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ADH란?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이때 모든 환자에게서 혈장 vasopressin(ADH ; antidiuretic hormone)가 증가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SIAD(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sis) 용어가 더 적합할 것임.
결론적으로!! 신장 내 Na&Cl의 재흡수 촉진 ☞ 수분흡수 증가 ☞ natriuresis발생 ☞ serum Na 감소
㉠ 원인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ADH가 과다 배출 → kidney에서 수분이 정상치 이상으로 재흡수
→ volume expansion 및 저나트륨혈증 발생 (특히 이 포스팅에서는 약물에 의한 SIADH를 중점적으로 다룰 것임)
㉠-1 drug induced SIADH mechanism :
- 바소프레신 분비 증가
- 신장에서 바소프레신에 대한 작용 강화
- reset osmostat(시상하부의 삼투자극 역치변화)
결론 : unknown, 명확하지 않음
㉠-2 drug induced SIADH example[2] : 특히 ICU에서 자주 사용하는 약물 Bold체
- 이뇨제 : hydrochlorothiazide
- antineoplastic (ex. cyclophosphamide, etoposide, rituximab 등)
- 항뇌전증약물 : carbamazepine, oxcarbazepine, valproic acid
- 진통제 : tramadol, oxycodone, pregabalin
- 항정신병약제 : haloperidol, lorazepam, quetiapine, risperidone
- 항우울증약제 : SSRI & SNRI(citalopram, escitalopram), TCA(amitriptyline)
㉡ 특징
- 수분 과다 재흡수지만 부종 X
: 체내에 수분이 과다하게 축적된다는 병태생리에 의해 부종(edema)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보이지 않음.
이는 natriuresis라는 생리적인 현상으로 인해, 체내에 나트륨이 평소보다 더 많이 배출되기 때문
혈장이 팽창하게 되면서 RAAS system의 억제 및 심방 나트륨 이뇨 펩티드(ANP)가 생산되어 나트륨의 배출을 돕고, 신장의 proximal tubule에서 나트륨의 재흡수가 저하되게 되어 발생하는 생리적 현상
㉢ 진단
: 저나트륨혈증(≤ 134 mEq/L)을 일으킬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배제한 후, SIADH를 진단[1],[2]
- 기본 검사 -
(1) urine osmolality (≥ 100 mOsm/kg)*, urine Na (≥30mEq/L)**
* 일반적으로 hyponatremia에서 ADH의 작용이 저하되고, urine이 최대한 희석됨(50-100 mOsm/kg) 하지만 SIADH의 경우 urine은 농축되어 있음(≥ 100 mOsm/kg), 하지만 serum Osmolality보다는 크지 않음)
** 저Na에도 불구하고 urine으로의 배설이 지속됨, 하지만 Na restriction 환자 or volume depletion(extrarenal losses) 환자의 경우 urine Na low할 수 있음.
(2) plasma osmolality (270 mOsm/kg)***
*** serum hypoosmolality 예상됨.
(3) 요산(uric acid)의 수치 저하
(4) BUN, SCr 수치 저하(ADH로 인해 과다하게 흡수된 수분에 의해 희석효과)
_ 하지만 여러 임상연구를 통해 serum K/Ca/albumin 농도는 serum Na에 비해 감소되지 않는 것을 미루어보아
희석 효과보다는 나트륨 자체의 소실에 의한 것이 더 클 것으로 생각됨
(5) 갑상선/부신 및 다른 장기들의 정상적인 기능
(6) hypervolemia 배제
😀 수분 과다 → 혈장 희석 효과 : 소변은 농축되어있고(하지만 혈청 삼투압보다는 낮음) 소변 나트륨 함량 증가됨. 혈장 삼투압은 낮음
㉣ 치료[1]
: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원인을 먼저 치료.
☞ 그 후 water restriction or 좀 더 빠른 결과를 위해 이뇨제 & N/S
※ 이때 Na교정 속도는 0.5 mEq/L/hr 이하로 (central pontine myelinolysis 예방)
reference :
(1) 위키피디아
(2) medication-induced SIADH :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according to medication class, Br J clin pharmacol. 2017 Aug;83(8): 1801-1807
(3) 부적정항이뇨증후군, 김근호(한양대학교 의학대학 내과학교실)
(4) How does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secretion (SIADH) affect urine osmolality?_medscape
(5) Stockand, James D. "Vasopressin regulation of renal sodium excretion." Kidney international 78.9 (2010): 849-856.
'🤹♂️ 카테고리별 약물 > 전해질·수액'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Cl, sodium chloride, 권장 섭취량, 최대 희석 농도, 투여 속도 (0) | 2020.07.23 |
---|---|
phosphate homeostasis, 인의 항상성, 신장 배설, renal elimination (0) | 2020.07.22 |
KCl 주사와 주스를 왜 같이 먹는 것일까? (2) | 2020.07.12 |
Sodium Polystyrene Sulfonate, 고칼륨혈증(hyperkalemia) 치료약 (0) | 2020.07.11 |
저인산혈증, hypophosphatemia, Potassium phosphate(포스텐 주), Sodium phosphate (1) | 2020.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