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나트륨혈증 시 처치 전 고려 사항
- duration of hyponatremia
- severity of hyponatremia
- presence and severity of symptom
- presence of preexisting intracranial pathology (ex. TBI, intracranial surgeru, hemorrhage 등)
Duration of hyponatremia
acute | 발병 48시간 이내 주로 parenteral fluid administration으로 발생 더 aggresive therapy가 필요로 하고 합병증 위험이 더 큼 |
chronic | 발병 48시간 초과 혹은 발병 시점이 명확하지 않을 때 serum Na level이 더 낮고 overaggressive therapy로 인한 합병증 위험이 더 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to avoid overcorrection) 세심한 모니터링이 필요 |
severity of hyponatremia
normal serum Na range 135-145 mEq/L
severity | serum Na (mEq/L) | 특징 |
severe | <120 | 합병증도 제일 흔하고 over-correction에 의한 합병증도 제일 흔함 |
moderate | 120-129 | - |
mild | 130-134 | - |
severity of symptom
severe | seizure, coma, respiratory arrest 상대적으로 만성 저나트륨혈증 환자에서는 seizure와 같은 중증/신경계 증상이 드믊 상대적으로 급성 저나트륨혈증 환자에게 흔함 |
mild to moderate | headache, fatigue, nausea, vomitting, dizziness, confusion, muscle cramp <120 mEq/L 이하인 만성 저나트륨혈증 환자에게 흔하게 나타남 이는 뇌가 낮은 Na 수치에 적응을 하여 부종은 최소화되었지만 세포 자체의 조성이 달라짐에 따라 증상이 발현됨 |
asymptomatic | 대부분의 환자들이 무증상임 흔히 만성/moderate severity(120-129 mEq/L) 저나트룸혈증 환자임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함(ex oral salt, furosemide, vasopressin antagonist) |
저나트륨혈증 시 초치료(initial treatment)
목적
- 더 이상의 serum Na 수치의 감소를 예방
- brain herniation의 위험을 막기 위해 intracranial pressure 감소
- 저나트륨혈증의 증상 완화
- osmotic demyelination syndrome(ODS) 예방을 위해 overcorrection 방지
ODS는 rare하지만 irreversible 함!! 하지만 최근에는 reverse 할 수 있다는 study들이 나오고 있긴 함
Recently, it has been shown that ODS can be reversed by relowering sodium and giving desmopressin.
일반적인 교정 속도 : 4-6 mEq/L/day
최대 교정 속도 : 8 mEq/L/day[1] (12 mEq/L/day [2]) 😚대략 10 mEq/L/day로 기억하자!
* 추가 : ODS risk의 정도에 따라 maximum rate가 달라짐
ex low risk ; 10-12 mEq/L/day vs high riak ; 8 mEq/L/day
초치료 효과 예상 공식
1) Adrogué-Madias formula; Increase in SNa = (Infusate [Na] – SNa) ÷ (TBW + 1)
Adrogué-Madias formula cannot be used as the sole guide to therapy; monitoring of the serum sodium concentration is essential in all cases.
2) Sodium deficit = Total body water (TBW) × (desired SNa – actual SNa)
3) In the current guidelines these formulae are not used. Instead 1mL/kg of 3% NaCl is estimated to raise the serum Na by 1 mEq/L.
ex) 120 mL(3%) > 2 mEq/L 상승 기대
ACUTE | CHRONIC | |
특징 | acute hypoNa & serum Na < 130 mEq/L |
chronic hypoNA & serum Na < 130 mEq/L |
asymp tomatic |
3% saline 50 mL over 10min or 3% saline 0.5-2 mL/kg/hr(mild to moerate) |
asymptomatic or mild to moderate symptom & Na 120-129 : 일반적인 조취만 취함 ex) hyponatremia 유발 약제 중단 물 섭취 제한(urine to serum elecrolyte ration<0.5) salt tablet ± loop diuretic (urine to serum elecrolyte ratio>1; 물 섭취 제한만으로 부족) |
asymptomatic or mild to moderate symptom & Na <120 : 3% saline 0.25 mL/kg/hr |
||
severe | 3% saline 100 mL over 10min → 증상 지속 2회 반복 (total dose 300 mL) | severe or intracranial pathology 有 3% saline 100 mL bolus → 증상 지속 2회 반복 (total dose 300 mL/30 min) |
저나트륨혈증 시 초치료 이후(subsequent treatment)
- 나트륨 교정 속도 모니터링
- hypertonic saline : dialy correction goal of 4-6 mEq/L 만족 시 중단 고려
- 수분 섭취 제한 : 부종 상태의 중증 혹은 증상 저나트륨혈증, SIADH, 신부전 등에서 고려할 수 있는 치료 ⇒ 하지만 고농축 소변(500 mOsmL/kg 이상)이 관찰될 때 수분 섭취 제한만으로는 저나트륨혈증 교정 어려움
- 이뇨제 : urine to serum electrolyte > 1인 SIADH 환자군에서 이점이 있음, furosemide가 loop of henle에서 sodium chloride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sodium loss < water loss를 유발 (urine을 half saline처럼)
- demeclocycline [국내 X] : 신성 요붕증 치료제 사용
- DDAVP [미니린] : 중추성 요붕증
- vaptan : euvolemic hyponatreamia ex SIADH, hypervolemic hyponatremia ex CHF, cirrhosis ; hypovolemic일 때 추천되지 않음.
- adrenal insufficiency(ADH 억제) : 무작위 혹은 새벽 cortisol 수치가 > 18 mcg/dL 일 때 r/o 가능, 미만일 경우 cosyntropin stimulation test(ACTH test) 시행, 치료는 적절한 glucocorticoid 대체 요법.
rapid ACTH stimulation test
Tetracosactrin[시낙텐 주] : 약제 투여 전 basal cortisol/ACTH/aldosterone 측정, 부신피질 기능부전증의 진단목적으로 1 AMP(250 mcg/mL) 1회 IM or IV(IV만 5-10 mL N/S) 이후 30 min, 60 min 경과 후 cortisol/aldosterone 농도 측정
cortisol > 18 mcg/dL 일 때 정상, 그렇지 않으면 부신피질 기능 부전
- 이차 부신 기능 부전 : aldosterone 기저치보다 5 ng/dL 이상 상승 혹은 인슐린 유발 저혈당 검사 시행
- 일차 부신 기능 부전 : aldosterone 증가 거의 없음
- hypothyroidism : 심각한 갑상선 저하증(myxedema나 TSH > 50 mIU/mL)이 아니라면 hypoNa의 원인을 다른 곳에서 찾아야 함.
reference:
(1) uptodate
(2) Braun, Michael M., Craig Barstow, and Natasha Pyzocha.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odium disorders: hyponatremia and hypernatremia." American Family physician 91.5 (2015): 299-307.
(3) Sahay, Manisha, and Rakesh Sahay. "Hyponatremia: a practical approach." Indian journal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18.6 (2014): 760.
(4) 약학정보원
(5) Cha, Seon-Ah, and Sung-Dae Moon. "부신 질환의 진단을 위한 혈액 검사." 대한내과학회지 93.6 (2018).
'🤹♂️ 카테고리별 약물 > 전해질·수액'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gnesium, Mg, 저마그네슘혈증, 고마그네슘혈증 (0) | 2020.12.14 |
---|---|
Calcium, hypocalcemia, hypercalcemia, 저칼슘혈증, 고칼슘혈증 (0) | 2020.12.14 |
전해질 요구량, 체액 별 전해질 함량 차이 (0) | 2020.12.13 |
우리 몸의 수분 함량, 수분 비율, fluid requirement (0) | 2020.12.13 |
Medication-induced SIADH (0) | 2020.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