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96 VTE(venous thromboembolism) CHEST 2016 guideline: 하지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치료 1. 치료 약제의 선택 (1) VTE 재발률 감소 암 환자를 포함한 환자군에서 재발성 VTE의 위험 감소는 VKA와 모든 NOAC이 유사하다. VTE가 동반된 암 환자에서 재발성 VTE의 위험 감소는 VKA보다 LMWH에서 더 크다. 재발성 VTE 위험 감소에 대한 LMWH과 NOAC의 비교는 없지만, 간접 비교에 기초하여 암 환자에 대하여 LMWH이 NOAC보다 재발률 감소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 NOAC 간의 재발성 VTE 위험 감소에 대한 직접 비교는 없지만, 간접 비교를 바탕으로 모든 NOAC이 유사한 효과를 가진다. (2) 출혈 위험성 특히 두개골 내 출혈은 VKA보다 NOAC에서 출혈 위험이 낮다. 심방세동 환자군에서 GI 출혈은 VKA 치료보다 dabigatran, rivaroxaban, ..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6. 23. VTE(venous thromboembolism)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ASH) 2020 guideline: 하지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치료 VTE(venous thromboembolism) DVT(deep vein thrombosis): 하지심부정맥혈전증 PE(pulmonary embolism): 폐색전증 하지심부정맥혈전증 위치에 따른 분류 Proximal DVT Isolated distal DVT 대퇴-슬와 정맥 혈전증, 장골-대퇴 정맥 혈전증 혈전이 몸에 가까운 곳에 생길수록 증상이 심한 경향이 있다. 고립성 원위부라고 하며 종아리 또는 무릎 밑 부분의 혈전증을 의미한다. 정맥 혈전의 형성 특징: 동맥 혈전과 달리 정맥 혈전의 대부분은 적혈구와 섬유소로 구성되며 상대적으로 혈소판은 드물다. (1) 혈류의 정체 (2) 과혈액응고 : 응고계의 불균형 활성화의 위험요인으로는 연령, 암, 수술, 외상, 일차성 과응고 상태, 임신과 경구용 피임약..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6. 22. 스트레스성 심근병증(stress induced cardiomyopathy; SCMP), Takotsubo cardiomyopathy의 치료 스트레스성 심근병증(stress induced cardiomyopathy)이란? 정신적, 신체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 심장질환 증후군으로, 특징적인 좌심실 심첨부(apex)의 운동장애 양상 때문에 Takotsubo 심근병증, 또는 apical ballooning syndrome(심천부가 풍선 모양으로 확장됨; 좌심실 기능저하)으로 불리기도 한다. 2006년에 미국심장학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에서 이를 stress cardiomyopathy라 명명하고 후천성 심근병증의 하위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진단을 위해서는 주로 2004년에 Mayo clinic에서 제시한 항목이 수정 보완되어 사용되고 있다. Mayo diagnostic criteria[5] 1. Tran..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6. 12. VTE(정맥혈전증) LMWH, Enoxaparin monitoring: anti-Xa, viscoelastic monitoring Anti-factor Xa monitoring and associated dose adjustments 1. What is the utility of antifactor Xa monitoring for VTE chemoprophylaxis? anti-Xa 값에 따른 선량 조절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처방은 fixed regiem을 시행했을 때보다 목표 anti-Xa 값에 도달하는 환자 수가 더 많아질 것이다. 하지만 적절한 목표 anti-Xa 값에 도달하는 것이 VTE 비율을 낮추는지에 대한 근거는 불충분하다. anti-Xa 값 모니터링을 통한 용량 조절은 특정 환자(ex. TBI 등)에게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적응증 별 anti-Xa level Prophylactic level 0.2–0.4 I..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5. 15. ICU 환자에서의 정맥혈전증(Venous tromboembolism, VTE) 예방, VTE prophylaxis 정맥혈전증(Venous tromboembolism, VTE) injury, surgery, and critical illness이 위험 요인이다. 외상 중환자에서는 환자의 VTE 위험 요인을 평가하고 기계적 및 약물학적 예방 조치 사용을 매일 논의하여야 한다. Trauma and surgical patients often have real or perceived contraindications to prophylaxis that affect the timing of preventive measures and the consistency with which they can be applied. In this Clinical Consensus Document, the American Association f..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5. 15. PO amiodarone vs IV amiodarone: 투여 경로에 따른 약리 작용(기전), 부작용 차이 PO amiodarone vs IV amiodarone 투여 경로에 따른 약리 작용(기전), 부작용 차이 코다론 정 200 MG/코다론 주사 아미오다론의 이점 아미오다론은 심박수 조절의 최후 수단으로 유용할 뿐만 아니라 동율동 전환 효과도 있음 IV와 PO 제제 모두 가능하므로 급성기와 장기적인 치료 모두 고려 가능 1. Lexicomp 상 amiodarone 부작용 위장관계 부작용과 폐독성에서 경구 제형이 더 높은 빈도를 보였음 주사 제형에서 저혈압 빈도가 높음(이는 amiodarone의 첨가제인 폴리소르베이트 때문) 2.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27.4 (1997): 294-303. Purpose IV amiodarone의 electropharmacology, 임상 적응증..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4. 11. Fluoroquinolone계 항생제의 QT연장 심혈관계 부작용 Fluoroquinolone계 항생제(FQ계)는 넓은 스펙트럼을 가진 항생제로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사용된다. (호흡기계 감염, 비뇨기계 감염, 연조직 감염 등) FQ계 항생제의 부작용 중 드물지만 심각한 부작용인 QT 연장에 대해 알아보자! FQ계의 심장 독성 메커니즘 용량 의존적으로 rapidly activating delayed rectifier potassium channel(hERG/IKr channel) 차단 ⇨ 심근세포에서의 칼륨 축적 ⇨ 심근 재분극의 지연 FQ계 항생제의 심독성 Odss ratio Table1은 분석에 사용된 연구의 특징들이다. 부정맥(Figure 2) FQ계 항생제 사용군에서 부정맥 위험 증가(OR 1.85 [95% CI 1.22-2.81])를 보임으로써 유의한 연관성을..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4. 11. Statin(콜레스테롤 저하제) 약제 투여 시간, 저녁 복용 vs 아침 복용 Statin 약물의 약동학적 특성 짧은 반감기 긴 반감기 Lovastatin (잘안씀) Atrovastatin (리피토 정) Simvastatin (심바스타 정) Rosuvastatin (크레스토 정) Fluvastatin (레스콜 엑스엘 서방정) Pitastatin (리바로 정) 다른 statin에 비해 반감기가 긴 atrovastatin과 rosuvastatin의 경우 최적의 투여 시각이 정해져 있지 않고 환자의 복용 순응도 향상을 위해 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Chronotherapy 콜레스테롤 생합성은 circadian rhythm을 따르며 주로 밤(오전 12시-6시) 사이에 일어난다. 이러한 생리적 리듬을 이용한 치료법을 chronotherapy라 부르며 이는 약물의 복용 시간에 ..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4. 6. 항응고 치료 시 출혈 최소화를 위한 전략 중증의 출혈이 있는 심방세동 환자에서 출혈이 호전될 때까지 경구 항응고제 복용을 중단(Class Ⅰ, LOE C) 항응고제를 복용 중인 고혈압 환자에서 출혈 위험을 줄이기 위해 혈압을 잘 조절(Class Ⅱa, LOE B) 위장관 출혈 위험이 높은 경우, dabigatran 150 mg bid, rivaroxaban 20 mg qd, edoxaban 60 mg qd를 제외한 나머지 NOAC 조합이 선호(Class Ⅱa, LOE B) 출혈 위험을 줄이기 위해 75세 이상 고령의 환자에게 dabigatran을 사용하는 경우 감량(110 mg bid) (Class Ⅱb, LOE B) 수술로 인해 항응고치료의 중단이 필요한 경우, heparin bridge therapy를 하는 것은 인공판막을 가지고 있는 환자..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4. 5. Alprostadil, 에글란딘 주 투여 방법 지속 점주? 점적 정주? Lexicomp에 소개된 alprostadil의 indication을 살펴보면 성인의 경우 발기부전의 치료제로만 소개되어있다.(카버젝트 주사 20 MCG) off label로는 중증의 Raynaud phenomenon에서 다른 약제 치료 실패 시 고려될 수 있다고 나와있다. 신생아의 경우 Ductus arteriosus patency(동맥관 개존)의 적응증이 있다. 하지만 에글란딘 주는 lexicomp에서 소개된 성인의 발기부전 치료제보다 저용량인 제형으로 만성 동맥 폐색증, 당뇨병에서의 피부 궤양 개선, 혈행 재건술 후의 혈류 유지, 동맥관 개존 등을 위해 사용된다. 특히나 동맥관 개존을 위한 국내 허가사항 상의 용법/용량에는 5 ng/kg/min으로 지속정주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는 alprostad..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4. 5. Amiodarone 항부정맥약제, 희석 시 주의사항 항부정맥약제: amiodarone 동율동(sinus rhythm)으로 회복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동율동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 약물학적 치료(pharmacologic cardioversion)에 실패 시, 도자절제술 단독 혹은 약물 치료와 병용 등의 방법이 대안법임 ① 급성기 동율동 조절 치료 항부정맥 치료제 : 혈역학적으로 안정한 상태 - Flecanide, Propafenone : 구조적 심질환이 없는 환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 Propafenone 리트모놈 SR 서방캡슐 225 MG 리트모놈 SR 서방캡슐 325 MG 리트모놈 정주 70 MG/20 ML 급여 급여 비급여 - Amiodarone : 심부전 및 허혈성 심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 전기적 심장율동 ..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3. 30. 디곡신 독성, Digoxin toxicity Digoxin toxicity 😮디곡신의 독성은 과다복용(overdose)뿐만 아니라 장기 복용 혹은 혈중 디곡신 농도가 치료 범위 내에 있을 때에도 발생할 수 있다. 디곡신 독성 기전 세포막의 Na-K 펌프를 억제 (고칼륨혈증 유발) → 심근 세포 내 Ca 농도를 간접적으로 증가시킴 → 세포 내 칼슘 증가로 삼장 수축성 증가 & 빈맥의 위험도 증가 디곡신 1회 투여 후, 조직으로의 분포(distribution)은 몇 시간이 소요됨 즉, 마지막 복용 후 최소 6시간이 지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된 혈중 농도는 부정확함 post-distribution의 측정이 severity of intoxication을 반영하고 digoxin-specific antibody의 용량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신배설되는 약..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3. 24.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