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뇌졸중 환자(stroke)에서 유익한 고혈압약, 뇌전증 고혈압(epilepsy anti-HTN), 발작, losartan, ARB

기미개미 2023. 5. 13.

뇌전증이란?

뇌전증(간질)은 뇌 신경세포가 일시적으로 이상을 일으켜 과도한 흥분 상태를 유발함으로써 나타나는 의식 소실, 발작, 행동 변화 등과 같은 뇌 기능의 일시적 마비 증상이 만성적,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뇌 질환이다.
ref: 서울아산병원
최근의 데이터는 동맥 고혈압(arterial hypertension)이 뇌전증의 가장 흔한 합병증 중 하나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곧 동맥 고혈압이 직/간접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발작과 뇌전증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뇌졸중-발작(뇌전증), ARB 혈압약이 효과적일까?

초기 연구는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s)가 항뇌전증 치료제로 유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동물 연구에서 losartan은 알부민 유도 형질전환 성장 인자 베타(TGFB) 신호 전달 cascade를 억제함으로써 항뇌전증 효과를 나타낸다.
회고적 임상 연구는 ARB가 다른 혈압강하제와 비교하여 상대적인 신경 보호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ARB 요법의 사용과 뇌전증의 발생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고혈압 환자의 대규모 샘플에서 다른 그룹의 고혈압약과 관련된 질병의 발생률을 비교하였다.
 

 

 
 
모든 ARB 약물에서 뇌전증의 발생률은 감소했지만, 관련성은 ARB 계열의 losartan에서만 유의했다.(table 2)

 

Losartan

코자 50 mg 정

코자 100 mg 정




If future studies find a causal role of ARBs in the prevention of epilepsy, this finding may have the potential to change existing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뇌전증 예방과 ARB에 대한 인과적 역할(causal role)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지만 향후 밝혀진다면 동맥 고혈압 치료의 기존 지침이 변경될 수 있음!

 
 

 
 

위의 논문에 대한 고찰 : JAMA Neurol. (doi:10.1001/jamaneurol.2023.0404)

다른 고혈압 치료제에 비해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를 받는 고혈압 환자에서 뇌전증 발병률이 감소한 것을 발견한 회고 연구(JAMA neurology 79.12 (2022): 1296-1302.)가 있다.

위의 논문 저자들은 2018년 유럽 심장학회/유럽 고혈압학회의 지침을 적용하였는데 고혈압 약제로 ACEI, ARB, BB, CCB, 이뇨제 중 5가지 계열의 약제를 사용하였다. 2018 유럽지침에서는 심장세동(AF, atrial fibrillation)이나 증상이 있는 협심증(symptomatic angina), 심근 경색(postmyocardial infarction), 심부전(HFrEF; fea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등에는 BB를 우선 사용할 것을 추천하고 있고 있는 미국의 주요 고혈압 지침과 일치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고혈압 약제에 BB는 권장되지 않는다. (d/t 다른 고혈압 계열 약제에 비해 주요 심혈관 이벤트를 예방하는데 다른 약제에 비해 낮은 효과를 보이므로) → 결과적으로 baseline을 설정할 때 BB를 복용하는 군에 AF 환자들이 많이 편향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
 
이 연구에서 환자들의 기저 질환(comorbid condition)은 보고되지 않았는데 따라서 AF 환자의 경우 연간 뇌졸중 발병률이 최대 20%에 이를 수 있고 뇌졸중이 뇌졸중 후 뇌전증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baseline을 정할 때 AF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았는지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 AF 환자군에서 뇌전증이 많이 발생할 수 있고 AF 환자들은 주로 BB로 치료되기 때문에 BB의 효과가 이러한 환자의 기저질환 때문에 mask 되는건 아닌지 의문 제시!(한계 지적)


 
마찬가지로 CCB에도 DHP계 CCB와 non-DHP계 CCB로 나뉠 수 있는데 BB와 마찬가지로 non-DHP계 CCB는 AF에서 ventricular rate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CCB의 유형이나 AF 여부 등이 명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선택 편향(selection bias)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ARB에서 발견된 이점이 ACEI에는 명확하지 않다는 점 역시 흥미롭다. ARB와 달리 ACEI는 bradykinin의 분해를 억제하는데 이는 혈관부종과 마른 기침의 위험을 높인다. 제한된 데이터이긴 하지만 뇌전증에서 염증 매개체인 bradykinin의 연관성을 보여주므로 뇌전증의 병리 생리학에서 이 물질의 역할을 탐구하는 것도 가치가 있겠다.
 
 
 
reference:
1) JAMA Neurol. Published online April 3, 2023. doi:10.1001/jamaneurol.2023.0404
2) JAMA Neurol. Published online April 3, 2023. doi:10.1001/jamaneurol.2023.0407
3) Doege, Corinna, Mark Luedde, and Karel Kostev. "Association Between Angiotensin Receptor Blocker Therapy and Incidence of Epilepsy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JAMA neurology 79.12 (2022): 1296-13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