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Carvedilol과 신기능

기미개미 2021. 1. 27.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고혈압 환자에게서 carvedilol의 acute vs chronic 투여 ⇛ renal haemodynamics & function

 

투여방법 Acute administration  Chronic administration
투여량 single dose of 50 mg carvedilol 50 mg/day for 4 wk
f/u 투여 2시간 후
(at 0, 15, 30, 45, 60, 75, 90, 120 min)
Day1, 29
SBP & DBP 감소 감소
Heart rate 반사성 빈맥 없었음 감소
Plasma renin activity 변화 X 감소
Plasma aldosterone 변화 X 감소
신혈류(Renal blood flow) 유지 유지
glomerular filtration rate & filtration fraction 감소 유지

 

 

Carvediolol이 가지는 혈관 확장 효과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vasodilator와는 다르게 혈압 감소로 인한 반사성 빈맥이나 plasma renin activity 증가를 동반하지 않는다. 오히려 심박수는 acute administration에서 감소된 경향을 보였다.

 

이는 renin 방출의 증가 & 자율신경 활성도의 증가되는 보상 작용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This suggests that the compensatory mechanisms of enhanced renin release and increased symathetic activity that are usually induced during acute blood pressure reduction by a vasodilator were effectively prevented by the β-blocking properties of the molecule.)

 

chronic administration 시, 다른 BB와 유사하게 HR/plasma renin activity/plasma aldosterone concentration의 감소를 동반했다.

 

비선택성 BB의 장기간 복용의 경우, renal blood flow((RBF)와 GFR 감소가 관찰되었다. 예를 들어 propranolol의 장기 복용의 경우, 10-20%의 RBF와 GFR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반면 labetalol(β-blocker+α-blocker)는 신장 혈역학에 영향이 거의 없었다.(spares renal hemodynamic)

 

 

It is concluded that carvedilol possesses definite antihypertensive and renal vasodilating properties, both acutely and after chronic treatment.

 

 

reference: 

1) Dupont, A. G. "Effects of carvedilol on renal function."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38.2 (1990): S96-S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