for severe infections |
Fluconazole renal dosing
CrCl > 50 | CrCl 10-50 | CrCl < 10 | HD | CRRT |
100-400 mg q24h (full dose) |
50-200 mg q24h (50%) |
50-200 mg q24h (50%) |
비투석일 : 50-200 mg q24h(50%) 투석일 : 100-400 mg q24h(full) |
200-400 mg q24h |
특히 HD 환자에서의 추천되는 fluconazole는 Lexicomp와 FDA insert paper 등 vs 국내 허가사항과 Sanford guide의 추천 내용이 상이하다.
전자의 경우 투석일에만 full dose 투여를 권고하고(ex. 월수금 HD이라면 월수금만 full dose 투여) 후자의 경우 위의 표에서처럼 비투석일과 투석일의 추천 용량이 다르게 권고하고 있다. 어떤 것이 더 합리적인 투여 방법인지 논의해보자!(물론 이는 [나의] expert opinion 단계의 권고일 수 있다.)
다음은 투석일에만 100 mg을 투여한 11일 동안의 fluconazole의 혈중 농도이다.
추천되는 효과적인 농도(recommended efficient concentrations; 부하용량으로 200 mg(postHD)⇒ 유지용량으로 100 mg(every postHD))보다 훨씬 못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투석날마다 400 mg씩(전신 칸디다증에서의 full dose) 투여된다고 하더라도 target 농도에 도달할 수 있을지 미지수이며, HD 이후 혈중 농도의 50%가 감소되고 ESRD 환자에게서 50% 감소된 용량을 qd로 투여하는 것이 추천되기 때문에 투석일/비투석일을 나누어 용량을 투여하는 권고사항이 더 적합하지 않을까하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reference :
(1) lexicomp
(2) Cousin, Lucile, et al. "Dosing guidelines for fluconazole in patients with renal failure."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18.11 (2003): 2227-2231
(3) Berl, Tomas, et al. "Pharmacokinetics of fluconazole in renal failur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6.2 (1995): 242-247.
(4) 약학정보원
(5) Sanford guide
(6) KIM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