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ofol 용해 보조제 차이 (MCT/LCT vs LCT)
주사시 통증은 propofol의 주요 단점으로 대다수의 환자들이 경험한다. 한 논문에 의하면 Propofol –®Lipuro(1% propofol/LCT 제형)을 투여받은 환자의 36%가 통증을 호소했다.[1]
propofol의 통증 유발 메커니즘 : unclear, 혈관 내피세포 → kinin cascade 작동
또 다른 논문에 의하면 LCT → MCT/LCT로 용해보조제만 변경만으로 lidocain 없이 통증 발생률을 14.7 % → 2.7% 로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었다.[2]
아네폴(ANEPOL AMP)과 프레조폴(FRESOFOL MCT VIAL/AMP) 차이가 뭔가요?
상품명 |
FRESOFOL MCT VIAL |
FRESOFOL MCT AMP |
ANEPOL AMP |
|
함량 |
1000 MG/50 ML |
150 MG/15 ML |
200 MG/20 ML |
50 MG/5 ML |
농도 |
20 mg/mL (2%) |
10 mg/mL (1%) |
10 mg/mL (1%) |
10 mg/mL (1%) |
성분명 |
Propofol |
|||
용해보조제 |
MCT : LCT = 1 : 1 |
LCT |
||
허가 적응증 |
1. 성인 및 3세 이상 소아의 전신마취 유도 및 유지 2. 인공호흡 중인 중환자의 진정 |
1. 성인 및 3세 이상 소아의 전신마취 유도 및 유지 2. 인공호흡중인 중환자의 진정 3. 수술 및 진단 시 의식하 진정 |
||
기준약가 |
15,968/Ⓥ |
3,733/Ⓐ |
4,671/Ⓐ |
1,160/Ⓐ |
열량 |
1.1 kcal/mL (lipid 종류와 propofol 함량에 상관 없이) |
|||
Mechanically |
max : 4 mg/kg/hr 최대 7 일간 (PRIS 예방) |
max : 4 mg/kg/hr 최대 3 일간 (PRIS 예방) |
||
투여시 주의사항 |
1. 원액 그대로 사용 or 5DW 희석 가능(2 mg/mL 이상 ; emulsion 안정성 유지) 2. 투여시 통증 완화를 위해 큰 정맥(전와부;antecubital fossa) 사용/리도카인 사용 3. 12 시간 이내 사용 완료 (lipid 제형이기 때문에) |
용해보조제 차이에 따른 통증
아래는 용해보조제의 차이에 따른 통증 위험도에 대한 메타분석이다. MCT/LCT 제형의 경우가 통증 위험도가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MCT 추가 지질 제형에 의해서 propofol 투여시 통증이 감소된 이유[3] :
- emulsion의 수층(aqueous phase)에 free propofol이 고농도로 존재할 수록 통증 큼
- The amount of free propofol was distinctly diminished in the emulsion containing an oil phase composed of long chain triglycerides (LCT) and medium chain triglycerides compared with those containing only LCT.
= LCT/MCT 제형에서 aqueous phase의 free propofol의 함량이 적음 → 통증 감소 예상
reference:
(1) Kam, E., M. S. Abdul‐Latif, and A. McCluskey. "Comparison of Propofol‐Lipuro with propofol mixed with lidocaine 10 mg on propofol injection pain." Anaesthesia 59.12 (2004): 1167-1169.
(2) Jalota L, Kalira V, George E, Shi YY, Hornuss C, Radke O, et al. Prevention of pain on injection of propofol: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2011;342:d1110
(3) MfiLLER, R. H., and S. HARNISCH.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ropofol-loaded emulsions and interaction with plasma proteins 阴." Eur Hosp Pharm 6 (2000): 24_31.
'🤹♂️ 카테고리별 약물 > 진통·진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장애 환자에서의 통증 관리(Pain Management in Hepatic Impairment) (0) | 2020.09.22 |
---|---|
PRIS(Propofol Infusion Syndrome), 증상, 예방 (0) | 2020.09.15 |
propofol 희석할 수 있나요? (0) | 2020.09.07 |
Fentanyl, Remifentanil, Morphine 용량, 희석 (0) | 2020.08.31 |
흡입성 마취제, 흡입성 진정제의 사용 기기 (0) | 2020.08.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