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oroquinolone계 항생제(FQ계)는 넓은 스펙트럼을 가진 항생제로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사용된다. (호흡기계 감염, 비뇨기계 감염, 연조직 감염 등) FQ계 항생제의 부작용 중 드물지만 심각한 부작용인 QT 연장에 대해 알아보자!
FQ계의 심장 독성 메커니즘
용량 의존적으로 rapidly activating delayed rectifier potassium channel(hERG/IKr channel) 차단 ⇨ 심근세포에서의 칼륨 축적 ⇨ 심근 재분극의 지연
FQ계 항생제의 심독성 Odss ratio
Table1은 분석에 사용된 연구의 특징들이다.
부정맥(Figure 2)
- FQ계 항생제 사용군에서 부정맥 위험 증가(OR 1.85 [95% CI 1.22-2.81])를 보임으로써 유의한 연관성을 시사
- 높은 heterogeneity (I²=87%)
심혈관계 사망률(Figure 3)
- FQ계 항생제 사용으로 인해 심혈관계 사망률의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됨(OR 1.71 [95% CI 1.39-2.09])
- 낮은 heterogeneity로(p = 0.4; I2 = 0%)
- 분석에서 유일한 RCT인 Cannon 2005 연구를 제외한 후, Chou 2015, Ray 2012 연구만으로 분석하였을 때(pooled effect) 위험도 OR 1.68 (95% CI 1.26-2.24); I2 = 37%.
심근 경색(Figure 4)
- FQ계 항생제 사용자에서 MI가 보고된 건수는 적었지만 MI 위험이 증가됨(OR 1.18 [95% CI 1.00–1.38])
- 높은 heterogeneity(p = 0.01; I2 = 66%)
각 성분별 부정맥 Odd ratio
Conclusion
- 연구 결과, FQ계 항생제 사용으로 부정맥 및 심혈관 사망의 위험 증가 사이의 중요한 연관성을 보여줌
- 특히나 moxifloxacin에서 2-3배 두드러짐
- 약제 사용 외 심독성이 나타날 만한 위험 인자를 가진 환자에게서 사용할 때는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성을 시사함
reference:
1) Gorelik, Einat, et al. "Fluoroquinolones and cardiovascular risk: a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and network meta-analysis." Drug safety 42.4 (2019): 529-538.
2) Rubinstein, Ethan, and John Camm. "Cardiotoxicity of fluoroquinolones." 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49.4 (2002): 593-596.
3) Ataro, Getu. "Anesthesia for children with long QT syndrome: Challenges and solutions from pediatric studies." Trends in Anaesthesia and Critical Care 14 (2017): 3-8.
4) Abo‐Salem, Elsayed, et al. "Antibiotic‐induced cardiac arrhythmias." Cardiovascular therapeutics 32.1 (2014): 19-25.
'🤹♂️ 카테고리별 약물 > 심혈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U 환자에서의 정맥혈전증(Venous tromboembolism, VTE) 예방, VTE prophylaxis (0) | 2021.05.15 |
---|---|
PO amiodarone vs IV amiodarone: 투여 경로에 따른 약리 작용(기전), 부작용 차이 (0) | 2021.04.11 |
Statin(콜레스테롤 저하제) 약제 투여 시간, 저녁 복용 vs 아침 복용 (1) | 2021.04.06 |
항응고 치료 시 출혈 최소화를 위한 전략 (0) | 2021.04.05 |
Alprostadil, 에글란딘 주 투여 방법 지속 점주? 점적 정주? (0) | 2021.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