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박트 과립
성분 | 함량 |
L-isoleucine | 952 mg/1포 |
L-leucine | 1904 mg/1포 |
L-valine | 1144 mg/1포 |
* 비급여 약제
효능 효과 - 식사 섭취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저알부민 혈증을 나타내는 비대상성 간경변 환자의 저알부민 혈증의 개선 |
용법 용량 - 성인 1 pk tid |
투여 금기 (간경변이 고도로 진행되어 본제의 효과가 기대될 수 없을 때) - 간성뇌증의 혼수 Ⅲ 이상 - total Bilirubin 3 mg/dL 이상 |
주의 사항 - 2개월 이상 투여해도 저알부민혈증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다른 치료로 바꾸는 등의 적절한 처치를 행할 것 |
BCAA의 생리효과
간경변은 휴식 중에도 에너지 소비량이 많고 간에서 에너지원인 당의 사용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간은 항상 배고파한다. 더욱이 만성 간부전이 진행될수록 BCAA▼/AAA▲(aromatic amino acid)의 비율이 감소된다. BCAA는 근육에서 대사되고 암모니아를 해독하는 동시에 쉽게 간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감소된 BCAA는 serum과 brain의 암모니아 수치를 증가시켜 hepatic encephalopathy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BCAA를 더 많이 공급하고 AAA를 덜 공급하는 것은 간의 에너지 부족현상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외부 공급되는 단백질은 단백질 분해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단백질 합성을 가속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린, 류신, 이소류신과 같은 BCAA는 패혈증, 암, 외상과 같은 단백 분해가 가속화 되는 상태의 질환 등에서 유용하다.
초기 연구는 만성 간질환 환자에게서의 BCAA 공급은 영양실조(malnutrition)과 뇌병증(encephalopathy)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많은 연구에서 hepatic encephalopathy에 대한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하지만 상충되는 데이터도 존재한다.
두 개의 대규모 RCT를 통해 장기 경구 BCAA 보충제가 간경변증 임상 결과를 개선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1],[2] 이를 통해 European Society for Clinical Nutrition and Metabolism의 현행 지침은 enteral nutrition 중이라면 고농축 BCAA 제형을 복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ref :
[1] Marchesini G, Bianchi G, Merli M, et al. Nutritional supplementation with branched-chain amino acids in advanced cirrhosis: a double-blind, randomized trial. Gastroenterology 2003;124:1792–801.
[2]Muto Y, Sato S, Watanabe A, et al. Effects of oral branched-chain amino acid granules on event-free survival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05;3:705–13.
경구 BCAA의 임상적 효과
장기간 경구 BCAA 보충제의 간질환에 대한 잠재적 편익에 대한 증거는 제한적이다.
Child–Pugh score 8-10인 간경변 환자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BCAA 그룹(N = 166명)과 대조군(N = 141명) 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때 BCAA 그룹은 3개의 하위 그룹을 나누었다.
subgroup(daily intake) | ||
4.15 g | 8.3 g | 12.45 g |
MELD(he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 score, Child-Pugh score, 간경변 합병증의 발생율, 2년간의 생존율을 outcome으로 잡았다.
After matching the propensity scores, we analyzed patients in the BCAA-12.45 g group (12.45 g of BCAAs daily, n = 41) and matched control group (n = 41)
BCAA 12.45 g 복용군에서 matched control군과 비교하여 MELD socre (p=.004), 빌리루빈 수치 (p = .014), Child-Pugh score (P = .033)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간경변 관련 합병증 발생율 (p=.973)과 간암으로의 발전은 각각 2 건으로 두 군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장기간 경구 BCAA 보충은 간경변이 진행된 환자에게 유익한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연구의 환자 수가 적은 점 등의 한계를 극복할 large-scale prospective study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reference :
(1) Park, Jung Gil, et al. "Effects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BCAAs) on the progression of advanced liver disease: a Korean nationwide, multicenter, retrospective, observational, cohort study." Medicine 96.24 (2017).
'🤹♂️ 카테고리별 약물 > 간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부전 환자 : pantoprazole, esomeprazole, 간장애 용량 조절 (0) | 2021.02.23 |
---|---|
Lactulose 경구제[전문의약품](품명:듀파락시럽 등)[일반의약품](품명:듀파락-이지시럽 등) 보험급여 (0) | 2021.01.22 |
간 효소 변화, Liver enzyme alteration: a guide for clinicians (0) | 2021.01.13 |
간기능 검사 : AST, ALT, GGT(ɣ-GGT), ALP (0) | 2021.01.03 |
약물 유발 간손상, RUCAM, 간손상 정량화 도구 (0) | 2020.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