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 AMP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도록 하자!
혹시 임상에서 KCl이 mg으로 표시되어있는 것을 mEq로 변환해야 한다면
KCl Mw = 74.55 mg/mol 임을 기억하자!
ex) 3 g KCl ☞ 3000 mg KCl ☞ 3000/74.55 ☞ 약 40 mEq
1) Potassium의 생리
일반적으로 K 섭취량의 약 80-90% 소변으로 배설되고 나머지는 대변으로 배설된다.
(신기능 장애 시 hyperkalemia 위험도 증가되고
treatment로 Calcium Polystyrene Sulfonate를 사용하는 이유[장내 K 배출시킴])
칼륨의 경우 잘 보존되지 않아 feeding을 하지 않는 환자의 경우, 체내 칼륨 손실이 계속되어 고갈된다.
Q) serum K level 0.1 mEq/L를 상승시키기 위해 potassium intake(PO/IV)가 얼마만큼 필요한가?
A) 일반적으로는 K 10 mEq당 serum
K 수치 0.1 mEq/L를 상승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다음 study로부터 나온 result는 일반적인
값에 비해 조금 더 큰 값을 보여주고 있다.
GI function이 문제없다면 PO와 IV의
serum K 수치 증가량이 큰 차이가 없다.
K supplement 가이드라인에서는 BMI, renal function, adrenal disorder을 고려하지 않았다.
신기능 장애 환자군에서의 hypokalemia가 흔치 않기 때문에 N수가 적어서 일반화시킬 순 없으나 K supplement시 더욱 주의를 해야겠다.
2) KCl 희석
다음 표에서 볼 수 있듯이 N/S 100 mL에 다양한 농도로 mix 할 수 있다.
Potassium chloride의 경우, risk of extravasation, 주입 관련 부작용(phlebitis) 등을 예방하기 위해
모든 농도의 KCl의 central line으로 주입을 추천한다.
*main fluide에 KCl을 mix시 아주 묽어지므로(1L에 1 AMP 희석 시 40 mEq/L) peripheral or central 고민할 필요가 없지만(그래도 이왕이면 central 추천)
100 mL의 적은 양의 희석 수액과 mix시 100 mEq/L(=¼ AMP + NS 100 mL)까지는 peripheral로 적용 가능하고
그 이상의 농도는 centeral로 적용하도록 하자! (lexicomp) ** 100 mEq/L도 가능하면 central로
<희석 수액에 따른 K final concentration과 선호되는 line>
main fluid(1L기준) | 100 mL N/S or D/W | |
1 AMP + N/S or DW 1 L | 1/4 AMP + 100 mL | >1/4 AMP + 100 mL |
final concentration ; 40 mEq/L | final concentration ; 100 mEq/L |
final concentration ; >100 mEq/L |
periperal or central (central 선호) | periperal or central (central 선호) |
central |
3) 투여 속도
* 1AMP + 100 mL N/S(or DW)인 상황에서 예시
일반적인 hypokalemia 보충을 위한 supplement를 위해
1 AMP(20mL) + 100 mL = 120 mL 이므로
<mixed 수액의 투여 속도에 따른 K supplement rate>
60 cc/hr(over 2hr) | 40 cc/hr (over 3hr) | 30 cc/hr(over 4 hr) |
20 mEq/hr | 13.3 mEq/hr | 10 mEq/hr |
central | central | periperal or central (central 선호) |
* 현재 회진돌고 있는 병동에서 선호하는 방법은 1AMP + 100mL ☞ 30 cc/hr 임
위의 표와 같이 투여될 수 있으며, center 혹은 병동마다 기준을 정하여 setting 할 수 있겠다.
추가적으로 main fluid(1L)에 1AMP 희석시 투여 속도를 살펴보면,
각각의 투여속도에 따른 K supplement rate는 100 cc/hr시 4 mEq/hr, 200 cc/hr시 8 mEq/hr임을 생각하자!
4) 부작용
Cardiac disorders : Cardiac arrest*, asystole*, ventricular fibrillation*, bradycardia
*빠른 rate and/or hyperkalemia 때문
injection site 부위 : extravasation, pain, phlebitis 등
5) overdose시 management
- 10DW(dextrose 20 g당 10 IU insulin) 300-500 mL/hr
* 일반적으로 GIR(glucose infusion rate) = 4-6 mg/kg/min 권장됨.
10DW 500 mL/hr시 (60kg 기준) 13.9 mg/kg/min이 됨. 하지만 insulin 추가 & emergency 상황이므로 ㅎㅎ
- Polystyrene Sulfonate Ca 경구 or 관장 (카리메트 산, 케이슈머 산, 아가메이트 현탁액, 케이다운 현탁액(관장))
- 투석
reference :
1) https://www.accessdata.fda.gov/drugsatfda_docs/label/2017/019904s014lbl.pdf
2) lexicmop
3) Evaluation of the Change in Serum Potassium Levels after Potassium Administration, J Clin Nephrol Ren Care 2016, 2:013
'🤹♂️ 카테고리별 약물 > 전해질·수액' 카테고리의 다른 글
KCl 주사와 주스를 왜 같이 먹는 것일까? (2) | 2020.07.12 |
---|---|
Sodium Polystyrene Sulfonate, 고칼륨혈증(hyperkalemia) 치료약 (0) | 2020.07.11 |
저인산혈증, hypophosphatemia, Potassium phosphate(포스텐 주), Sodium phosphate (1) | 2020.07.09 |
hypokalemia, 저칼륨혈증, 케이콘틴 서방정 (0) | 2020.07.05 |
전해질, KCl, NaCl, 포스텐, Calcium gluconate, magnesium sulfate, 라시크롤 주 함량 (0) | 2020.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