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의 원인
간질환 | 간경변증 급성간부전 버드키아리증후군(Budd-Chiari syndrome) 굴폐쇄증후군(sinusoidal obstruction syndrome) |
간외 질환 | 암성복수(복막암종증[peritoneal carcinomatosis], 광범위간전이[massive liver metastases] 등) 결핵성 복막염 심부전 췌장염 신증후군 수술 후 림프 유출(postoperative lymphatic leak) 점액부종(myxedema) |
복수의 분류
grade 1 | 복부초음파검사 등 영상검사에 의해서만 확인이 가능한 경우 복부초음파의 경우 100 mL 이상의 복수만 존재해도 진단이 가능함 |
grade 2 | 복부의 대칭적 팽창으로 시진 및 촉진으로도 쉽게 복수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 |
grade 3 | 육안적으로 현저한 복부팽만을 보이는 대량 혹은 긴장성 복수 |
심부전으로 인해 발생한 복수의 경우,
- 목정맥확장(jugular venous distension)을 관찰 가능
- 뇌나트륨이뇨펩타이드(brain natriuretic peptide; BNP)나 전뇌나트륨이뇨펩타이드(pro-brain natriuretic peptide;pro-BNP)의 측정으로 간경변증에 의한 복수와 감별할 수 있음
복수의 분석 및 감별진단
복수의 성상 | 탁한 복수 | 감염 or 암성 복수 |
우유빛 복수 | 유미성 복수(chylous ascites) ; 외상, 간경변증, 종양, 결핵 또는 선천적 이상 등으로 인한 림프관 손상으로 발생 |
|
갈색 복수 | 복수의 빌리루빈 수치 증가 ;담관의 천공 |
|
검은색 복수 | 췌장의 괴사 or 흑색종의 전이 |
진단 검수 항목
필수검사 | 세포 수와 분획(cell count and differential | - |
알부민 | ||
총단백질검사 | ||
선택검사 | 세포검사(cytology) | 암이 의심되는 경우 |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 암이 의심되는 경우 | |
도말(acid-fast bacilli,AFB smear) 배양검사와 adenosine deaminase (ADA) 검사 |
결핵성 복막염 의심되는 경우 (고위험군: 결핵 유행지역에 최근 갔다왔거나 HIV 감염 환자) | |
Lactate dehydrogenase | 이차성 세균성 복막염 의심되는 경우(장관의 천공 등에 의해 발생함) 이차성 세균성 복막염의 경우, 복수 Glucose < 50 mg/dL 복수 LDH > 혈청 LDH 복수 CEA > 5 ng/mL 복수 Alkaline phosphatase >240 U/L |
|
Glucose | ||
Carcinoembryonic antigen | ||
Alkaline phosphatase | ||
Amylase | 췌장성 복수 의심되는 경우 > 1000 mg/dL (전형적인 값) |
|
Urea, Creatinine | 요로성 복수 의심되는 경우, 외상이나 의인성(iatrogenic)에 의한 방광이나 요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음 | |
Bilirubin | 담관의 천공 의심되는 경우 |
혈청-복수 알부민 차(serum-ascites albumin gradient, SAAG)
- 문맥압 항진증에 의한 복수의 감별에 유용
- 차이가 1.1 g/dL 이상 시 문맥압항진증에 의한 복수를 시사, 정확도는 약 97%
reference:
1) 2017 대한간학회 간경변증 진료 가이드라인: 복수 및 관련 합병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