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포스텐, POTASSIUM PHOSPHATE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놀랍지 않겠지만 포스텐은 인 뿐만 아니라 칼륨까지 보충해주는 주사제다!
이를 항상 명심 또 명심 해야한다!
혈청 K수치에 따른 포스텐 사용 권고
K < 4 mEq/L 인가? | |
Y | N |
사용 OK | 다른 보충제를 찾아보자 (사실 없다...고 할 수 있다.) |
1. Sodium phosphate
여담으로 포스텐 이외의 인을 보충할 수 있는 제제에 대한 질문을 받은 적 있다.
일단, lexicomp에 phosphate라고 검색하였을 때 potassium phosphate와 sodium phosphate가 검색되었고, 약학정보원에서 potassium phosphate를 검색하였을 때는 포스텐 이외에는
인 보충제로써의 약제는 보이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KPIC 약효분류에서도 인보충제에 대한 분류는 찾아 볼 수 없었다. ㅠㅠ
sodium phosphate는 놀랍게도 희귀의약품 센터에서 구할 수 있었다. ㅎㅎ
오른쪽 사진은 희귀의약품센터에서 발췌한 사진. Phospha 250 Neutral, 35,000원 / 100정/병
성분명 : dibasic sodium phosphate, monobasic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sodium phosphate
+ 외용제 sodium phosphate도 존재하는데, 그것은 관장제이다.
외국에는 solution, capsule, tablet 등 다양한 것으로 보인다.
(성분은 sodium phosphate + potassium phosphate)
2. Potassium phosphate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포스텐에 대해 찬찬히 뜯어보도록 하자!
1) 포스텐의 성분명/분자량/함량
포스텐, 성분명은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KHPO4), Mw = 136.086 g/mol
포스텐 1 AMP당 136.1 mg/mL이고, 20 mL이니 다음과 같은 함량을 포함한다.
포스텐 1AMP(20 mL) | K 20 mEq |
P 20 mmol |
2) 포스텐의 희석 농도/희석 수액 : 반드시 희석하여 사용!!
NS | 5DW | HS/HD |
O | O | X(Calcium과 침전 가능성 有) TPN 조제시에도 중요한 사항! |
포스텐의 희석 농도/속도는 potassium의 기준에 준하여 사용한다.
결론적으로 N/S(or5DW) 100 mL에 포스텐 1/2 AMP(P=10mmol, K=10mEq)까지는 peripheral 적용 가능 하지만
그 이상의 용량에 대해서는 반드시 central 투여가 추천된다.
* Phosphate supplement를 위해 투여되지만 K 농도와 투여속도가 중요함!
(1) 희석농도
<희석 수액에 따른 K & P final concentration과 선호되는 line>
100 mL N/S or D/W | |
1/2 AMP + 100 mL | > 1/2 AMP + 100 mL |
final concentration ; 100 mEq/L |
final concentration ; >100 mEq/L |
periperal or central (central 선호) |
central |
(2) 투여속도
* 1AMP + 100 mL N/S(or DW)인 상황에서 예시
일반적인 hypophosphatemia 보충을 위한 supplement를 위해
1 AMP(20mL) + 100 mL = 120 mL 이므로
<mixed 수액의 투여 속도에 따른 K & P supplement rate>
60 cc/hr(over 2hr) | 40 cc/hr (over 3hr) | 30 cc/hr(over 4 hr) |
10 mEq/hr | 6.7 mEq/hr | 5 mEq/hr |
periperal or central (central 선호) | periperal or central (central 선호) | periperal or central (central 선호) |
위의 표와 같이 투여될 수 있으며, center 혹은 병동마다 기준을 정하여 setting 할 수 있겠다.
* 현재 회진돌고 있는 병동에서 선호하는 방법은 1AMP + 100mL ☞ 60 cc/hr 임
3) PN하는 성인에서 적절한 P 요구량
: 20-40 mmol (ref. ASPEN)
4) 주의사항
1. Ca supplement
우리 몸에서 Ca & P는 반비례적으로 조절된다(by PTH)
따라서 Ca level의 적절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reference :
1) https://www.accessdata.fda.gov/drugsatfda_docs/label/2019/212121s000lbl.pdf
2) https://consultqd.clevelandclinic.org/phosphorus-binders-the-new-and-the-old/
3) 포스텐 허가사항
'🤹♂️ 카테고리별 약물 > 전해질·수액' 카테고리의 다른 글
KCl 주사와 주스를 왜 같이 먹는 것일까? (2) | 2020.07.12 |
---|---|
Sodium Polystyrene Sulfonate, 고칼륨혈증(hyperkalemia) 치료약 (0) | 2020.07.11 |
hypokalemia, 저칼륨혈증, 케이콘틴 서방정 (0) | 2020.07.05 |
KCl, potassium chloride, 희석 방법, 투여 속도 (5) | 2020.07.05 |
전해질, KCl, NaCl, 포스텐, Calcium gluconate, magnesium sulfate, 라시크롤 주 함량 (0) | 2020.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