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 영역82 저단백식이, 신부전, low protein diet, 신부전 식이 저번 시간에 low pretein diet에 기초한 네프라민에 대해 알아보았다. summary : 다른 영양소로 충분히 칼로리를 채워준 뒤, 단백질 부분에서 essential amino acid 위주의 low protein을 섭취 시, 요독증 증상 감소 등의 임상적 개선을 보였다. 해당 논문은 아주 오래된 것이라, (1980-1990년대) 최신의 논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CKD stage마다 low protein diet(LPD)의 이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인도의 study다. 요약 The role of LPD in retarding progression of CKD is well established in animal experimental studies. Even in human subjects,.. 👩⚕️Px 영역/TPN·영양 2020. 7. 20. Vancomycin TDM, software program, Bayesian method 😁오늘 시간에는 "그래, Vancomycin guideline 2020 update로 target parameter가 AUC로 바뀌었는데 그래서 어떻게 AUC에 대해 구할 것인데?!"에 대한 고찰을 해보자! 이번 논문에서 소개하고 있는 program은 총 5가지이다. Adult and Pediatric Kinetics [APK] Best-Dose DoseMe InsightRx Precise PK plus) 1차 속도상수 계산식으로 구한 AUC를 포함하였다. **TMI : 이 중 Bestdose, DoseMe, insightRx에 연락을 해보았지만 정식 버전을 받은 것 없으며 현재는 Bestdose 데모 버전을 사용 중에 있다. 추가로 Bestdose는 더 이상 프로그램 update를 하지 않는다고 한다... 👩⚕️Px 영역/TDM 2020. 7. 17. 네프라민, 신부전 환자에서의 고필수아미노산 함유 아미노산 제제 네프라민 주 성분 L-Histidine L-히스티딘 0.250g/100mL L-Isoleucine L-이소류신 0.56g/100mL L-Leucine L-류신 0.88g/100mL L-Lysine Acetate L-리신아세트산염 0.9g/100mL L-Methionine L-메티오닌 0.88g/100mL L-Phenylalanine L-페닐알라닌 0.88g/100mL L-Threonine L-트레오닌 0.4g/100mL L-Tryptophan L-트리프토판 0.2g/100mL L-Valine L-발린 0.640g/100mL L-시스테인염산염수화물(첨가제) 1) histamine(semi-essentail)의 첨가 : 질소와 근육 단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alanine, arginine, gl.. 👩⚕️Px 영역/TPN·영양 2020. 7. 14. nitrogen balance, 질소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itrogen balance ★ 질소평형상태(nitrogen equilibrium) - 질소 섭취량 = 질소 배설량 - 체내의 질소 필요량만큼 알맞게 섭취했음을 의미 ex) 건강한 사람의 적절한 protein intake ★ 양의 질소균형(positive nitrogen balance) - 질소 섭취량 > 질소 배설량 - 체내 단백질 합성을 함! ex) 성장 상태 ★ 음의 질소균형(negative nitrogen balance) - 질소 섭취량 < 질소 배설량 - 체내 단백질을 분해 됨! ex) infection, severe trauma, wound healing, 필수아미노산(essential amino acid; EAA) 부족 👩⚕️Px 영역/TPN·영양 2020. 7. 12. 반코마이신 TDM,Vancomycin TDM, trough level, sampling time 반코마이신 TDM을 위해 꼭 필요한 sampling, trough 시각에 채혈이 반드시 필요한가? 오늘은 반코마이신 채혈 시간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겠다! 2009년 반코마이신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recommended sampling time = trough level!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revised VCM guideline이 나온 현시점에서 적절한 첫 f/u 시기와 sampling time을 알아보도록 하자! ◈ TDM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case ◈ Q(1) trough에 채혈한 것이 용혈이 되었다고 한다. 아침 투약은 이미 되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Q(2) 분명 간호사분께서 기록해주신 채혈 시각은 trough 시각, 하지만 농도가 너무 이상하게 높다. 정말 trough인가?.. 👩⚕️Px 영역/TDM 2020. 7. 12. Omegaven, omega-3, 간기능 개선에 대한 효과 미국에서, PN받는 환자에게서 지질 측면의 영양소를 채워주기 위해 soybean oil(LCT)가 함유된 lipid 제형이 선택된다. 지질은 같은 g당 고함량 칼로리를 채워주고 필수 지방산 섭취를 위해 필수적이다. 하지만 지질이 PN associated liver disease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특히 소아에게서) Phytosterols(soybean oils에 함유된)이 담즙 배설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omega-3 fatty acid가 함유된 제품(Omegaven™)이 실제 steatotic liver injury에 유용할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이 study에서의 가정은 (1) inhibition of de novo lipogenesis (2) reduction of .. 👩⚕️Px 영역/TPN·영양 2020. 7. 10. lipid 종류에 따른 clinical outcome, intravenous lipid가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 [지난 포스팅 : https://gimi-drug.tistory.com/25] intravenous lipid의 역사에 대해 짚고 가도록 하자. 우리가 이름만 들으면 아는 SMOF lipid가 있기 전의 lipid 제형은 오직 LCT로만 이루어진 제형이다! ** LCT란? long-chained triacylglycerols의 약자로 soybean oil이라고 알고 있으면 된다. 이 제형은 stable한 환자에게는 benefit이 있었지만 unstable(sepsis 등으로 장기간 치료가 예상되는)한 환자에게는 오히려 유해하였다. 따라서 less proinflammatory & immunosuppressive을 개발하게 되었다. 그렇게 탄생한 것이 여러 지질의 복합제인 SMOF lipid 등이다. MCT.. 👩⚕️Px 영역/TPN·영양 2020. 7. 10. total bilirubin, direct bilirubin, 빌리루빈, 외상 환자 빌리루빈이란? lipid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앞서, 빌리루빈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빌리루빈이란 무엇인가? 빌리루빈은 일종의 Heme의 대사산물이다. 간에서 대사 된 후의 빌리루빈을 direct bilirubin(DB), 대사 되기 전의 빌리루빈을 indirect bilirubin이라 하며 이 둘을 합친 것이 total bilirubin(TB)이다. 임상에서 기본 LFT 세팅은 T.B만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작가의 병원에는) 빌리루빈의 수치가 높아진 것을 jaundice(황달)이라고 한다. - direct bilirubin : 간에서 conjugated된 빌리루빈 = conjugated bilirubin - indirect bilirubin : 대사 되기 전 빌리루빈 - total bilirubin.. 👩⚕️Px 영역/TPN·영양 2020. 7. 6. 글라민, GLAMIN, 영양 수액, glutamine 함량, ESPEN 글라민, GLAMIN, 영양 수액 지난번 글에서 (https://gimi-drug.tistory.com/19) 영양수액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와 그 때의 보험급여 여부에 대해 알아보았다. 위의 표 중 글라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calorie는 단백질의 경우 X 4 kcal를 해주면 된다. 500 mL짜리가 268 kcal, 250 mL짜리가 134 kcal 정도 된다. 글라민의 경우 위의 표에 나와있는 다른 단백질 영양 수액 함유되어 있지 않은 Glutamine 함유 (glycyl-L-glutamine) 2019 ESPEN에서의 glutamine 언급(enteral vs parenteral) enteral Glutamine 1) In patients with burns > 20% body su.. 👩⚕️Px 영역/TPN·영양 2020. 7. 4. 영양수액, partial PN, SMOF lipid, Glamin 그 외 hepatamine, nephramine, 급여기준 영양수액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스모프리피트, 글라민, 헤파타민, 네프라민 등등! 이러한 영양수액, 즉 partial PN을 처방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중환자실에서 TPN or EN 시작 전 영양 보충을 위해서 처방할 수도 있고, TPN하다가 EN으로 넘어갈 때 tappering 과정에서 partial PN을 처방하는 경우도 있다. tappering 과정에서 보험여부가 궁금할 것이다. 작가의 병원 내 보험심사관리팀에 문의한 결과, TPN의 경우 짧은 기간(보통 2-3일(?))동안은 급여가 된다. partial PN의 경우 ICU 급여 인정 기간동안에는 급여로 인정되지만 그 이상에서는 급여 불가! 다음은 심평원의 고시내용을 살펴보도록 하자! 글라민 보험 급여 기준 스모프리피드 보험 급여 기준 *열량계산서.. 👩⚕️Px 영역/TPN·영양 2020. 7. 1. 이전 1 ···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