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fibrinolytic amino acids(항섬유소용해제)
- 경쟁적 플라즈민 억제제 : epsilon-aminocaprotic acid, tranexamic acid
- 직접적 플라즈민 억제제 : aprotinin
- Aprotinin은 지혈효과가 뛰어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다른 항섬유소용해제와 비교한 연구에서 오히려 높은 사망률 결과를 보였다. [3]
작용기전
- tranexamic acid는 lysine의 유도체로 plasminogen의 lysine 결합 부위에 경쟁적으로 결합함
- 그 결과 plasminogen이 fibirn(섬유소)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여 plasminogen의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섬유소의 용해를 억제함
- p-aminomethylbenzoic acid 역시 plasminogen의 활성을 억제하는 tranexamic acid와 유사한 약리기전을 보임
성분 별 특징
성분명 | tranexamic acid | p-Aminomethyl Benzoic Acid |
상품명 | 트라넥삼산 주 500 MG/5 ML | 에스빅스 주 50 MG/5 ML |
용법/용량 | 보통 250-500 mg (#1-2) IV or IM 필요에 따라 500-2500 mg 1회 IV * 너무 빠른 투여는 hypotension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 * 부하용량 시 최대 권장 투여 속도 100 mg/min * trauma associated hemorrage or traumatic brain injury시 1 g over 10 min 이후 1 g over 8hr regimen이 권장됨 * lexicomp 상에서는 IM 용법이 소개되고 있지 않음 |
50-100 mg IM or IV(천천히 정맥주사 or 점적 정맥주사) |
희석 | IV: 희석하지 않고 100 mg/min의 속도로 투여✨ |
IM: 희석하지 않아도 됨 IV: 희석하지 않고 천천히 투여 or 희석하여 점적 정맥주사 |
주의 | 신배설 되므로 신부전 환자에게 사용 시 주의 | |
신장애 환자군 |
신부전 환자(신중투여; 허가사항) 1-2회 투여정도는 용량 조절 필요 없음(lexicomp; expert opinion) * lexicomp의 [Dosing: Altered Kidney Function: Adult]를 참고 |
중증의 신부전 환자(금기; 허가사항) 신부전 환자(주의; 허가사항) |
✨ 이를 bolus로 착각하여 주기에는 최대 권장 투여 속도가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환자 약물 투여를 위해 트라넥삼산 1 amp을 투여할 때 적어도 5 min에 걸쳐서 투여가 권장되는데 실제 임상에서 bolus로 잡고 있을 수 없으니 fluid restriction 환자가 아니라면 적당한 수액에 mix 하여 점적 정맥 주사하는 것이 맘 편하지 않을까?!
reference:
1) 박찬익, et al. "외상 환자 치료에서 Tranexamic Acid 의 역할." Journal of Acute Care Surgery 5.2 (2015): 47-51.
2) Verstraete, Marc. "Clinical application of inhibitors of fibrinolysis." Drugs 29.3 (1985): 236-261.
3) Fergusson, Dean A., et al. "A comparison of aprotinin and lysine analogues in high-risk cardiac surger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8.22 (2008): 2319-2331.
4) lexicomp
'🤹♂️ 카테고리별 약물 > 심혈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부전 (heart failure): 1차 표준 치료제 (2) - ACEI, ARNI, ARB, BB, MRA, SGLT2 억제제 (0) | 2022.08.30 |
---|---|
심부전 (heart failure): 비약물적 치료(수분, 식염 제한) 및 약물 치료 (1) (0) | 2022.08.29 |
HDL의 역설: 몸에 좋은 HDL 콜레스테롤, 너무 높으면 오히려 독이 된다? (0) | 2022.07.06 |
CCB poisoning, CCB 중독, dihydropyridine계 CCB vs non-dihydropyridine계 CCB (0) | 2022.05.20 |
Hydrophilic vs. Lipophilic Statin: 친수성 스타틴 vs 친유성 스타틴 (0) | 2022.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