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나트륨혈증은 상대적으로 드물지만, 잠재적으로 유의미한 항정신약물의 부작용으로 간주된다.
특히 기저 질환 등 다양한 이유로 외래에서 해당 약제를 복용 중에 입원하여 electrolyte lab 상
저나트륨혈증이 보인다면 의심해 볼 수 있는 요인이다.
다음 표는 drug induced diseases : prevention, detection, and management 2nd edition (James E. Tisadale)에 수록된 agent implicated in drug induced SIADH 표이다.
Drug induced SIADH
분류 | 성분명(상품명) |
항정신약물 | aripiprazole (아빌리파이) chlorpromazine (네오마찐) clozapine (클로자릴) fluphenazine haloperidol (페리돌) pimozide (피모짓) quetiapine (쎄로켈) risperidone (리스페달, 리스피돈 오디) thioridazine trifluoperazine thiothixene |
항암제 | aminoglutethimide bortezomib carboplatine chlorambucil |
항전간제 | carbamazepine (카르마인 씨알, 테그레톨, 타모닐 서방정, 테그레톨 시럽) levetiracetam (케프라, 큐팜액) oxcarbazepine(트리렙탈, 트리렙탈 현탁액) valproic acid (데파코트 스프링클, 데파킨, 오르필 시럽, 프로막 정) |
경구 혈당 강하제 | chlorpropamide tolbutamine |
ACEI | enalapril (에나프린) lisinopril (제스트릴) ramipril (트리테이스) |
Other | amiodarone (코다론) amantadine (아만타 diclofenac (디크놀 주) esomeprazole (넥시움, 오엠피 에스) fentanyl (펜타닐) ibuprofen (이부프로펜, 캐롤 에프, 맥시부펜 시럽) L-dopamine (마도파) lorazepam (로라반) thiazide diuretics (다이크로짇 ; hydrochlorothiazide) |
볼드체 : incidence known, 일반체 : incidence not known
Case 소개
항정신약물 과거력이 없는 환자가 TBI(trauma brain injury) 이후 생긴 섬망 증상을 위해 antipsychotic agent 복용 이후 SIADH 발생된 case이다. 특히 haloperidol & quetiapine,
history : haloperidol 10 mg IV q2hr (as needed), qeutiapine 200 mg q6h
이 두 약제를 중단하고 나서 hyponatremia는 reversal 되었다. quetiapine의 rechallenge 이후, 혈청 나트륨 수치가 비슷하게 감소되어, PO로 sodium choloride 복용하였다.
* SSRI 경우, high incidence of inducing hypoNa (0.5-32 %) & 첫 1주 이내 발생
이때, TBI 환자이기 때문에, cerebral salt wasting와 SIADH가 흔히 생길 수 있는 환자군이다.
이때 두 개의 감별이 필요하다.
SIADH | Cerebral salt wasting |
adequate water intake hyponatremia serum hypo-osmolarity urine hyper-osmolarity oliguria |
hyponatremia decreased intravascular volume (탈수 증상) 손상 후 첫 일주일 안에 발생하고, 2-4 주 후에 완화됨 (때에 따라서는 수개월에서 수년동안 지속됨) polyuria |
requires fluid restriction → [Na] 증가 removal of the underlying cause judicious (intravenous or oral) administration of salt. |
requires isotonic volume repletion mineralocorticoid(fludrocortisone) |
*2020.11.09 오타 정정 urine hypo-osmolarity → urine hyper-osmolarity
reference
(1) Kenes, Michael T., et al.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in a patient receiving high-dose haloperidol and quetiapine therapy." The Journal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28.2 (2016): e29-e30.
(2) wikipedia
(3) drug induced diseases : prevention, detection, and management 2nd edition (James E. Tisadale)
'🤹♂️ 카테고리별 약물 > 전해질·수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나트륨혈증, hyponatremia, 2세대 항정신병약물, atypical antipsychotic (0) | 2020.11.09 |
---|---|
Osmolarity vs Osmolality (0) | 2020.09.06 |
NS, 5DW, 10DW,HD, HS 등 자주 사용하는 수액 함량 정리 (0) | 2020.08.04 |
수액, fluid, 5DNK1, 5DNK2, 5DNK3 등 함량 정리 (0) | 2020.08.04 |
serum calcium level, calcium albumin 교정식 (0) | 2020.07.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