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
약물군에 따라 SIADH의 특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 :
2007-2013년 SIADH로 진단된 환자를 포함하여 단일 센터의 후향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두 명의 의사가 모든 환자의 의료 파일에서 사전 결정된 관련 임상 데이터를 검토하였다.
결과 :
198명의 환자 중 대부분의 환자[146명(73.7%)]는 약물 관련 SIADH로 진단되었고 나머지[152명(26.3%)]는 다른 원인에 의한 SIADH로 진단되었다. Naranjo 알고리즘에서 두 군의 차이가 잘 구별되었다.(p <0.001) 약물 관련 SIADH로 진단된 환자의 82.3%가 5가지 약물 등급(항우울제, 항경련제, 항정신병 약제, 항암제, 진통제)이 관련되었으며, 특히나 SSRI와 carbamazepine이 가장 흔한 원인 약물이었다. 약물 등급에 따라 SIADH의 특성이나 심각도에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reference :
(1) Shepshelovich, Daniel, et al. "Medication‐induced SIADH: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according to medication clas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83.8 (2017): 1801-1807.
'🤹♂️ 카테고리별 약물 > 전해질·수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해질 요구량, 체액 별 전해질 함량 차이 (0) | 2020.12.13 |
---|---|
우리 몸의 수분 함량, 수분 비율, fluid requirement (0) | 2020.12.13 |
저나트륨혈증, hyponatremia, 2세대 항정신병약물, atypical antipsychotic (0) | 2020.11.09 |
Osmolarity vs Osmolality (0) | 2020.09.06 |
SIADH induced drug 종류, SIADH vs cerebral salt wasting (0) | 2020.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