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3 Teicoplanin Loading dose(부하용량) 투여 방법 Teicoplanin 기전: glycopeptide계 항생제로 glycopeptide polymerization을 억제하여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 특징: 미국(FDA)에서 허가되지 않음 반감기가 100-170시간 정도로 빠른 steady state 도달을 위해 부하용량(Loading dose; LD)가 필요함 How to administration? [1] Journal of the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119.6 (2020): 1086-1092. [2] Basic & clinical pharmacology & toxicology 126.3 (2020): 277-288. [3]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35.46 (2020). 결론 환.. 🤹♂️ 카테고리별 약물/감염 2021. 8. 3. CRRT 중의 VTE prophylaxis(예방적 용량): LMWH(enoxaparin, dalteparin) vs. heparin 😁 LMWH의 renal dosing 부분 (Lexicom) 😁 Ummhealth의 DVT 예방 프로토콜 😁 Comparison of published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coagulopathy and thrombosis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COVID 19: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nd future investigations. The CDC, ACCP, and ACF do not recommend therapeutic anticoagulation except in cases where there is a thromboembolic event or a high suspicion for a thro..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8. 2. TPN 시작 시기(2) ESPEN : timing of initiating TPN 2019 ESPEN 1) Who should be considered for medical nutrition therapy? Medical nutrition therapy shall be considered for all patients staying in the ICU, mainly for more than 48 h. 중증 환자의 기아 기간(duration of starvation)이 임상 결과에 대한 영향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연구는 윤리적인 문제로 없다. 이전 권고사항대로 초기 영양 시작과 초기 EN 시작의 금기의 cut off는 48시간이다. (acute phase/early period에서의 영양 재개는 삼가한다.) 한 연구에서 영양 실조가 상태가 아닌 ICU 환자에서 PN을 지연에 대한 가능한 .. 👩⚕️Px 영역/TPN·영양 2021. 7. 25. TPN 시작 시기(1) ASPEN : timing of initiating TPN, partial PN(supplement PN) 도입 여부 2016 ASPEN ☝ When to Use PN 1) When should PN be initiated in the adult critically ill patient at low nutrition risk? We suggest that, in the patient at low nutrition risk (eg, NRS 2002 ≤3 or NUTRIC score ≤5), exclusive PN be withheld over the first 7 days following ICU admission if the patient cannot maintain volitional intake and if early EN is not feasible. 2) When should PN begin in the crit.. 👩⚕️Px 영역/TPN·영양 2021. 7. 25. Opioid 특이 부작용: bile duct dilation, 담도 경련, 담낭 기능 부전, 급성 췌장염 [1] Is Opioid Addiction a Sufficient Predicting Factor for Common Bile Duct Dilatation? A Sonographic Study In the absence of hepatobiliary symptoms, opioid consumption has been shown to cause dilat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CBD).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with sonography CBD diameters in opioid addicts as compared with non-addicts. 대조군의 평균 CBD 직경은 4.13 ± 1.14 mm이었으며 마약..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7. 24. Refeeding syndrome 관리: 영양재개증후군 Refeeding syndrome이란? 심각한 영양실조 또는 중증의 질병으로 인해 신진대사에 스트레스를 받는 환자들이 기아 상태(starvation)에서 영양 초기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징후이다. 혈당 증가, 전해질 불균형(특히 저인산혈증,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비타민 고갈(특히 비타민 B1; thiamine). 염분 저류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서 장기 부전, 부정맥 등을 유발할 수 있다. The awareness of the medical and nursing staff is often too low in clinical practice, leading to under-diagnosis of this complication, which often has an unspecific.. 👩⚕️Px 영역/TPN·영양 2021. 7. 18. 쿠스토디올 액: 개심술 수액, open heart, 심정지액 쿠스토디올 액 개심술이 필요한 수술 시, 심정지를 통해 움직임이 없는 수술 시야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심장 기능의 보존이 필요하다. 심정지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근의 허혈성 저산소증과 이로 인한 심근의 세포 손상 및 괴사는 수술 후 심장 기능 회복과 예후에 영향을 준다. 개심술의 시초는 얼음을 이용한 국소 저온법이었다. 이후 고농도 칼륨을 이용한 심정지 유도 연구가 보고된 후 심근 보호를 위해 다양한 성분을 가진 심정지액들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혈액을 포함한 냉혈 심정지액이나 상온의 혈액 심정지액 등도 개발되었다. 1975년 Histidine-tryptophan-ketoglytarate 용액(이하 HTK 용액)이 유럽을 중심으로 장기 이식 시 관류 및 보존액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세..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7. 17. 주사 간장제(hepatotonics): l-Ornithine l-aspartate (LOLA), 헬포빈 주, 유니 인퓨전 주 등 l-Ornithine l-Aspartate (LOLA) 오르니틴(ornithine)과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의 염이며 암모니아의 해독 대사 경로에 핵심적인 기질을 제공한다. Ornithine은 carbamoyl phosphate synthetase I의 활성을 자극하고 aspartate은 N(질소) 공여자로써 arginase의 활성을 자극한다. 두 효소모두 요소의 합성을 위해 필요하다. LOLA의 투여로 Krebs cycle의 활성을 증가시켜 혈장 암모니아 농도를 감소시키고 혈장 요소 농도를 증가시킨다. 간 기능 저하로 간에서 대사할 수 없는 암모니아는 근육에서 글루타민(glutamine)으로 전환된다. 즉, 글루타민은 암모니아의 무독성 운반체 역할을 한다. LOLA 투여 후 근육의 gl.. 🤹♂️ 카테고리별 약물/간담도 2021. 7. 17. 칼슘채널 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 CCB) 약제 별 차이: L type CCB vs T type CCB 국내에는 아주 많은 칼슘 채널 차단제(이하 CCB) 종류가 있다. 화학적 구조에 따라 non-dihydropyridine(DHP)계와 DHP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non-DHP계의 경우 고혈압이 아닌 특별한 상황에서만 사용하므로 이번 포스팅에선 논외로 한다. 약학정보원의 KPIC 약효 분류에 따라 국내 CCB의 종류가 소개되어 있다. 하지만 임상에서 주로 접하는 CCB는 amlodpine(노바스크 정)이다. 각 CCB 마다 특징과 좀 더 선호되는 환자군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특히 신장 내 칼슘 채널 역할) 칼슘채널차단제는 차단하는 칼슘채널은 다양한 하위 그룹을 가진다. L-type calcium channel T-type calcium channel N-type calcium channel 기타 ..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7. 13. Benzodiazepine withdrawal syndrome: 벤조다이아제핀 금단 현상 약물 치료 Benzodiazepines (BZDs) 의학적으로 유용하지만 잠재적으로 위험 BZD 남용, 내성, 의존성 및 장/단기 부작용의 증가은 BZD의 중단을 의학적으로 관리하는 어려운 측면에 대한 전세계적인 문제임 특히 갑작스러운 중단으로 BZD withdrawal syndrome이 발생할 수 있음 BZD는 GABA-A receptor의 agonist로 작용함 GABA는 신경세포의 흥분성을 감소시키는 억제신경전달물질임 BZD의 사용은 신체적인 의존성과 내성을 유발할 수 있음 특히 1-6개월 간의 장기 사용으로 인한 갑작스러운 약제의 중단은 생명을 위협하는 발작, 섬망 및 사망을 유발할 수 있음 BZD 중단을 위한 관리로 여러 약제들이 제안되고 있음 anticonvulsants, antidepressants, ..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7. 11. 금단 현상: 외상 환자에서의 opioid/benzodiazepine withdrawal syndrom 중환자실에 내원하는 동안 기계 환기를 적용받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opioid and/or 진정제(ex. benzodiazepine, propofol, dexmedetomidine)에 노출된다. 최근 지침을 통해 light sedation 등을 지향하며 진정제 노출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지만 실제 임상에서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나 opioid나 BZD의 고선량/장기간 노출은 약물 내성(drug tolerance; 동일한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약물 복용량의 증가가 요구됨)과 약물 신체적 의존성(drug physical dependence; 급작스럽거나 성급한 약물 중단에 의해 불쾌한 신체적 증상 유발)을 야기할 수 있다. 일부 OWS 평가 도구는 소아 환자에게 제한적이며 해당 연구도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 🤹♂️ 카테고리별 약물/진통·진정 2021. 7. 8. 비타민 B1, thiamine의 임상적 사용: 급성 심부전, 각기병, 베르니케 증후군, 패혈증 1. Marginal thiamine status (to avoid precipitating heart failure) 심장은 주로 포도당과 지방산 ß 산화를 통해 에너지를 얻음(정상일 때는 주로 지방산 이용) ⇨ 에너지원으로 지방산 대신 포도당을 이용하게 되면 산소 분자 당 생성되는 ATP의 양이 증가됨 수축기 및 확장기 심부전 모두 질병의 진행 중 ATP 생성이 감소됨이 관측되었음(급성 심부전 시 포도당 대사에 의존도 높아짐) ⇨ 급성 심부전의 병태 생리를 통한 치료 방안으로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포도당 대사 자극 or 지방산 대사 억제 심부전 시 이뇨제 등의 사용으로 티아민 결핍이 생길 수 있음(thiamine은 pyruvate dehydrogenase의 필수 cofactor임) ⇨ .. 👩⚕️Px 영역/TPN·영양 2021. 7. 5.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