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 작열감 증후군(Burning mouth syndrome)이란?
- 특별한 구경 병변이 없는 상태에서 구강 점막의 타는 듯한 혹은 따끔따끔한 통증을 호소함
- 화끈거림 외에도 구강 점막 통증, 미각 변화, 입 안 건조함 등을 호소함
- 본 치료에 대한 광범위한 무작위 연구나 표준 치료가 확립되지 않음
- 증상에 대한 완화요법이 주된 목표 & 환자 맞춤형 치료 계획
구강 작열감 증후군 치료 약제
- 항불안제
- 진통제
- 항뇌전증 약제
- 항진균제
- 항균제
- 콜린제(ex. pilocarpine)
- 항히스타민제
- 항불안제
- 비타민/미네랄 제제
- 호르몬 대체제
Topical medication, 국소 제제
Treatment | Comment | |
Capsaicin | substance P를 억제하여 통증 억제 내약성의 떨어지고 위장관계 부작용 위험성이 큰 환자에게는 사용이 제한됨 방법 : hot pepper : water = 1:2 비율을 1 티스푼으로 입 안을 헹굼, 내약성이 양호하다면 1:1 비율까지 강도를 증가 ref : Grushka, Miriam, Joel B. Epstein, and Meir Gorsky. "Burning mouth syndrome." American family physician 65.4 (2002): 615. |
|
Benzydamine HCl | 0.15 % benzydamine HCl[탄튬 액]을 1일 3회 시도하였을 때, 항염증, 진통 작용이 있었다는 문헌이 있지만 그 결과는 일괄적이지 못함 | |
Clonazepam | 1 mg의 clonazepam을 1일 3회 14일 동안 혀 위에 두고 빰(sucking) 6개월 동안 투여한 연구에서는 70%의 호전이 관찰되기도 함 |
|
Lidocaine | 크게 효과적이지 못한 결과들이 나왔는데 이는 약물 작용 시간이 짧기때문으로 생각됨 | |
Steroid | Steroid 가글의 효과는 한 연구에서 50%의 호전이 관찰되기도 함 점막의 궤양이 동반된 경우, 보조적인 병합요법으로 시도될 수 있음 |
|
그 외 | 알로에 겔 lactoperoxidase(biotene mouthwash), 5% doxepine : 효과불충분 |
Systemic medication, 전신 제제
Treatment | Comment | |
TCA | Amitriptyline, desipramine, imipramine, clomipramine, nottriptyline 최소 유효량으로 시작하여 점진적인 증량 오히려 구강 건조가 악화될 수 있음 주의 |
|
SSRI | sertraline(50 mg/day) for 8 weeks paroxetine(20 mg/day) for 8 weeks duloxetine(30-60 mg/day) |
|
Antipsychotic | amisulpride, levosulpiride : 50 mg/day for 24 wkkes | |
ALA Alpha-lipoic acid = thioctic acid |
메커니즘 : 세포내의 글루타치온을 증가 ⇒ 활성산소 제거하여 항산화작용, 신경 보호 작용 → 당뇨병성 신경병에 주로 사용됨 600 mg/day(200 mg tid) 단독 혹은 병용 요법 for 8 weeks |
|
Benzodiazepine | 항불안을 동반한 구강 작열감 증후군 환자에서 유용할 수 있음 최소 유효량부터 시작 clonazepine(0.5 mg/day) alprazolam(0.25-2 mg/day) |
|
비타민 제제 | 비타민 B, C, 미네랄(철, 아연)의 보충은 homocystein 수치를 낮추고 증상 완화가 보고됨 | |
Hormone replacement therapy | 특히 폐경 전후 여성의 구강 증상을 완화할 수 있음 conjugated estrogen 0.625 mg/day for 21일 + medroxyprogesterone acetate 10 mg/day 12일째부터 21일째까지(10일간) ⇒ 연속 3주기 |
reference:
1) 장재원, and 김철호. "구강 작열감 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두경부외과학 56.9 (2013): 550-556.
2) Aravindhan, R., et al. "Burning mouth syndrome: A review on its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roach." Journal of pharmacy & bioallied sciences 6.Suppl 1 (2014): S21.
3) Epstein, Joel B., and Joel H. Marcoe. "Topical application of capsaicin for treatment of oral neuropathic pain and trigeminal neuralgia."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77.2 (1994): 135-140.
4) Grushka, Miriam, Joel B. Epstein, and Meir Gorsky. "Burning mouth syndrome." American family physician 65.4 (2002): 615.
5) Forabosco, A., et al. "Efficacy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ral discomfort."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73.5 (1992): 570-574.
'🤹♂️ 카테고리별 약물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etaminophen overdose treatment, 아세트아미노펜 중독, N-acetylcysteine (0) | 2021.04.03 |
---|---|
히스타민 수용체, Histamine Receptor에 따른 특징 (0) | 2021.04.01 |
extubation failure, 발관 전 corticosteroid 사용 (0) | 2021.01.03 |
식약처, 아세트아미노펜 불순물 검사 결과 발표 (0) | 2020.08.04 |
DUR(Drug Utilization Review) (0) | 2020.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