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Fluoroquinolone계 항생제의 QT연장 심혈관계 부작용

기미개미 2021. 4. 11.

Fluoroquinolone계 항생제(FQ계)는 넓은 스펙트럼을 가진 항생제로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사용된다. (호흡기계 감염, 비뇨기계 감염, 연조직 감염 등) FQ계 항생제의 부작용 중 드물지만 심각한 부작용인 QT 연장에 대해 알아보자!

 

FQ계의 심장 독성 메커니즘

FQ계 QT연장
Moxifloxacin‐induced dispersion of repolarization and EAD. Effects of moxifloxacin on action potentials recorded from epicardial and endocardial regions and ECG in a rabbit wedge preparation. The numbers denote traces obtained in the absence (0) and presence of 3, 10, 30, and 100 μM moxifloxacin (1–4, respectively). An EAD was apparent in the epicardial action potential by 100 μM moxifloxacin. A corresponding increase in QT interval and change in T wave morphology is observed in ECG, Cardiovascular therapeutics  32.1 (2014): 19-25.

용량 의존적으로 rapidly activating delayed rectifier potassium channel(hERG/IKr channel) 차단 ⇨ 심근세포에서의 칼륨 축적  ⇨ 심근 재분극의 지연

 

QT연장
Trends in Anaesthesia and Critical Care  14 (2017): 3-8.

 

FQ계 항생제의 심독성 Odss ratio

Table1은 분석에 사용된 연구의 특징들이다.

 

결과
결과1

부정맥(Figure 2)

  • FQ계 항생제 사용군에서 부정맥 위험 증가(OR 1.85 [95% CI 1.22-2.81])를 보임으로써 유의한 연관성을 시사
  • 높은 heterogeneity (I²=87%)

심혈관계 사망률(Figure 3)

  • FQ계 항생제 사용으로 인해 심혈관계 사망률의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됨(OR 1.71 [95% CI 1.39-2.09])
  • 낮은 heterogeneity로(p = 0.4; I2 = 0%)
  • 분석에서 유일한 RCT인 Cannon 2005 연구를 제외한 후, Chou 2015, Ray 2012 연구만으로 분석하였을 때(pooled effect) 위험도 OR 1.68 (95% CI 1.26-2.24); I2 = 37%.

심근 경색(Figure 4)

  • FQ계 항생제 사용자에서 MI가 보고된 건수는 적었지만 MI 위험이 증가됨(OR 1.18 [95% CI 1.00–1.38])
  • 높은 heterogeneity(p = 0.01; I2 = 66%)

 

각 성분별 부정맥 Odd ratio

 

QT연장 부작용

Conclusion

  • 연구 결과, FQ계 항생제 사용으로 부정맥 및 심혈관 사망의 위험 증가 사이의 중요한 연관성을 보여줌
  • 특히나 moxifloxacin에서 2-3배 두드러짐
  • 약제 사용 외 심독성이 나타날 만한 위험 인자를 가진 환자에게서 사용할 때는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성을 시사함

Drug Safety (2019) 42:529–538

 

 

 

reference:

1) Gorelik, Einat, et al. "Fluoroquinolones and cardiovascular risk: a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and network meta-analysis." Drug safety 42.4 (2019): 529-538.

2) Rubinstein, Ethan, and John Camm. "Cardiotoxicity of fluoroquinolones." 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49.4 (2002): 593-596.

3) Ataro, Getu. "Anesthesia for children with long QT syndrome: Challenges and solutions from pediatric studies." Trends in Anaesthesia and Critical Care 14 (2017): 3-8.

4) Abo‐Salem, Elsayed, et al. "Antibiotic‐induced cardiac arrhythmias." Cardiovascular therapeutics 32.1 (2014): 19-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