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감염83 요로감염 (3): 요로 폐쇄 관련 복잡성 신우신염(Obstructive pyelonephritis) 3. 요로 폐쇄 관련 복잡성 신우신염(Obstructive pyelonephritis) 1) 배경 및 국내 역학 요 배출에 장애가 발생하면 세균이 요 내로 유입되어 결석 등의 이물질과 만나 표면에 생물막(biofilm)이 형성되어 세균뇨가 지속됨 요로 폐쇄의 기간에 따라 요 농축력의 호전정도가 달라짐, 4주간 폐색 지속 시 요 농축력이 영구적으로 소실 될 수 있음 요로 폐쇄 유발 인자: 전립성 비대증, 신경인성 방광, 요로 결석, 전립선암, 복강 내 종양 등 2) 진단 상부 요로 폐쇄 진단: 단순복부 촬영술(KUB±IVP; 경정맥요로조영술), 초음파, 컴퓨터단층촬영술 등 하부 요로 폐쇄 진단: 방광의 요저류가 동반 기종성 신우신염(emphysematous pyelonephritis) 진단: 컴퓨터단층촬영.. 🤹♂️ 카테고리별 약물/감염 2021. 7. 1. 요로감염 (2): 단순 급성 신우신염, Acute Pyelonephritis 2. 단순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 1) 배경 및 국내 역학 단순 급성 신우신염은 상부요로감염으로써 신장에 발생한 감염을 의미 주로 여름에 발생률이 높음 대부분 방광 내의 세균이 요관을 통해 신장을 침범하여 발생하며, 혈액 내로 전파되기도 함 원인균: 대장균(56-85%), 그 외 Enterococcus faecalis, Klebsiella pneumoniae, Proteus mirabilis 국내에서 가장 흔한 원인균: 대장균, 그 외 K. pneumonia, P. mirabilis, Enterococcus spp., Staphylococcus saprophyticus 등 2) 진단 임상적 진단 배뇨시 통증, 발열, 오한, 옆구리통증, 구역, 구토 등 검사실적 진단 농뇨(원.. 🤹♂️ 카테고리별 약물/감염 2021. 7. 1. 요로감염 (1): 단순 방광염, Acute Uncomplicated Cystitis 요로 감염 상부요로감염 하부요로감염 신우신염 방광염, 전립선염 단순 요로감염 복잡성 요로감염 지역사회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감염질환이다. 2014년도 세계보건기구의 전 세계적인 감시 보고서에서 요로감염의 주요 원인균에서 cephalosporin계와 fluoroquinolone(FQ)계 항생제에 대한 내성 증가가 심각한 문제점으로 제기되었고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적절한 치료를 통해 항생제 내성균의 출혈을 차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2018년의 요로 감염 항생제 사용지침을 통해 최신 자료를 바탕으로 항생제 선택의 표준 지침을 제정하였다. 미국과 유럽에서 요로감염에 1차 항생제로 권고되는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은 국내 요로 감염 원인균의 내성률이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높아 국.. 🤹♂️ 카테고리별 약물/감염 2021. 6. 29. 다제내성 그람 음성균(multidrug resistance in Gram-negative bacilli, MDR-GNB): ESBL 생성 장내세균속(Enterobacteriacieae) 다제내성 그람음성균 종류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ESBL) 생성 장내세균속(ESBL-producing Enterobacteriacieae) 다제내성 녹농균(multi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MRPA)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RAB)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 특히 CRE 중 카바페넴분해효소 생성 장내세균속균(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ieae, CPE)는 카바페넴을 직접 분해할 수 있는 효소(KPC, G.. 🤹♂️ 카테고리별 약물/감염 2021. 6. 9. 카테터 관련 감염: catheter line 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CLABSI) 병인 1) 피부 피부의 집락화(skin colonization)가 심할수록 중심정맥관의 집락화(CVC colonization)와 이로 인한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CLABSI)의 위험이 증가함 피부의 정상균 무리인Staphylococcus aureus와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가 중심정맥관 말단 배양(catheter tip culture)에서 가장 흔하게 분리되고 가장 흔한 원인균임 2) 중심정맥관 내강(lumen)을 통한 오염 잦은 혈액 채취나 약물 주입은 중심정맥관 내강을 오염시킬 위험성을 증가시킴. 내강의 오염으로 인해 혈류감염이 유발될 수 있음. 특히 내강의 오염은 2주 이상 삽입된 중심정맥관이나 수술을 통하여 삽입된 중심정맥관이 주요 원인이 됨. 3) 다른 감.. 🤹♂️ 카테고리별 약물/감염 2021. 5. 11. 상재균, 정상 세균총: normal flora, colonization 상재균이란? 생체의 특정 부위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으로 culture의 결과를 해석할 때 동정된 균이 오염균인지(contamination) 상재화(colonization)된 균인지 아님 진짜 감염에 의한 pathogen인지 감별해야 할 수 있어야 한다. 정상적인 상재균 유지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예를 들어, 하부 위장관의 박테리아는 비타민 K나 비타미 B12를 합성/분비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상재균의 상재화는 병원균과 교차 반응하는 숙주 항체를 유도함으로써 병원균 감염에 대한 “colonisation resistance”를 가지게 된다. 반면 일반적으로 멸균 상태의 신체 부위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respiratory tract에서 nasopharynx 방향으로 외부 물질.. 🤹♂️ 카테고리별 약물/감염 2021. 5. 11.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치료제: Dexamethasone(덱사메타손) RECOVERY trial Methods Although the randomization of patients to receive dexamethasone, hydroxychloroquine, lopinavir–ritonavir, azithromycin, convalescent plasma, or tocilizumab has now been stopped, the trial continues randomization to other treatments, including REGN-COV2 (a combination of two monoclonal antibodies directed against the SARS-CoV-2 spike protein), aspirin, colchicine, or usual .. 🤹♂️ 카테고리별 약물/감염 2021. 4. 25.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치료제: 급여기준, Baricitinib(올루미언트 정)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치료제: 급여기준 2021-04-01 고시 제2021-101호(약제) [일반원칙]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MERS-CoV) 및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치료제 ■ 고시 개정 전체내용 허가사항 범위를 초과하여 메르스(MERS) 및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함. - 아 래 - 가.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1) 투여대상 : 메르스 관련 증상이 있는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감염인 또는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2) 투여방법 : 대상약제의 병용 또는 단독투여 3) 투여기간 : 10∼14일(단, 진료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조정 가능) ※ 대상 약제 interferon .. 🤹♂️ 카테고리별 약물/감염 2021. 4. 25. 정장제, probiotics 효과: 감염성 설사, 항생제와 정장제의 동시 복용 Saccharomyces boulardii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subtilis/Enterococcus faecium Infect Chemother 2010;42(6):323-361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66.7 (2018): e1-e48. 여러 메타 분석에 따르면 항생제 치료를 받는 CDI 이력이 없는 환자에게 정장제를 투여했을 때 CDI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The studies with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es had a CDI incidence 7–20 times higher in the placebo arms than would otherw.. 🤹♂️ 카테고리별 약물/감염 2021. 4. 24. C.difficle 관련 설사, CDAD(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sease) 치료의 변화: metronidazole에서 vancomycin 감염성 설사의 원인에는 enterohemorrhagic E. coli, Shigella species, Salmonella species, C. jejuni, C. difficile 등이 있다. 그중에서연관 설사에 대해 알아보자! C. difficile 관련 설사의 병태생리 독소에 의한 염증성 설사를 일으킴 독소가 장의 상피에 부착한 후 세표 내로 유입되어 단백합성을 저해하고 세포괴사 유발 IL-1β, TNF, IL-8 등이 증가됨 항생제 복용 후 후 C. difficile에 노출되면 염증성 설사가 발생할 수 있음. 항생제 관련 설사를 일으키는 것이 C. difficile만이 원인은 아니지만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정도의 설사와 WBC 증가의 원인은 대개 C.difficile의 독성로 발생함 C. diffi.. 🤹♂️ 카테고리별 약물/감염 2021. 4. 23. 수두 vs 대상포진: acyclovir, 에크로바 주 250 MG Acyclovir 주사제 적응증 및 용법/용량 적응증 국내 허가사항 Lexicomp 단순포진 감염증 5 mg/kg tid 아래 표 참조 1 재발성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증 5 mg/kg tid 아래 표 참조 2 초발성 및 재발성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증 10 mg/kg tid 단순포진성 뇌염= Herpes simplex virus, encephalitis or meningitis 10 mg/kg tid 10 mg/kg tid Duration for encephalitis is 14 to 21 days and for meningitis is 10 to 14 days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단순포진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Herpes simplex virus, prevention in immunoc.. 🤹♂️ 카테고리별 약물/감염 2021. 4. 23. 항생제 알레르기, cephalosporin, penicillin: cross-reactivity Cephalosporin계 항생제는 광범위한 임상 효용성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항생제이다. 약 1-3%의 인구에서 세팔로스포린 알레르기가 보고되었다. 페니실린계 항생제와의 교차 알레르기 반응의 가능성은 낮음에도 불구하고 임상의는 혹시 모를 우려로 인해 페니실린 알레르기 환자에게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의 사용을 꺼릴 수밖에 없다. 하지만 진정한 IgE 매개 알레르기는 상대적으로 드물고 알레르기에 대한 전자 의료 기록 설명은 종종 부족하거나 불완전하다. 알레르기의 오진과 교차 반응에 대한 오해는 안정성/효용성 등이 떨어지는 항생제 사용으로 이어지며 이는 antimicrobial stewardship의 방해물이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세팔로스포린 교차 반응은 R1 side chain과 관련이 있다고 알.. 🤹♂️ 카테고리별 약물/감염 2021. 3. 16.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