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환자,고혈압 관리(control of hypertension in the critically ill), 응급성 고혈압, emergency hypertension
중환자에서의 고혈압 중증의 급성 동맥 고혈압은 사망률과 연관됨 👉 심장, 신장, 뇌 및 폐를 포함한 다양한 장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defined as systolic arterial pressure [SAP] >180 mmHg and/or diastolic arterial pressure [DAP] >110 mmHg JNC 7 report에서 정의된 SAP>160 mmHg 또는 DAP>100 mmHg 환자군은 급성 심부전, 중환자실 내원일, 사망을 포함한 급성 심혈관 합병증이 더 빈번함 가역적인 병인을 제외한 후, 치료적 개입은 환자의 나이, 동반질환 등 여러 요소의 평가에 기초해야 함 그 이후, blood volume, vascular tone, cardiac output에 대한 약물의 영..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2. 28.
-
Carvedilol과 신기능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고혈압 환자에게서 carvedilol의 acute vs chronic 투여 ⇛ renal haemodynamics & function 투여방법 Acute administration Chronic administration 투여량 single dose of 50 mg carvedilol 50 mg/day for 4 wk f/u 투여 2시간 후 (at 0, 15, 30, 45, 60, 75, 90, 120 min) Day1, 29 SBP & DBP 감소 감소 Heart rate 반사성 빈맥 없었음 감소 Plasma renin activity 변화 X 감소 Plasma aldosterone 변화 X 감소 신혈류(Re..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1. 27.
-
말초 동맥 질환, 허혈성 하지동맥 질환, cilostazol, pentoxifylline, alprostadil, limaprost, beraprost
말초 동맥 질환(peripheral artery disease; PAD) ✔심장(관상동맥)이나 뇌(뇌혈관)를 공급하는 동맥 외의 동맥이 좁아지는 질환 ✔말초동맥질환은 대개 다리에 영향을 미치지만 다른 동맥이 수반될 수 있음 허혈성 하지동맥 질환(Ischemic limb disease) 1) 증상 : 통증, 둔통, 경련, 지각 둔화, 근육의 피로감 파행증(intermittent claudication) : 걸을 때 나타나는 근육의 통증, 저림, 피로감 휴식기 통증 : 감각이상을 동반 2) 이학적 소견 촉진 & 청진 : 청진상 잡음(bruit), 혈관 촉진 및 청진에 따른 맥박의 약화 및 소실, 냉감, 근육 약화 등 시진 : 거상하수시험에 따른 혈액 충만 속도(환자의 다리를 누운 자세에서 올리면 창백해지고(..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