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신장

복막투석 종류(CAPD;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손투석 vs APD;자동복막투석), 복막투석액 종류(glucose vs icodextrin)

기미개미 2021. 11. 11.

복막 투석의 기본 원리

  • 반투과성 막인 복막을 경계로 농도의 차이로 용질이 이동하는 확산(diffusion)
  • 용매의 이동에 동반하여 작은 크기의 용질이 이동하는 대류(convection)
  • 삼투압 차이에 의하여 수분이 이동하는 한외여과(untrafiltration) 현상

 

복막투석의 종류: 손투석은 무엇인가?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자동복막투석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APD
대개 낮 동안 3회, 밤 동안 1회 투석액 교환을 수동으로 시행하는 방법
손투석이라고도 부름
nighty intermittent peritoneal dialysis(NIPD): 취침 전 설정하면 수면시간 동안 기계가 3-6차례 투석액을 자동으로 교환해줌, 낮동안 투석에서 자유로울 수 있음
continuous cyclic peritoneal dialysis(CCPD): 낮에도 장시간 투석액 저류를 유지하는 등의 형태로 변형해 이용할 수도 있음
🖐 복막투석의 종류는 다음에 설명할 환자의 복막투과도와 투석의 적절도, 잔여 신기능, life style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되며 CAPD와 APD에 따른 환자의 예후의 차이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다.

🖐 특히 복막투석을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복막 손상을 적게하여 복막기능을 보존하는 것이 필요하다.
- 장기간 복막 투석으로 인한 복막 손상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상반된다.
(1)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시작 후평균 21.9개월의 추적 관찰 연구 결과, 복막투석 시작 당시와 비교할때 용질 이동의 큰 차이가 없음을 보고
(2) 평균 2년의추적 관찰 연구에 같은 결과를 보고
(3) 복막투석 시작 후 3년까지 용질 이동은 처음에 비해 큰 변화는 없었으나 그 이후부터 한외여과능의 감소와 함께 용질이동이 증가하여 복막기능의 변화가 초래된다고 보고
👉 좀더 장기간의 추적 기간이 필요함

🖐 복막기능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
- 복막염의 발생 빈도
- 복막 투석의 기간
- 고농도 포도당 투석액 사용
- 생체 비적합 투석액의 사용

 

복막투석액의 종류

약품명 총 부피 구성(용도) glucose 농도
삼투압제제
씨에이피디 2 밸런스 복강투석액
(CAPD 2 BALANCE)
2 L 2 bag 1.50%
씨에이피디 3 밸런스 복강투석액
(CAPD 2 BALANCE)
4.25%
씨에이피디 4 밸런스 복강투석액
(CAPD 2 BALANCE)
2.30%
엑스트라닐 액(EXTRANEAL) 2 L 1 bag
(기계용)
(Icodextrin)
75 g/L
2 bag
(손투석용)
피지오닐 액(PHYSIONEAL) 2 L 2 bag
(손투석용)
1.50%
2.50%
4.25%
5 L 2 bag
(기계용)
1.50%
 
2.50%

 

복막 투석액에 함유된 포도당은 이상적인 삼투압제제(osmotic agent)가 아니다. 쉽게 흡수되어 삼투압 유지가 오래가지 않아 한외여과의 효율이 낮아진다. (it is easily absorbed, thereby attenuating the osmotic gradient driving ultrafiltration (UF)) 또한 포도당의 흡수는 고인슐린혈증, 고지질혈증, 체중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포도당 자체와 그 대사산물은 복막의 섬유소원(fibrinogen)이나 vasculopathy 등을 유발한다.

 

대한신장학회

고농도의 포도당을 사용할수록 복막의 효율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속성 대체 삼투압제제(long-standing alternative osmotic agent)이 고안되었다.

Icodextrin은 수용성 포도당 중합체로 1997년 처음 판매되었다. glucose(포도당)에 비해 여과률을 호전시킨다. 하지만 임상적 효과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못하다.

 

Three systematic review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have compared icodextrin-containing to glucose-only PD regimens. However, their estimates of important outcomes such as mortality risk and hospitalization, as well as systemic metabolism and peritoneal function, have wide confidence intervals (CIs). This uncertainty may have arisen because of nonincluded evidence, such as unpublished data from published studies, studies published in non-English languages, and studies that have undergone regulatory as opposed to academic peer review.

⇨ 3개의 RCT가 있지만 그 임상 효과에 대해서는 불명확하다.

 

 

(1) systematic review for once-daily long-dwell icodextrin versus glucose

 

결론 : Icodextrin for once-daily long-dwell PD has clinical benefit for some patients, including those not meeting ultrafiltration targets and at risk for fluid overload. Future research into patient-centered outcomes and cost-effectiveness associated with icodextrin is needed.

유체 과부하의 위험이 있는 한외여과가 잘 되지 않는 환자군에서 once-daily long-dwell PD가 효과적일 수 있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 for icodextrin and glucose solution

 

결론: Icodextrin could relieve uncontrolled fluid overload without adding risk. However, a significant effect on clinically relevant outcomes such as technical survival and overall patient survival was not suggested. More trial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statistical power and to verify the value of icodextrin in clinical practice.

 

 

 

 

reference:

1) 대한투석혈관학회

2) 노현진. "복막투석." 대한내과학회지 86.2 (2014): 138-141.

3) 한승혁. 장기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 복막기능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Diss.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4) Goossen, Käthe, et al. "Icodextrin versus glucose solutions for the once-daily long dwell in peritoneal dialysis: An enrich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75.6 (2020): 830-846.

5) Kanno, Atsuhiro, et al. "Comparison of clinical effects between icodextrin and glucose solutions on outcomes of peritoneal dialys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enal Replacement Therapy 6.1 (2020): 1-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