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프라민 주 성분
- L-Histidine L-히스티딘 0.250g/100mL
- L-Isoleucine L-이소류신 0.56g/100mL
- L-Leucine L-류신 0.88g/100mL
- L-Lysine Acetate L-리신아세트산염 0.9g/100mL
- L-Methionine L-메티오닌 0.88g/100mL
- L-Phenylalanine L-페닐알라닌 0.88g/100mL
- L-Threonine L-트레오닌 0.4g/100mL
- L-Tryptophan L-트리프토판 0.2g/100mL
- L-Valine L-발린 0.640g/100mL
- L-시스테인염산염수화물(첨가제)
1) histamine(semi-essentail)의 첨가
: 질소와 근육 단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alanine, arginine, glutamate, aspartate는 근육 단백 중으로의 높은 침투를 보이지만, histidine은 극히 낮은 침투율을 보임.
따라서 건강 성인뿐만 아니라 신부전 환자에게도 비필수 아미노산(NEAA)인 histamine의 생합성 능력이 필수 아미노산과 같은 형태를 취한다는 것을 밝혀내 첨가의 필요성을 제시함.
2) cysteine의 첨가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목적으로 배합
왜 신부전 환자에게서 EAA(필수 아미노산) 고함량 영양수액을 고려하는 것일까?
rose et. al study [1] rat에게 충분한 non-protein으로 구성된 영양 보급 제형을 투여한 상태에서 EAA을 질소원으로 투여한 군 vs 카제인을 투여한 대조군으로 나누어 방사선 동위원소를 부착한 N(요소질소)가 carcass protein으로 변환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에서 변환율이 거의 7배에 달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
즉 충분한 에너지 투여 하에서 질소원으로 필수 아미노산을 투여받은 생체는 비필수 아미노산의 생합성에 요소 등 단백대사산물 질소가 재이용된다는 가설을 제시한 것이다.
필수 아미노산 투여에 의한 요소질소의 재이용이라는 현상이 사람에게서도 일어난다는 사실을 입증함과 동시에 신부전 환자에게 필수 아미노산 투여 시 고질소 혈증의 개선과 각종 임상증상의 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함.
Gioveannetti et al. [2]가 시행한 study에서는 요독증 증상을 보이는 CKD 환자 8명을 대상으로 탄수화물 + 지방 + 단백질(1.0-1.5 g/day), total calorie 2000-3000 kcal/day
이때 rose et al이 제시한 최소 필요량의 EAA 투여 ☞ 요독증의 각종 증상 개선, 고질소혈증 개선
giordano giovannetti diet(G-G diet)로 신부전에 대한 새로운 식사요법으로서 높은 평가를 받음
요소질소의 재이용 기전
; 사람의 경우 체내에 요소분해효소인 urease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혈액 중에서 소장 내로 이행된 요소가 장내 세균의 urease에 의해 암모니아로 분해되며, 이것은 다시 혈액 중으로 흡수되어 비필수 아미노산의 생합성에 이용됨.
하지만 항생제를 경구로 투여하여 장내 세균의 활동을 저지하여도 요소질소의 재이용이 억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 설명에 허점이 존재, 아직까지 통일된 설명을 할 수가 없다.(1989년도 논문)
하지만 G-G diet에 의해 비필수 아미노산 투여를 극단적으로 제한하고 충분한 에너지와 함께 필수 아미노산을 투여하는 것이 요소를 질소원으로 하는 비필수 아미노산 생합성을 항진시킬 뿐만 아니라 충분량의 에너지가 protein sparing effect를 보여 catabolism을 억제하고 필수 아미노산이 효과적으로 단백합성에 이용된 결과를 보임!
요독증 증상 : 식욕부진, 구토, 구역 피부소양증 소실 등 개선
<네프라민의 약리작용>
reference :
(1) Rose, W. C. II. The sequence of events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amino acid needs of man. Am. J. Public Health Nation’s Health 58, 2020–2027 (1968).
(2) Low-protein (Giovannetti) diet in chronic renal failure, Ohio State Med J. 1967 Feb;63(2):204-7.
(3) family physician vol 10. no 2, february, 신부전과 영양수액, 김지배
(4) Wikipedia
'👩⚕️Px 영역 > TPN·영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OF lipid, 스모프리피드 20% 주, 투여속도, 투여량 (0) | 2020.07.28 |
---|---|
저단백식이, 신부전, low protein diet, 신부전 식이 (0) | 2020.07.20 |
nitrogen balance, 질소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0) | 2020.07.12 |
Omegaven, omega-3, 간기능 개선에 대한 효과 (0) | 2020.07.10 |
lipid 종류에 따른 clinical outcome, intravenous lipid가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 (0) | 2020.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