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화성 피막성 복막염(Sclerosing encapsulating peritonitis; SEP)
장기간 복막투석 환자에서의 합병증
장막이 점점 섬유화 되면서 초여과능 감소 & 장의 운동 장애 유발
SEP 치료(확립된 치료 가이드라인 없음)
SEP에서의 tamoxifen/steroid 용량/치료기간*
성분명 |
tamoxifen |
prednisolone |
용량 |
20-40 mg/day** |
0.5-0.1 mg/kg/day(for 2-4wk) |
치료기간 |
7-9 개월 |
초기 용량 사용 후 점진적으로 tapering |
*확립된 용량/치료기간 아님
**10 mg/day을 사용한 케이스도 있음 [3]
SEP에서의 tamoxifen의 약리기전
항경화 효과(tamoxifen-induced TGF-β1 suppression of fibroblasts)
추가적인 약리 효과로 인해 desmoid tumor, ormond’s disease, riedel’s disease의 치료제로도 사용됨°
° : 모두 섬유화와 관련된 병
SEP에서의 tamoxifen의 효과
- 몇몇의 case report에서 tamoxifen ± 면역억제제 혹은 스테로이드 치료법에서 임상 치료 효과가 보고됨
- 네덜란드 다기관 후향적 연구
치료 방법 |
tamoxifen군 |
non-tamoxifen군 |
사망자수,% |
24명 (46%) |
39명 (74%) |
- 영국 다기관 연구
치료 방법 |
환자 수 |
생존 개월 (범위) |
대조군 |
46 |
13 months (1-84) |
tamoxifen |
17 |
15 months (1-58) |
steroid±면역억제제 |
8 |
7 months (1-119) |
tamoxifen+steroid±면역억제제 |
8 |
14 months (6-38) |
결론 : tamoxifen의 혹은 steroid±면역억제제 병용 시 이점이 없음
- 피막성으로 진행하지 않은 경화성 복막염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예방적으로 tamoxifen을 사용함. tamoxifen 투여받은 9명 모두 복부 합병증이 없었고, 투여 받지 못한 14명 중 4명에서 EPS가 진행됨. 이를 통해 tamoxifen의 SEP 예방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Tamoxifen 이점
상대적으로 well tolerated
일반적인 부작용 : hot flushes, nausea, fatigue, endometrial carcinoma, ischemic stroke, pulmonary embolism, and deep venous thrombosis
Tamoxifen 단점
Calciphylaxis(혈관에 칼슘이 침착된 상태)
lupus nephritis 동반 시 hypercoagulable state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주의
reference :
(1) Jagirdar, Rajesh M., et al. "Encapsulating Peritoneal Sclerosis: Pathophysiology and Current Treatment Op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2 (2019): 5765.
(2) 정지윤, et al. "타목시펜과 프레드니솔론으로 호전된 경화성 피막성 복막염 (sclerosing encapsulating peritonitis)."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구 대한신장학회지) 28.6 (2009): 685-692.
(3) Allaria, Pietro Mario, et al.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and sclerosing encapsulating peritonitis: tamoxifen as a new therapeutic agent?." Journal of nephrology 12.6 (1999): 395-397.
'🤹♂️ 카테고리별 약물 > 위장관·췌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의 주 100 MG, Gabexate mesilate (0) | 2021.03.09 |
---|---|
노자임 캡슐, 크레온 캡슐, 췌장 효소 (5) | 2020.12.20 |
H.pylori 감염 진단, UBT, 요소 호기 검사시 주의사항 (0) | 2020.10.04 |
famotidine, 가스터 정, 가스터 주, 위산분비 억제제, H2RA (0) | 2020.10.04 |
급성 췌장염시 병용 요법(combination therapy of acute pancreatitis), somatostatin, ulinastatin, gabexate (0) | 2020.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