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96 Dual vs Single antiplatelet therapy(aspirin, clopidogrel, prasugrel, ticagrelor), 국내 급여 기준([일반원칙] 경구용 항혈전제(항혈소판제 및 Heparinoid 제제)) 1.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 환자 Prasugrel or clopidogrel + aspirin 병합 요법을 권고함 ⇨ ticagrelor 권고는 두 약제에 비해 낮음 출혈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병합 요법 지속 기간을 결정함 병합 요법 이후 단독 요법으로 전환 시 출혈/혈전 위험성을 종합하여 P2Y12 inhibitor 단독 요법을 고려할 수 있음 1) STEMI(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① 약제별 특징 STARS(Stent Anti-thrombotic Regimen Study) 실험에서 aspirin + P2Y12 inhibitor를 사용한 DAPT는 관상동맥 스텐트 후의 표준 치료가 되었음 동아시아인은 서양인에 비해 출혈 위험이 높고 혈전 위험은 낮기 때..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9. 24. 혈소판 약물반응검사, 항혈소판제 저항성(antiplatelet drug resistance), P2Y12 Reaction Unit, PRU 심혈관질환이 증가하고 치료 및 예방 목적으로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등의 항혈소판 약제를 많이 사용함에 따라 약제의 혈소판 응집능 억제 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방법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항혈소판제 저항성(antiplatelet drug resistance) 혈소판 기능 검사에서 나타나는 혈소판 억제 효과가 모든 환자들에서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고, 예방목적으로 항혈소판제를 복용해도 혈관 질환이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1) 임상적 저항성(clinical resistance) 예방 목적으로 항혈소판제를 복용해도 심혈관 질환들이 발생할 때 사용하며 실험적 저항성은 혈소판 기능 검사에서 항혈소판제에 의한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때 2) 실험적 저항성(laboratory resistance)..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9. 22. 일본 항혈전 치료(Antithrombotic Therapy) 가이드라인: aspirin, Clopidogrel, Ticagrelor, Prasugrel 비교, loading dose 1. Loading dose of antiplatelet agent 1) Aspirin 많은 연구에서 아스피린이 ACS의 예후를 개선하는데 유용하며 아스피린이 빨리 투여될수록 사망률 개선이 더 크다는 것을 증명했다. 국내에서는 주로 aspirin 300 mg을 부하용량으로 사용하여 빨리 항혈소판 활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2) P2Y₁₂ Receptor Inhibitors Clopidogrel Prasugrel Ticagrelor Class thienopyridine계 cyclopentyl-triazolo-pyrimidine 수용체 결합 방법 비가역적 비가역적 가역적 Prodrug Y Y N CYP450 대사 major CYP2C19 그 밖에 등등 minor CYP2C19 그 밖에 등등 CYP3A4..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9. 19. 일본 항혈전 치료(Antithrombotic Therapy) 가이드라인: PCI 등 이후 DAPT(Dual Antiplatelet Therapy) 복용 기간 평가, 출혈 vs 혈전 위험 평가 점수 2019년도 일본 순환기학회(Circulation Society)에서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 관련 2가지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1) Acute coronary syndrome (ACS) (2) Revascularization of stable CAD ST-elevatio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Non-ST-elevation ACS (NSTE-ACS) Secondary prevention for myocardial infarction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가이드라인 발표 이후 새로운 증거가 보고되고 새로운 개..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9. 18. 심방세동, Atrial fibrillation, 뇌졸중 예방, DOAC (2) : rivaroxaban, dabigatran, apixaban, edoxaban 1.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뇌졸중; stroke)의 이차 예방 1) 급성기 뇌경색의 치료 증상 발현 4.5시간 이내 전신적인 혈전 용해제 투여(rtPA) 성분명 Alteplase 상품명 엑티라제 주사 적응증 별 용법용량 급성 허혈 뇌졸중 시 총 투여량 0.9 mg/kg (max : 90 mg) 총 투여량의 10% 일시 주입(bolus) 나머지 90% 60분에 걸쳐 주입 ex) 60 kg 기준 54 mg 중 5.4 mg은 일시 주입, 나머지는 60분에 걸쳐 희석 시 유의사항 NS DW O X 최종농도: 0.2-1 mg/mL * 이전에 항응고 치료를 받고 있던 환자에서는 주의를 요하지만, INR 1.7 이하이거나, 다비가트란 투여 48시 간이 지난 경우라면 혈전 용해제의 투여가 가능하..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9. 7. 심방세동, Atrial fibrillation, 뇌졸중 예방, DOAC (1) : rivaroxaban, dabigatran, apixaban, edoxaban 판막 유무에 따른 심방세동 종류 판막성 심방세동 비판막성 심방세동* 판막성 심방세동의 정의는 연구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음 2014년 ACC/ AHA/HRS 지침서: 류마티스성 승모판막 협착증, 기계 혹은 조직 판막 치환술을 받거나 승모판 재건술을 받은 경우를 판막성으로 분류 2016년 ESC 지침서: warfarin을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판막질환을 중등도 이상의 승모판막 협착증 및 기계 판막 치환술을 받은 경우로 한정하고 있음 * 비판막성 심방세동의 경우는 CHA2DS2-VASc점수에 따라 항응고 치료의 방향을 결정 과거 CHADS2 점수 체계에 위험 인자가 세분화 혹은 추가되면서 저-중등도 위험도의 환자들을 더 잘 선별해낼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국내에서 시행된 후향적 분석 연구들에서도 서구에서의 ..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9. 3. Amiodarone IV PO conversion: 아미오다론의 경구 전환, 24시간 IV amiodarone 사용 후 어떻게 할 것인가? \amiodarone IV PO conversion 중환자에서의 심방세동 등의 rate control(ICU, critical ill, atrial fibrillation) 아미오다론의 경구 전환 24시간 IV amiodarone 사용 후 어떻게 할 것인가? 흔히 중환자실에서 AF(atrial fibrillation)이나 기타 부정맥에서 amiodarone IV을 자주 사용한다. 다양한 문헌을 찾아보아도 amiodarone IV regimen을 다음과 같이 추천하고 있다. 여기서 드는 의문은 amiodarone을 24시간 동안 사용하고 나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이다. PO로 전환해야 하는지 아님 다음 IV amiodarone을 유지해야 하는지가 가장 큰 고민이다. 개인적인 의견과 순환기내과의 협진 내용을..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8. 28. isosorbide-5-mononitrate vs isosorbide dinitrate: ISMN와 ISDN의 차이 isosorbide mononitrate vs isosorbide dinitrate 성분명 isosorbide-5-mononitrate ISMN isosorbide dinitrate ISDN 국내 허가사항 1. 관동맥심질환(협심증, 심근경색 등) 2. 울혈성심부전의 보조요법 1. 협심증, 심근경색, 관경화증(만성허혈성심질환, 무증후성허혈성심질환, 동맥경화성심질환) 2. 울혈성심부전의 보조요법 작용 시작 시간 30-45 분 1시간 이내(서방형 제제 포함) 작용 기간 속방형 제제: ≥6 hr 서방형 제제: ≥12 - 24 hr 8시간(서방형 제제 포함) 생체이용률 ~100% 매우 다양(10% to 90%) 장기간 복용할수록 증가함 대사 Hepatic 상당한 first-pass metabolism ⇨ isos..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8. 24. Aspirin: Recovery time, Turnover platelet, 위장관 출혈 부작용 Aspirin Pharmacology/Pharmacokinetics aspirin은 상부 위장관에서 빠르게 흡수되어 60분 이내 측정 가능한 정도로 혈소판 기능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출혈 시간 연장과 TXA2-의존성 혈소판 응집을 억제한다. 이러한 효과는 말초 혈액에서 acetylsalicylic acid이 검출되기 전에 발생하며 이는 간문맥 순환(portal circulation)에서 혈소판이 aspirin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장내 코팅된 aspirin(장용성)은 이 부분을 상당히 지연시킨다. aspirin은 혈장 반감기는 20분이지만 비가역적 억제이기 때문에 혈소판이 새로운 COX를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혈소판의 수명 동안 그 효과가 지속된다. (약 10 일; 혈소판 수명) aspirin 1회 ..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8. 3. CRRT 중의 VTE prophylaxis(예방적 용량): LMWH(enoxaparin, dalteparin) vs. heparin 😁 LMWH의 renal dosing 부분 (Lexicom) 😁 Ummhealth의 DVT 예방 프로토콜 😁 Comparison of published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coagulopathy and thrombosis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COVID 19: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nd future investigations. The CDC, ACCP, and ACF do not recommend therapeutic anticoagulation except in cases where there is a thromboembolic event or a high suspicion for a thro..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8. 2. 쿠스토디올 액: 개심술 수액, open heart, 심정지액 쿠스토디올 액 개심술이 필요한 수술 시, 심정지를 통해 움직임이 없는 수술 시야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심장 기능의 보존이 필요하다. 심정지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근의 허혈성 저산소증과 이로 인한 심근의 세포 손상 및 괴사는 수술 후 심장 기능 회복과 예후에 영향을 준다. 개심술의 시초는 얼음을 이용한 국소 저온법이었다. 이후 고농도 칼륨을 이용한 심정지 유도 연구가 보고된 후 심근 보호를 위해 다양한 성분을 가진 심정지액들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혈액을 포함한 냉혈 심정지액이나 상온의 혈액 심정지액 등도 개발되었다. 1975년 Histidine-tryptophan-ketoglytarate 용액(이하 HTK 용액)이 유럽을 중심으로 장기 이식 시 관류 및 보존액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세..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7. 17. 칼슘채널 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 CCB) 약제 별 차이: L type CCB vs T type CCB 국내에는 아주 많은 칼슘 채널 차단제(이하 CCB) 종류가 있다. 화학적 구조에 따라 non-dihydropyridine(DHP)계와 DHP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non-DHP계의 경우 고혈압이 아닌 특별한 상황에서만 사용하므로 이번 포스팅에선 논외로 한다. 약학정보원의 KPIC 약효 분류에 따라 국내 CCB의 종류가 소개되어 있다. 하지만 임상에서 주로 접하는 CCB는 amlodpine(노바스크 정)이다. 각 CCB 마다 특징과 좀 더 선호되는 환자군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특히 신장 내 칼슘 채널 역할) 칼슘채널차단제는 차단하는 칼슘채널은 다양한 하위 그룹을 가진다. L-type calcium channel T-type calcium channel N-type calcium channel 기타 .. 🤹♂️ 카테고리별 약물/심혈관 2021. 7. 13.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