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전해질·수액

신부전 환자, 마그네슘(magnesium), 고마그네슘혈증 유발 약제

기미개미 2021. 1. 22.

마그네슘 함유 약제_변비

성분명 magnesium hydroxide magnesium oxide
상품명 마그밀 정 마그밀 에스 정
함량 500 MG 250 MG
elemental magnesium content 42 % 61 %
효능효과

1) 다음 질환의 제산작용 및 증상의 개선 :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과다

2) 변비증

1) 다음 질환의 제산작용 및 증상의 개선 :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과다

2) 변비증

용법용량

1) 위ㆍ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과다 : 수산화마그네슘으로서 1일 1-2.5g을 수회 분할 경

구투여한다.

2) 변비증 : 1일 1-2g을 1-2회 분할 경구투여한다.

ㆍ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1)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과다 : 산화마그네슘으로서 1일 0.5-1g을 수회(여러 차례) 분할 경구투여한다.(먹는다,복용한다)

2) 변비증 : 1일 2g을 1-2회 분할 경구투여한다.(먹는다,복용한다)

다만, 초회는 최소량을 복용하고 변의 모양과 상태를 보면서 조금씩 증량 또는 감량한다.

사용상 주의사항 1) 신장애 환자(심한 신기능장애 환자에게서 고마그네슘혈증 나타날 수 있음)
2) 설사 환자

1) 신장애 환자(심한 신기능장애 환자에게서 고마그네슘혈증 나타날 수 있음)
2) 설사 환자

Oral dosage and tolerable upper intake level Adults: 350 mg per day of elemental magnesium

 

Background

  • 신부전 환자의 마그네슘 규제와 체 내 제거는 다소 덜 연구가 되어졌다. GFR ≤20-30 mL/min 의 환자군에서 혈청 마그네슘 농도가 증가한다는 점을 알고 있지만, GFR이 약간 감소된(>30 mL/min) 환자군에서의 혈청 마그네슘 농도나 고마그네슘혈증 유발 정도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 또한 마그네슘은 세포 내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혈청 마그네슘 농도와 전신 마그네슘 함량 사이의 관계 역시 고려해야한다.

Serum Mg in CKD

건강한 사람의 Mg 균형 유지 : 장내 Mg 흡수 & 신장 Mg 배설 

🍀 정상 상태에서 섭취된 마그네슘의 30-50 % 흡수됨, 이 때 흡수 정도는 섭취한 마그네슘 양에 반비례

ex) 섭취량 적을 때는 80%까지 흡수될 수 있고 반대로 섭취량 많을 때는 25% 까지 감소될 수 있음 

🍀 정상 상태에서 약 74-100 mmol (1800-2400 mg)의 마그네슘이 여과됨, 신장에서 혈청 마그네슘 농도에 따라 Mg 제거 정도를 조절함

ex) 고마그네슘 혈증 시 마그네슘의 배설량이 커짐

마그네슘신기능/마그네슘

(왼쪽)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magnesium concentration and cre-atinine clearance in patients with CKD. Each point represents a result from asingle patient. Normal range serum magnesium: 0.65–1.05 mmol/L (1.58–2.55 mg/dL).

(오른쪽)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ctional excretion of magnesium(CMg) and endogenous creatinine clearance (CCr) in patients with chronicrenal disease.

 

 

  • Magnesium homeostasis depends on the adaptability of magnesium absorption in the intestine and magnesium reabsorption in the kidneys.
  • Individuals with creatinine clearance down to ∼30 mL/min can generally compensate for the loss of renal function by increases in the fractional excretion of magnesium such that serum levels are maintained within the normal range.
  • Below this level of renal function, compensatory mechanisms fail and patients with creatinine clearacne of < 10 mL/min are likely to be hypermagnesaemic.

 

Serum Mg in dialysis patients

투석환자와 비투석환자에서의 total Mg와 ionized Mg의 차이_각 문헌 별 comment

 

1. Normal magnesium serum levels found. Similar ionized Mg fraction in HD versus control.

  └ HD 환자군과 대조군의 inonized Mg 수치는 비슷함

2. Tendency toward a reduced free Mg fraction(pre- and post-dialyses) in HD versus controls. Reduction of total and ionized serum Mg concentration during the HD session.

  └  HD 환자군과 대조군의 pre, post HD 기간동안 감소된 free Mg 경향을 조사하였을 때, HD session 동안 total & ionized serum Mg 농도의 감소가 관찰되었음 

3. No difference between ionized fraction of total serum Mg between HD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 HD 환자군과 건강 성인군에서 total 농도의 inoized Mg 비율은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음

3번 내용

 

4. Lower ionized serum Mg in HD and CAPD patients versus age matched controls.

  └ 각 군의 연령대를 유사하게 조정한 뒤 시행한 연구에서 HD 군과 CAPD군은 대조군에 비해 낮은 ionized serum Mg 농도를 보여줌 

5. Mild hypermagnesaemia in the 0.75 group. Lower fraction of ionized Mg in CAPD patients than in controls, P<0.06. Ionized serum Mg concentration higher in patients with residual renal function than in patients without (0.7760.1 versus 0.6960.11 mmol/L).

  └ Dialystate 0.75 mmol/L에 해당하는 군은 경증의 고마그네슘혈증을 보임. 대조군에 비해 CAPD 군에서 더 낮은 ionized Mg 분율을 나타냄. residual renal fuction이 있는 환자군이 그렇지 못한 환자군에 비해 ionized serum Mg 농도가 더 높았음(0.7760.1 versus 0.6960.11 mmol/L).

 

5번 내용

 

- 마그네슘 overload에 대한 더 나은 지표를 찾기 위해 serum Mg 농도 뿐만 아니라 세포 혹은 혈구(적혈구, 단핵구)에서의 total & ionized Mg 농도를 조사하였고 다양한 결과를 얻었다.

더 젊은 적혈구에서 마그네슘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투석하는 환자에서 더 높은 적혈구의 마그네슘 농도가 예상된다.

실제 문헌에서도 적혈구의 평균 마그네슘 농도은 건강한 지원자에 비해 투석 환자 또는 투석하지 않는 신부전 환자에서 일관되게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더 높은 Hct(30 % 이상) 또는 EPO 치료를 받는 환자는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적혈구 마그네슘 농도에 거의 차이가 없었고 만성 투석 환자에서 적혈구 마그네슘 농도와 Hct 사이에 유의한 역상관성을 보였다.

한 연구에서 total serum Mg 농도 & ionized serum Mg 농도 & 적혈구 마그네슘 농도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단핵 세포 내 총 마그네슘 수준은 혈청 마그네슘 수준과 관려이 없었으며 마그네슘 과부하 검출 지표로 적절하지 않았다.

 

- 위 내용을 바탕으로 ionized serum, ionized monomuclear, ionized red blood cell의 마그네슘의 측정은 마그네슘 과부하 측정에 적절한 지표는 아니다.

 

 

  • Levels of total and ionized magnesium are often slightly elevated above the normal range (0.65–1.05 and 0.45–0.74 mmol/L, respectively) in PD and HD patients. (투석 환자에서 총 마그네슘 농도와 이온화 마그네슘 농도는 일반인에 비해 다소 높을 것이다.)
  • Ionized serum magnesium and many other potential markers have been examined to see if they would be better than total serum magnesium for detecting magnesium overload. (마그네슘 과부하 지표로 총 마그네슘 농도보다는 이온화 마그네슘 농도가 더 나은 지표로 생각된다.)
  • Ionized serum, ionized mononuclear or red blood cell measurements are not helpful in identifying magnesium overload. (이온화 혈청 마그네슘, 이온화 단핵구 마그네슘, 이온화 적혈구 마그네슘 수준은 마그네슘 과부하를 식별하는데 유용하지 않을 수 있다; 비록 총 마그네슘 농도보다는 더 나은 지표로 생각되어지지만)

 

Serum magnesium levels and dialysate magnesium

  • Various magnesium and calcium dialysate concentrations have been investigated in patients undergoing HD or PD.
  • Results indicate that magnesium, 0.75 mmol/L, is likely to cause mild hypermagnesaemia.
  • Results for lower magnesium dialysate concentrations (e.g. 0.5 mmol/L) were less consistent.
  • Serum magnesium levels were mostly normal to hypomagnesaemic when 0.2 and 0.25 mmol/L were used.
  • Factors other than dialysate magnesium concentration, such as nutrition and medications (e.g. laxatives or antacids), are also likely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serum magnesium concentrations in dialysis patients.
  • The intradialytic cardiovascular and haemodynamic benefits of varying magnesium concentration in patients’ dialysate are unclear.

 

 

reference:

1) Guerrera, Mary P., Stella Lucia Volpe, and Jun James Mao. "Therapeutic uses of magnesium." American family physician 80.2 (2009): 157-162.

2) Cunningham, John, Mariano Rodríguez, and Piergiorgio Messa. "Magnesium in chronic kidney disease Stages 3 and 4 and in dialysis patients." Clinical kidney journal 5.Suppl_1 (2012): i39-i51.

3) 약학정보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